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기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운전기사'''<!--운전 기사-->(運轉技士, driver)는 [[자동차]] [[운전면허]]를 가지고 [[차량]]을 [[운전]]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줄여서 '''[[운전사]]''' 또는 간략히 '''기사'''라고 부른다.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운전자]]라고 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운전면허]]를 자기고 [[직업]]으로 [[운전]]하는 사람을 '운전기사'라고 한다.
+
'''운전기사'''(運轉技士)는 [[자동차]], 선박 등을 [[운전]]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줄여서 '''[[운전사]]''' 또는 '''[[기사]]'''라고 부른다.
  
 
==종류==
 
==종류==
10번째 줄: 10번째 줄:
 
===버스운전기사===
 
===버스운전기사===
 
[[버스운전기사]]는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등 [[노선버스]]나 [[관광버스]]를 운전하거나 학교, 기업체 등의 비영업용 [[버스]]를 운전하여 [[승객]]을 운송하는 일을 담당한다. 배차계획에 따라 버스 차량을 배차받고 점검표에 따라 연료, 타이어, 냉각수 및 차량의 각 부분을 점검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정비 공장에 수리를 의뢰한다. 버스 운행 시간과 정해진 버스 노선, 또는 수송 운행표에 따라 목적지까지 버스를 운전하며 출입문을 여닫고 정차 신호에 따라 정해진 정류장 또는 목적까지 승객이나 물건을 운송한다. 운행이 종료되면 차량을 입고하고, 수입금을 납입하며 출발 시간, 도착 시간, 주행, 거리, [[연료]] 소모량, 고장, 장애 등에 대한 운행일지를 작성한다. 차량의 청결을 유지하고, 교통법규를 준수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385&cid=42116&categoryId=42116 버스운전기사]〉, 《네이버 지식백과》</ref> 버스 운전기사가 되려면 먼저 1종 대형 면허가 필요하며 1종과 2종의 구분은 사업용이나 비사업용이냐에 따른 것이다. 이때 여기는 사업은 자영업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운수사업을 말한다. 즉 돈을 받고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려면 1종 면허가 필요하다. 참고로 운수사업에는 노란색 번호판이 발급되며 비사업용과 달리 서울이나 인천 같은 지역명도 여전히 표기된다. 1종 보통 면허는 정원 15명 이하의 [[승합차]]만 운전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을버스]] 같은 작은 버스라도 대부분의 15명 넘게 타기 때문에 버스 운전을 하려면 승차정원에 제한이 없는 1종 대형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 서울 시내에서는 강남, 도봉, 서부 면허 시험장에서 1종 대형 면허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또한 1종 대형 면허 시험을 연습하고 시험까지 볼 수 있는 운전 전문학원도 서울시 노원구, 강서구, 강남구 등 안에 몇 군데 있다. 아울러 1종 대형 면허 시험에는 도로 주행시험이 없으며 기능시험만 보면 된다. 다음은 운전 정밀 적정검사로 1종 면허의 경우 면허시험장에서도 적성검사를 보는데, 이는 시력을 확인하고 신체를 제대로 쓸 수 있나를 알아보는 정도로 간략하게 이루어진다. 하지만 운전 정밀적성 검사는 교통사고 경향성에 대해 개인의 성격 및 심리, 생리적 행동특징을 보다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시험이 아니라서 특별한 준비는 필요 없지만 피곤할 때보다는 몸이 건강할 때 결과가 더 잘 나온다.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버튼을 누르거나 페달을 밟아, 이동물체의 속도를 추정하고, 주의력을 검사하며 인지능력과 인성 등을 검사한다. 운전하면서 다른 자동차의 속도를 예측하고, 거리를 추정하며, 신호등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다. 이 검사는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시행하며 평일 오전과 오후 하루 두 번 실시하며 소요 시간은 3시간 30분이다. 접수는 인터넷으로 하며, 결과는 적합 또는 부적합으로 나온다. 마지막으로 운전면허증과는 별도인 버스운전 자격증이 필요하다. 운수 종사자는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택시나 [[화물]]도 각각의 자격증이 필요하다. 특히 운전 정밀적성 검사 결과표는 버스회사 취업 시 제출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이 결과지가 있어야 버스운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1종 보통 이상의 운전면허증, 운전면허 취득 후 1년 이상, 만 20세 이상 등의 조건이 추가로 필요하다. 버스운전 자격시험은 4과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80문항을 80분 동안 본다. 합격 기준은 48문항인 60% 이상 맞추는 것으로 과목별 과락이 없는 것이 장점이다. 시험은 컴퓨터 앞에 앉아서 문제를 보고 답변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는 식으로 진행된다. 이 시험도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시행하며 접수는 역시 인터넷으로 한다. 컴퓨터 시험인 만큼 시험 직후 현장에서 바로 합격자가 발표되고 자격증까지 발급되므로 편리하다. 서울시 버스운전기사인 경우 운전면허 1종 대형과 운전적성 정밀검사 결과, 버스운전 자격증 3가지를 갖추면 기본적으로 버스운전기사 준비가 완료된 것이며 [[CNG]]를 사용하기 때문에 여기에 추가로 [[도시가스]] 사용 자동차 운전자 교육을 미리 받아두면 편리하다.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이버교육원 홈페이지에서 인터넷으로 온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ref>한우진 기자,〈[https://opengov.seoul.go.kr/mediahub/15455875 버스 운전기사가 되려면 필요한 것 세 가지]〉, 《서울특별시 서울정보소통광장》, 2018-06-12</ref>     
 
[[버스운전기사]]는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등 [[노선버스]]나 [[관광버스]]를 운전하거나 학교, 기업체 등의 비영업용 [[버스]]를 운전하여 [[승객]]을 운송하는 일을 담당한다. 배차계획에 따라 버스 차량을 배차받고 점검표에 따라 연료, 타이어, 냉각수 및 차량의 각 부분을 점검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정비 공장에 수리를 의뢰한다. 버스 운행 시간과 정해진 버스 노선, 또는 수송 운행표에 따라 목적지까지 버스를 운전하며 출입문을 여닫고 정차 신호에 따라 정해진 정류장 또는 목적까지 승객이나 물건을 운송한다. 운행이 종료되면 차량을 입고하고, 수입금을 납입하며 출발 시간, 도착 시간, 주행, 거리, [[연료]] 소모량, 고장, 장애 등에 대한 운행일지를 작성한다. 차량의 청결을 유지하고, 교통법규를 준수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385&cid=42116&categoryId=42116 버스운전기사]〉, 《네이버 지식백과》</ref> 버스 운전기사가 되려면 먼저 1종 대형 면허가 필요하며 1종과 2종의 구분은 사업용이나 비사업용이냐에 따른 것이다. 이때 여기는 사업은 자영업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운수사업을 말한다. 즉 돈을 받고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려면 1종 면허가 필요하다. 참고로 운수사업에는 노란색 번호판이 발급되며 비사업용과 달리 서울이나 인천 같은 지역명도 여전히 표기된다. 1종 보통 면허는 정원 15명 이하의 [[승합차]]만 운전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을버스]] 같은 작은 버스라도 대부분의 15명 넘게 타기 때문에 버스 운전을 하려면 승차정원에 제한이 없는 1종 대형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 서울 시내에서는 강남, 도봉, 서부 면허 시험장에서 1종 대형 면허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또한 1종 대형 면허 시험을 연습하고 시험까지 볼 수 있는 운전 전문학원도 서울시 노원구, 강서구, 강남구 등 안에 몇 군데 있다. 아울러 1종 대형 면허 시험에는 도로 주행시험이 없으며 기능시험만 보면 된다. 다음은 운전 정밀 적정검사로 1종 면허의 경우 면허시험장에서도 적성검사를 보는데, 이는 시력을 확인하고 신체를 제대로 쓸 수 있나를 알아보는 정도로 간략하게 이루어진다. 하지만 운전 정밀적성 검사는 교통사고 경향성에 대해 개인의 성격 및 심리, 생리적 행동특징을 보다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시험이 아니라서 특별한 준비는 필요 없지만 피곤할 때보다는 몸이 건강할 때 결과가 더 잘 나온다.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버튼을 누르거나 페달을 밟아, 이동물체의 속도를 추정하고, 주의력을 검사하며 인지능력과 인성 등을 검사한다. 운전하면서 다른 자동차의 속도를 예측하고, 거리를 추정하며, 신호등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다. 이 검사는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시행하며 평일 오전과 오후 하루 두 번 실시하며 소요 시간은 3시간 30분이다. 접수는 인터넷으로 하며, 결과는 적합 또는 부적합으로 나온다. 마지막으로 운전면허증과는 별도인 버스운전 자격증이 필요하다. 운수 종사자는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택시나 [[화물]]도 각각의 자격증이 필요하다. 특히 운전 정밀적성 검사 결과표는 버스회사 취업 시 제출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이 결과지가 있어야 버스운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1종 보통 이상의 운전면허증, 운전면허 취득 후 1년 이상, 만 20세 이상 등의 조건이 추가로 필요하다. 버스운전 자격시험은 4과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80문항을 80분 동안 본다. 합격 기준은 48문항인 60% 이상 맞추는 것으로 과목별 과락이 없는 것이 장점이다. 시험은 컴퓨터 앞에 앉아서 문제를 보고 답변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는 식으로 진행된다. 이 시험도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시행하며 접수는 역시 인터넷으로 한다. 컴퓨터 시험인 만큼 시험 직후 현장에서 바로 합격자가 발표되고 자격증까지 발급되므로 편리하다. 서울시 버스운전기사인 경우 운전면허 1종 대형과 운전적성 정밀검사 결과, 버스운전 자격증 3가지를 갖추면 기본적으로 버스운전기사 준비가 완료된 것이며 [[CNG]]를 사용하기 때문에 여기에 추가로 [[도시가스]] 사용 자동차 운전자 교육을 미리 받아두면 편리하다.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이버교육원 홈페이지에서 인터넷으로 온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ref>한우진 기자,〈[https://opengov.seoul.go.kr/mediahub/15455875 버스 운전기사가 되려면 필요한 것 세 가지]〉, 《서울특별시 서울정보소통광장》, 2018-06-12</ref>     
 
===쇼퍼===
 
[[쇼퍼]]는 특수한 훈련을 받은 고급 운전기사로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롤스로이스]](Rolls-Royce Motor Cars Limited), [[캐딜락]](Cadillac),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등 최고급 [[승용차]]를 운전하며 비서, 통역, 경호, 응급처치 등 일반 운전기사들이 하지 못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고품격 운전사를 의미한다. 쇼퍼는 선진국에서는 이미 매우 명예롭고 사회적으로도 커다란 주목을 받는 전문직으로 통한다.<ref>권민철 기자, 〈[https://www.nocutnews.co.kr/news/637576 운전기사도 럭셔리 시대 ···''쇼퍼'' 서비스 첫 개시]〉, 《노컷뉴스》, 2009-10-05</ref> 2009년 사망한 마이클 잭슨의 운전기사를 잭슨가의 쇼퍼라고 명명해 최고급 운전기사로서의 쇼퍼의 이미지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쇼퍼들은 특별한 교육을 받기 때문에 지상의 파일럿이라 부르기도 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7%BC%ED%8D%BC 쇼퍼]〉, 《위키백과》</ref>   
 
  
 
{{각주}}
 
{{각주}}
24번째 줄: 21번째 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385&cid=42116&categoryId=42116 버스운전기사]〉,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385&cid=42116&categoryId=42116 버스운전기사]〉, 《네이버 지식백과》
 
* 한우진 기자,〈[https://opengov.seoul.go.kr/mediahub/15455875 버스 운전기사가 되려면 필요한 것 세 가지]〉, 《서울특별시 서울정보소통광장》, 2018-06-12
 
* 한우진 기자,〈[https://opengov.seoul.go.kr/mediahub/15455875 버스 운전기사가 되려면 필요한 것 세 가지]〉, 《서울특별시 서울정보소통광장》, 2018-06-12
* 권민철 기자, 〈[https://www.nocutnews.co.kr/news/637576 운전기사도 럭셔리 시대 ···''쇼퍼'' 서비스 첫 개시]〉, 《노컷뉴스》, 2009-10-05
 
* 〈[https://ko.wikipedia.org/wiki/%EC%87%BC%ED%8D%BC 쇼퍼]〉, 《위키백과》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운전자]]
 
 
* [[운전]]
 
* [[운전]]
 +
* [[자동차]]
 
* [[대리운전기사]]
 
* [[대리운전기사]]
 
* [[대리운전]]
 
* [[대리운전]]
* [[자동차]]
 
 
* [[버스]]
 
* [[버스]]
 
* [[택시]]
 
* [[택시]]
* [[기사]]
 
  
 
{{운전|검토 필요}}
 
{{운전|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