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시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3번째 줄: 13번째 줄:
 
지리적으로 [[북한]]과 [[중국]]의 국경에 가까이 위치하며, 압록강에서 분리된 하류가 우시군을 중심을 가로지른다.
 
지리적으로 [[북한]]과 [[중국]]의 국경에 가까이 위치하며, 압록강에서 분리된 하류가 우시군을 중심을 가로지른다.
  
[[북한]] 내 ASF, [[아프리카]] 돼지열병 최초 발생지역이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중국]]을 휩쓸고 난 후, [[중국]]과 국경선을 맞대고 있는 [[북한]]도 열병 전파 위협에 빠지게 된다. 북한은 2019년 5월에 세계동물 보건기구에 연락하여 돼지열병이 자강도 우시군에 있는 북상협동농장에서 처음 발생하였다고 알렸다. 방역 및 소독체계가 매우 열악한 [[북한]] 특성상 방역에 실패하고 [[자강도]]에서 나아가 [[평안북도]]를 거쳐 [[북한]] 전역에 열병이 퍼지게 되었다. 국정원에 따르면, 평안북도 내 돼지농장은 현재 절멸한 상황이고, 북한 내 돼지라고는 눈을 씻고도 찾아볼 수 없다고 한다. 돼지 열병이 발생하고 한국 정부는 북측에 방역협의 및 보건협력을 추진해왔으나 북측이 이를 일방적으로 무시하였고, 2019년 9월부로 이제는 [[북한]] 접경지역인 [[파주시]], [[연천군]], [[김포]]시 등에서도 일부 [[농장]]에서 양성판정이 나오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00374&cid=57627&categoryId=57697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우시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ref>
+
[[북한]] 내 ASF, [[아프리카]] 돼지열병 최초 발생지역이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중국]]을 휩쓸고 난 후, [[중국]]과 국경선을 맞대고 있는 [[북한]]도 열병 전파 위협에 빠지게 된다. 북한은 2019년 5월에 세계동물 보건기구에 연락하여 돼지열병이 자강도 우시군에 있는 북상협동농장에서 처음 발생하였다고 알렸다. 방역 및 소독체계가 매우 열악한 [[북한]] 특성상 방역에 실패하고 [[자강도]]에서 나아가 [[평안북도]]를 거쳐 [[북한]] 전역에 열병이 퍼지게 되었다. 국정원에 따르면, 평안북도 내 돼지농장은 현재 절멸한 상황이고, 북한 내 돼지라고는 눈을 씻고도 찾아볼 수 없다고 한다. 돼지 열병이 발생하고 한국 정부는 북측에 방역협의 및 보건협력을 추진해왔으나 북측이 이를 일방적으로 무시하였고, 2019년 9월부로 이제는 북한 접경지역인 파주시, 연천군, 김포시 등에서도 일부 농장에서 양성판정이 나오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00374&cid=57627&categoryId=57697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우시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ref>
  
 
== 자연환경 ==
 
== 자연환경 ==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