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개발방법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73번째 줄: 173번째 줄:
 
다양한 api들과 ajax 활성화 그리고 웹 표준도 HTML5로 정착해 가고있을때, 다양한 웹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구글 Docs 이다. 데스크톱에서나 생각했던 기능들이 웹페이지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json의 등장과 더불어 웹 언어에서는 html을 직접 그리는 경우가 점점 줄어들고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을 그리는데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에는 웹 언어에서 자바스크립트로 전달할 때 HTML 자체를 생성해서 보내기도하고, XML 기반의 데이터로 보내기도 했는데, 이제는 json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api에서도 restful 요청시 웹서버에서 CRUD기능을 수행한 다음, JSON을 통해서 결과를 보내는것이 일반적이게 되었다. 이렇게 HTML과 자바스크립트, CSS를 사용하는 프런트엔드와 웹프로그래밍 언어처럼 서버언어로 이루어진 백엔드 기술이 명확하게 구분되기 시작하게 되었다. 웹서버에서 HTML을 생성하던 부분들까지 클라이언트로 넘어오게 되면서 웹서버의 역할이 줄어들고 클라이언트가 웹서비스를 수행해야 하는 부분이 많아졌다. 웹브라우저에서만 수행하던 기능을 모바일 앱에서도 웹기능을 수행하면서 자바스크립트의 활용은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ref name="javascript">Ideveloper2 , 〈[https://ideveloper2.tistory.com/76 javascript- 속깊은 Javascript [1. 웹과 자바스크립트]]〉, 《티스토리》, 2018-04-21</ref>
 
다양한 api들과 ajax 활성화 그리고 웹 표준도 HTML5로 정착해 가고있을때, 다양한 웹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구글 Docs 이다. 데스크톱에서나 생각했던 기능들이 웹페이지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json의 등장과 더불어 웹 언어에서는 html을 직접 그리는 경우가 점점 줄어들고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을 그리는데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에는 웹 언어에서 자바스크립트로 전달할 때 HTML 자체를 생성해서 보내기도하고, XML 기반의 데이터로 보내기도 했는데, 이제는 json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api에서도 restful 요청시 웹서버에서 CRUD기능을 수행한 다음, JSON을 통해서 결과를 보내는것이 일반적이게 되었다. 이렇게 HTML과 자바스크립트, CSS를 사용하는 프런트엔드와 웹프로그래밍 언어처럼 서버언어로 이루어진 백엔드 기술이 명확하게 구분되기 시작하게 되었다. 웹서버에서 HTML을 생성하던 부분들까지 클라이언트로 넘어오게 되면서 웹서버의 역할이 줄어들고 클라이언트가 웹서비스를 수행해야 하는 부분이 많아졌다. 웹브라우저에서만 수행하던 기능을 모바일 앱에서도 웹기능을 수행하면서 자바스크립트의 활용은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ref name="javascript">Ideveloper2 , 〈[https://ideveloper2.tistory.com/76 javascript- 속깊은 Javascript [1. 웹과 자바스크립트]]〉, 《티스토리》, 2018-04-21</ref>
  
=== 웹 기반 서비스와 기술===
+
=== 사용예시 ===
 
대부분의 웹 서비스나 웹 애플리케이션이 Vue.js나 React를 이용하여 SPA(Single Page Application)로 개발되었고, 필요에 따라서는 Node.js를 이용하여 SSR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개발 안정성을 높이고 리팩토링을 진행할 때에도 좀 더 손쉽게 개발할 수 있다.<ref name="Seok Heo">Seok Heo,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line-web-services-and-techs/ LINE의 웹 기반 서비스와 기술 – LINE은 앱 만드는 회사 아닌가요?]]〉, 《라인엔지니어링》, 2019-09-30</ref>
 
대부분의 웹 서비스나 웹 애플리케이션이 Vue.js나 React를 이용하여 SPA(Single Page Application)로 개발되었고, 필요에 따라서는 Node.js를 이용하여 SSR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개발 안정성을 높이고 리팩토링을 진행할 때에도 좀 더 손쉽게 개발할 수 있다.<ref name="Seok Heo">Seok Heo,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line-web-services-and-techs/ LINE의 웹 기반 서비스와 기술 – LINE은 앱 만드는 회사 아닌가요?]]〉, 《라인엔지니어링》, 2019-09-30</ref>
  
186번째 줄: 186번째 줄:
 
* 〈[https://www.itlab.co.kr/v7/?m=bbs&bid=lec&cat=%EA%B0%9C%EB%B0%9C&sort=comment&where=subject%7Ctag&keyword=%EC%9B%B9%ED%91%9C%EC%A4%80+%EA%B0%9C%EB%B0%9C&uid=8012 웹 UI 설계]〉, 《아이티랩》
 
* 〈[https://www.itlab.co.kr/v7/?m=bbs&bid=lec&cat=%EA%B0%9C%EB%B0%9C&sort=comment&where=subject%7Ctag&keyword=%EC%9B%B9%ED%91%9C%EC%A4%80+%EA%B0%9C%EB%B0%9C&uid=8012 웹 UI 설계]〉, 《아이티랩》
 
* Ideveloper2 , 〈[https://ideveloper2.tistory.com/76 javascript- 속깊은 Javascript [1. 웹과 자바스크립트]]〉,《티스토리》, 2018-04-21
 
* Ideveloper2 , 〈[https://ideveloper2.tistory.com/76 javascript- 속깊은 Javascript [1. 웹과 자바스크립트]]〉,《티스토리》, 2018-04-21
* Seok Heo,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line-web-services-and-techs/ LINE의 웹 기반 서비스와 기술 – LINE은 앱 만드는 회사 아닌가요?]]〉, 《라인엔지니어링》, 2019-09-30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