용접봉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개요==
 
==개요==
용접봉은 모재(母材)와 거의 같은 성분을 사용하며 철강용과 비철금속용(구리, 구리합금, 니켈합금)이 있다. 수동 용접으로는 길이 45cm 이하의 가는 봉 모양의 것을 사용하며 자동식이나 반자동식 용접기용은 긴 나선 모양으로 되어 있다. 저탄소 특수선재(연강)를 신선(伸線)해서 이것을 심선(心線)으로 하여 피복제로 도장한 것이 많으나 도장하지 않은 나용접봉(裸鎔接棒)도 있다. 조선, 건축기계 가공 등 용접 작업이 늘어남에 따라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ref>허팀,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toleejina&logNo=220627998242 (기술)용접이란]〉, 《네이버 블로그》, 2016-02-15</ref>기본 용접봉은 [[강철]] 또는 [[아연]]과 같은 기본 금속으로 구성되며 기본 금속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 화학 코팅으로 구성된다. 이 코팅은 로드에 강도와 안정성을 추가하고 용접 중에 매끄럽고 고르게 녹도록 도와준다. 금속 코팅을 천천히 고르게 녹임으로써 화학 코팅은 필러 금속을 전체 용접 영역에 분산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 더 강력하고 내구성이 강한 용접면을 만든다.
 
 
용접봉은 녹아서 모재의 녹은 것과 섞여 모재와 모재의 접합부의 틈을 메워 굳어서 융착 금속이 된다.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은 긴 줄로 되어 있는 피복하지 않은 용접봉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고 그 끝과 모재 사이에 생기는 아크의 열로 용접부를 녹여서 자동으로 용접하는 방법이다. 용접봉의 최소 직경은 1/16인치(1.6mm)이며 최대 직경은 5/16인치(7.9mm) 넘지 않는다. 용접봉을 식별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스템 중 하나는 American Welding Society(AWS)번호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서 용접봉의 크기는 문자 E로 시작하는 5자리 코드와 함께 표면에 각인된다. 코드의 처음 두 숫자는 용접 중에 막대가 제공할 수 있는 인장 강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마지막 숫자는 금속에 사용된 코팅 유형을 나타낸다. 세 번째 숫자는 용접되는 재료와 관련하여 로드를 배치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용접봉을 사용하는 용접 종류==
 
==용접봉을 사용하는 용접 종류==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