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즈 D-맥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이스즈 D-맥스.png|썸네일|300픽셀|'''이스즈 D-맥스'''(Isuzu D-MAX)]]
+
이스즈 D-맥스
[[파일:이스즈 글자.png|썸네일|300픽셀|'''이스즈'''(いすゞ自動車, Isuzu Motors Limited)]]
 
 
 
'''이스즈 D-맥스'''(Isuzu D-MAX)는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인 '''[[이스즈]]'''(Isuzu)에서 제작하는 중형 [[픽업트럭]]이다. [[태국]]에서 생산 중인 픽업트럭으로, [[제너럴모터스]](General Motors)와 공동 개발한 전략 차종이다. 한때 [[일본]] 시장에서도 판매됐으며, [[패스터]]와 [[로데오]]의 후속 차종이다. [[라틴아메리카]] 시장과 [[북아프리카]] 시장에는 '''쉐보레 D-맥스''' 혹은 '''쉐보레 LUV D-맥스''', '''쉐보레 T 시리즈''' 등으로 판매됐다. 'D'의 의미는 디젤(Diesel), 직분사 방식(Direct injetion), 디자인(Design), 내구성(Durability), 용(Dragon)의 앞글자에서 따왔으며, 맥스의 의미는 이러한 것들을 최대화시킨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자동차 배너}}
 
 
 
== 역사 ==
 
=== 1세대 ===
 
[[파일:이스즈 D-맥스 1세대.png|썸네일|300픽셀|'''이스즈 D-맥스 1세대''']]
 
 
 
1세대 이스즈 D-맥스는 2002년에 출시되어 2010년까지 생산되었다. 2006년에는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다. CRDi 기술이 적용됐으며, 2.5L, 3.0L, 3.0L 터보 차량이 판매됐다. [[자동변속기]]로 4단 RZB 변속기도 구비됐다. 2005년에 [[태국]]에서는 16만 3,153대가 판매되어 사상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태국 올해의 차, 최우수 연비 픽업 상 등을 차지했다. 파생 차종으로 MU-7이 존재한다. [[호주]] 시장에서는 2008년부터 판매를 시작했다.<ref> 〈[https://namu.wiki/w/%EC%9D%B4%EC%8A%A4%EC%A6%88%20D-%EB%A7%A5%EC%8A%A4 이스즈 D-맥스]〉, 《나무위키》 </ref>
 
 
 
=== 2세대 ===
 
[[파일:이스즈 D-맥스 2세대.png|썸네일|300픽셀|'''이스즈 D-맥스 2세대''']]
 
 
 
2세대 이스즈 D-맥스는 2012년에 출시되어 2018년까지 생산되었다. D-맥스는 크게 2인승 싱글캡(Single Cab)과 스페이스캡(Space Cab), 5인승 레귤러캡 등 3가지로 구분한다. 운전석과 보조석의 1열로만 이루어진 2인승 싱글캡과 1열 뒷공간에 약간 여유가 있는 2인승 스페이스캡 그리고 승용차처럼 4~5명이 탑승 가능한 레귤러캡(regular Cab) 등이다. 래귤러캡의 경우 길이 5,295㎜, 너비 1,860㎜, 높이 1,785㎜, 휠베이스 3,095㎜로 [[렉스턴 스포츠]](길이 5,095㎜, 너비 1,950㎜, 높이 1,840㎜, 휠베이스 3,100㎜)와 비교하면 200㎜ 길고 폭과 높이는 약간 작은 대신 [[휠베이스]]는 비슷하다. 적재 가능 중량은 약 1~1,1t, 견인력은 3.5t 수준이다. 아울러 차량 [[섀시]]에 별도의 적재함 옵션(트레이 바디)을 부착 시 소형트럭과 맞먹는 적재능력을 갖추게 되는데, 스페이스캡 섀시의 [[적재함]] 크기는 1.9m×1.7m이고, 싱글캡 섀시는 2.6m×1.7m다. 참고로 국산 [[소형트럭]]의 적재함 크기는 약 2.7m×1.6m 수준이다. [[엔진]]은 2.5ℓ 가솔린과 디젤 및 3.0ℓ 디젤로 다양하며 [[변속기]]는 6단 수동 및 자동과 맞물린다.<ref> 김성윤 기자,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8110907812 이스즈 픽업트럭 'D-맥스', 국내 공식 수입된다]〉, 《한국경제》, 2018-11-12 </ref><ref> 박현욱 기자, 〈[https://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9844 이스즈 ‘D-맥스’ 픽업트럭 출시 예고]〉, 《상용차신문》, 2018-12-13 </ref>
 
 
 
=== 3세대 ===
 
[[파일:이스즈 D-맥스 3세대.png|썸네일|300픽셀|'''이스즈 D-맥스 3세대''']]
 
 
 
3세대 이스즈 D-맥스는 2019년 10월 11일 [[태국]] 시장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그리고 이때부터 '이스즈 다이나믹 드라이브 플랫폼'이라는 새 플랫폼을 적용하여 [[제너럴모터스]]와 완전히 결별했다. 3세대 [[마쓰다 BT-50]]이 이 차를 기반으로 한다. 3세대 이스즈 D-맥스는 [[동남아]], [[호주]] 등 전 세계 100여 국가로 수출되고 있는 인기 픽업트럭 모델로 등극했다. 뛰어난 내구성과 경제성을 바탕으로 중형 픽업트럭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토요타 하이럭스]], [[닛산 나바라]] 등과 경쟁하고 있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22년에 출시되었다. RZ4E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3.5톤 견인력을 보유했다. 최대 적재량은 700㎏으로, [[렉스턴 스포츠 칸]]과 비슷한 수준이다. 크기는 [[현대 포터]]와 [[기아 봉고]]의 중간 수준이다. 전장 5,265㎜, 전폭 1,870㎜, 전고 1,785㎜, 축거 3,125㎜ 등에 달한다.<ref> 최동훈 기자,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56391 <nowiki>[상용차 리그]</nowiki> 이스즈 픽업트럭 ‘디맥스’ 한국 상륙, 승부수는?]〉, 《이코노믹리뷰》, 2021-11-27 </ref><ref> 이민우 기자,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1112501716 이스즈, 2022년 픽업트럭 D-맥스 출시]〉, 《조선일보》, 2021-11-25 </ref>
 
 
 
==== 부분변경 ====
 
[[파일:이스즈 D-맥스 3세대 부분변경.png|썸네일|300픽셀|'''이스즈 D-맥스 3세대 부분변경''']]
 
 
 
2023년에 공개된 부분변경 모델은 전면부는 시선을 압도하는 커다란 [[라디에이터 그릴]]이 중앙에 자리한다. [[부분변경]] 모델에서는 그릴 면적이 더 커졌으며, 패턴이 단순해졌다. 특히 뱀의 송곳니를 연상시키는 상단 이중 [[가니시]]가 특징으로, 부분변경 이전부터 적용되고 있던 D-맥스만의 특징이다. 그릴 하단 모서리에는 [[에어커튼]]이 추가됐다. [[헤드램프]] 디테일도 변화됐다. 기존 대비 안쪽을 날렵하게 깎았다. 주간주행등은 'ㄴ'자 형태에서 'ㄱ'자로 바뀌면서 훨씬 악동스러운 이미지가 연출됐다. [[범퍼]] 디자인은 이전 대비 간결해졌다. 전반적으로 [[블랙]] [[무광]] 가니시의 비중이 커졌다. 상급 트림인 비크로스(V-Cross) 모델의 경우 범퍼 하단 [[스키드 플레이트]]로 단단한 느낌을 훨씬 강조했다. 후면부는 [[테일램프]] 디자인이 변경됐다. 기존 모델의 후면부에는 2분할 방식 테일램프가 장착되어 있었다. 부분변경 모델에서는 테일램프의 디테일이 3분할 방식으로 변경되면서 공격적인 느낌이 극대화됐다. [[테일게이트]] 상단은 이전보다 크게 돌출되어 [[스포일러]] 역할도 수행한다.
 
 
 
강렬한 외관에 비해 [[실내공간]]은 상대적으로 차분하다. 3스포크 [[스티어링 휠]]과 [[도어 트림]], [[시트]] 및 [[대시보드]] 등에 [[브라운]]과 [[그레이]] 투톤 구성을 취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준다. 7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9인치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가 탑재된다. 1열 및 2열에 USB-C타입 단자가 마련됐다. [[파워트레인]]은 1.9리터 [[디젤]] 터보를 기본 사양으로 하고 있다. [[최고출력]] 148마력, [[최대토크]] 35.7kg·m를 발휘한다. 상급 모델인 디맥스 비크로스에는 188마력의 최고출력과 45.9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하는 3.0리터 디젤 터보 엔진이 탑재된다. 두 가지 파워트레인 모두 6단 수동 또는 [[자동변속기]]와 조합되며, 비크로스에는 [[오프로드]] 주행 시 제동 능력과 엔진 컨트롤을 조정하는 새로운 지형 모드가 제공된다.<ref> 최현진 기자, 〈[https://www.auto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64 "렉스턴 스포츠 짝퉁인가"... 동남아 황제급 일본 픽업트럭, 국내 출시 임박?]〉, 《오토트리뷴》, 2023-10-12 </ref>
 
 
 
==== 전기 픽업트럭 ====
 
[[파일:이스즈 D-맥스 전기.png|썸네일|300픽셀|'''이스즈 D-맥스 전기 픽업트럭''']]
 
 
 
2024년 3월 20일에 전기 버전인 이스즈 D-맥스 [[BEV]] [[전기 픽업트럭]]이 공개되었다. 이스즈는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적극 노력 중이며, 먼저 [[유럽]]에 전기 픽업트럭을 선 출시한 후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전기 버전의 D-맥스는 전통적인 D-맥스의 튼튼한 프레임 구조와 [[사륜구동]] 시스템을 유지하며, [[전기모터]]를 통해 새로운 차원의 친환경성과 효율성을 보장한다. 성능은 177마력의 총 출력을 자랑하며, 전륜에 54마력, 후륜에 122마력의 전기모터가 탑재되어 있다. 이 듀얼모터 시스템은 1톤의 적재 용량과 130km/h 이상의 최대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차량에는 66.9kWh 용량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으며, 항속거리는 약 300km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기 버전의 D-맥스의 외관은 [[라디에이터 그릴]] 대신 슬롯이 있는 [[플러그]]와 새로운 장식을 적용하여 디젤 버전과 차별화를 꾀했다. 내부 디자인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기존 D-맥스의 내부를 그대로 반영할 것으로 예상된다.
 
 
 
;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 버전과 함께 이스즈 D-맥스의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버전도 공개되었다. 이 모델은 1.9리터 터보디젤 엔진에 48볼트 스타터 제너레이터가 추가되어 효율성을 높였다. 마일드 하이브리드 버전의 구체적인 판매 시작일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며, 이스즈는 현재 시장 조사를 진행 중이다.<ref> 오토포크, 〈[https://view.nate.com/auto/view/151762/ “전기 픽업 디자인 중 제일 잘빠진 이 차는?!” 이스즈 D-Max]〉, 《네이트뷰》, 2024-03-21 </ref>
 
 
 
== 관련 차량 ==
 
=== 마쓰다 BT-50 ===
 
[[파일:마쓰다 BT-50 3세대.png|썸네일|300픽셀|'''마쓰다 BT-50 3세대''']]
 
 
 
[[마쓰다 BT-50]](Mazda BT-50)는 [[일본]]의 자동차 제조업체 [[마쓰다]](Mazda)에서 2006년부터 제조하고 있는 [[픽업트럭]]이다. 차명의 유래는 'B-시리즈 트럭'의 약자에 [[소형 트럭]]과 [[중형 트럭]]의 중간에 있는 적재량 500kg의 차량을 내타내는 '50'을 합성한 단어이다. 3세대 이스즈 D-맥스와 3세대 마쓰다 BT-50은 형제차 관계이다. 마쓰다 BT-50 1세대는 2006년 3월 27일 [[방콕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포드 레인저]]의 자매 차량이기도 하다. 생산은 마쓰다와 [[포드]](Ford)의 [[태국]] 합자 회사인 토 얼라이언스 타일랜드에서 생산된다. 수출은 [[북미]], [[일본]], [[대한민국]] 시장 등을 제외한 [[유럽]]이나 [[호주]] 시장에 판매되고 있다. [[엔진]]은 포드 레인저와 같은 CRDi 터보 [[디젤 엔진]]을 사용했으며, 2.5L와 3.0L 직렬 [[4기통]] 엔진이 적용된다.
 
 
 
마쓰다 BT-50 2세대는 2010년 10월 [[시드니]]에서 열린 [[호주 국제모터쇼]](AIMS)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 2세대 모델도 포드 레인저를 기반으로 하며, 2011년 7월 [[멜버른]]에서 열린 호주 국제모터쇼에서는 프리 스타일 캡 사양을 공개했는데, 이는 화물칸의 문을 소형화하고, 여닫이 방식으로 변경한 것이다. 호주에서는 그 해 10월부터 판매가 시작되었고, 직렬 4기통 2.2L 인터쿨러 터보 디젤 엔진과 [[5기통]] 3.2L 인터쿨러 터보 디젤 엔진이 탑재되었다. [[변속기]]는 6단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 사양이 있다. [[인도네시아]] 시장의 경우에는 1세대 차량과 병행 판매를 하고 있기 때문에, 2세대 차량에 BT-50 프로라는 이름으로 판매를 하고 있다.
 
 
 
마쓰다 BT-50 3세대는 2021년 1월 21일에 출시되었다. 이전 세대까지는 포드 레인저와 형제 차종이었으나 포드와의 제휴가 중단되어 3세대부터는 이스즈 다이나믹 드라이브 플랫폼을 적용한 이스즈 D-맥스 기반의 차종으로 바뀌었다. [[이륜구동]]의 [[배기량]] 1.9ℓ의 하이레이서와 [[사륜구동]]의 배기량 3.0ℓ의 모델이 있으며, 특히 하이레이서의 인기가 높다. 엔진은 140kW의 출력과 450Nm의 토크를 발휘하는 이스즈 J형 엔진군의 3.0L 디젤 엔진이 탑재되었다. 기존 포드 3.2L 디젤 엔진에 비해 출력은 약간 낮아졌지만 [[연료]] 효율을 높였다. [[차체]] 무게를 줄이고 고효율 엔진을 탑재해 [[연비]]가 개선되었다. 3,500kg의 견인 용량과 1,000kg의 최대 적재량을 가졌다.<ref> 이경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10205105708186 (NNA) 日 마쯔다, 신형 픽업트럭 BT_50 판매 호조]〉, 《아주경제》, 2021-02-05 </ref><ref> 〈[https://namu.wiki/w/%EB%A7%88%EC%93%B0%EB%8B%A4%20BT-50 마쓰다 BT-50]〉, 《나무위키》 </ref>
 
 
 
{{각주}}
 
 
 
== 참고자료 ==
 
* 〈[https://namu.wiki/w/%EC%9D%B4%EC%8A%A4%EC%A6%88%20D-%EB%A7%A5%EC%8A%A4 이스즈 D-맥스]〉,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A7%88%EC%93%B0%EB%8B%A4%20BT-50 마쓰다 BT-50]〉, 《나무위키》
 
* 김성윤 기자,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8110907812 이스즈 픽업트럭 'D-맥스', 국내 공식 수입된다]〉, 《한국경제》, 2018-11-12
 
* 박현욱 기자, 〈[https://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9844 이스즈 ‘D-맥스’ 픽업트럭 출시 예고]〉, 《상용차신문》, 2018-12-13
 
* 이경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10205105708186 (NNA) 日 마쯔다, 신형 픽업트럭 BT_50 판매 호조]〉, 《아주경제》, 2021-02-05
 
* 이민우 기자,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1112501716 이스즈, 2022년 픽업트럭 D-맥스 출시]〉, 《조선일보》, 2021-11-25
 
* 최동훈 기자,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56391 <nowiki>[상용차 리그]</nowiki> 이스즈 픽업트럭 ‘디맥스’ 한국 상륙, 승부수는?]〉, 《이코노믹리뷰》, 2021-11-27
 
* 최현진 기자, 〈[https://www.auto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64 "렉스턴 스포츠 짝퉁인가"... 동남아 황제급 일본 픽업트럭, 국내 출시 임박?]〉, 《오토트리뷴》, 2023-10-12
 
* 오토포크, 〈[https://view.nate.com/auto/view/151762/ “전기 픽업 디자인 중 제일 잘빠진 이 차는?!” 이스즈 D-Max]〉, 《네이트뷰》, 2024-03-21
 
 
 
== 같이 보기 ==
 
* [[닛산 나바라]]
 
* [[마쓰다 BT-50]]
 
* [[이스즈]]
 
* [[토요타 하이럭스]]
 
 
 
{{일본 자동차|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