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치자동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8번째 줄: 108번째 줄:
 
[[파일:홍치 E-HS9.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홍치 E-HS9]]
 
[[파일:홍치 E-HS9.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홍치 E-HS9]]
 
[[파일:홍치 S9.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홍치 S9]]
 
[[파일:홍치 S9.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홍치 S9]]
[[파일:번텅 T77.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번텅 T77]]
 
[[파일:번텅 E01.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번텅 E01]]
 
[[파일:테이론X.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테이론X'''(TayronX, 探岳X)]]
 
[[파일:테이론 GTE.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테이론 GTE]]
 
[[파일:아우디E-tron.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아우디E-tron]]
 
[[파일:제타VA3.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제타VA3]]
 
  
 
* '''홍치 H5''' : 홍치에서 생산하고 있는 중형 차량이다. 2017년 상하이 오토쇼에서 공개된 컨셉트카를 기반으로 같은 해 광저우 모터쇼에서 생산차량이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홍치 H7 차량의 아랫급 차량이다.차량은 3세대 마쓰다 아텐자를 기반으로 했으며, 파워트레인은 1.8L 가솔린 터보 I4 엔진이 적용되며 178마력, 250Nm의 토크를 낸다. 6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으며 전륜구동 차량이다. 가격은 149,800위안~195,800위안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생산은 중국 지린성 창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ref> 〈[https://namu.wiki/w/%ED%99%8D%EC%B9%98%20H5 홍치 H5]〉, 《나무위키》, </ref> 2019년에는 홍치H5 수소전기차가 상하이모터쇼에서 출품되었다.  
 
* '''홍치 H5''' : 홍치에서 생산하고 있는 중형 차량이다. 2017년 상하이 오토쇼에서 공개된 컨셉트카를 기반으로 같은 해 광저우 모터쇼에서 생산차량이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홍치 H7 차량의 아랫급 차량이다.차량은 3세대 마쓰다 아텐자를 기반으로 했으며, 파워트레인은 1.8L 가솔린 터보 I4 엔진이 적용되며 178마력, 250Nm의 토크를 낸다. 6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으며 전륜구동 차량이다. 가격은 149,800위안~195,800위안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생산은 중국 지린성 창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ref> 〈[https://namu.wiki/w/%ED%99%8D%EC%B9%98%20H5 홍치 H5]〉, 《나무위키》, </ref> 2019년에는 홍치H5 수소전기차가 상하이모터쇼에서 출품되었다.  
124번째 줄: 118번째 줄:
  
 
* '''홍치 S9''' : 지난 2019 프랑크푸르트모터쇼에서 선보인 하이브리드 하이퍼카이다. 2021년에 70대만 한정 생산할 예정이며 예상 판매가는 14500만 위안~1650만 위안으로 24억~27억원 정도라고 한다. 이는 롤스로이스 팬텀 최고급사양 920만 위안을 초과하게 된다. 홍치S9은 1400마력을 보이는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경량화를 위해 당연히 카본을 사용하였고 날카로운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측면에서 바라보면 살짝 넓은 U자 모양으로 파여 있는 느낌을 주며 끝까지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에어덕트도 보인다. 휠 또한 굉장히 독특한 디자인을 보여준다. 후면 부를 보면 리어 스포일러를 2단으로 설치하여 장착했으며 무엇보다도 테일램프가 눈에 띄는데 마치 동물 발톱과 같은 모양으로 매우 작다. 배기구를 세로로 늘려 날카롭게 만든 것도  S9의 특별한 점이다. S9은 V8 터보차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하였으며, 최고속도 400km/h를 발휘하며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는 1.9초가 소요된다. 제로백 1.9초는 모든 하이퍼카 중에서 최상위권이라고 할수 있다. 브렘보 브레이크시스템을 탑재하고 사이드 미러 대신 리어뷰카메라를 설치한 것도 특징이다.<ref>조정기 에디터, 〈[http://www.carguy.kr/news/articleView.html?idxno=38472 중국 롤스로이스 홍치..1400마력 제로백 1.9초 20억원대 하이퍼카 공개]〉, 《카가이》, 2019-12-19</ref>
 
* '''홍치 S9''' : 지난 2019 프랑크푸르트모터쇼에서 선보인 하이브리드 하이퍼카이다. 2021년에 70대만 한정 생산할 예정이며 예상 판매가는 14500만 위안~1650만 위안으로 24억~27억원 정도라고 한다. 이는 롤스로이스 팬텀 최고급사양 920만 위안을 초과하게 된다. 홍치S9은 1400마력을 보이는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경량화를 위해 당연히 카본을 사용하였고 날카로운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측면에서 바라보면 살짝 넓은 U자 모양으로 파여 있는 느낌을 주며 끝까지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에어덕트도 보인다. 휠 또한 굉장히 독특한 디자인을 보여준다. 후면 부를 보면 리어 스포일러를 2단으로 설치하여 장착했으며 무엇보다도 테일램프가 눈에 띄는데 마치 동물 발톱과 같은 모양으로 매우 작다. 배기구를 세로로 늘려 날카롭게 만든 것도  S9의 특별한 점이다. S9은 V8 터보차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하였으며, 최고속도 400km/h를 발휘하며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는 1.9초가 소요된다. 제로백 1.9초는 모든 하이퍼카 중에서 최상위권이라고 할수 있다. 브렘보 브레이크시스템을 탑재하고 사이드 미러 대신 리어뷰카메라를 설치한 것도 특징이다.<ref>조정기 에디터, 〈[http://www.carguy.kr/news/articleView.html?idxno=38472 중국 롤스로이스 홍치..1400마력 제로백 1.9초 20억원대 하이퍼카 공개]〉, 《카가이》, 2019-12-19</ref>
 
* '''번텅 T99''' : SUV 차량이다. 2019년 4월 상하이 모터쇼에서 공개된 T2 컨셉트카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2019년 9월에 공개된 후 같은 해 11월 1일부터 판매되었다. 특수 기능으로는 제조사가 차량에 홀로그래픽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계기판에 홀로그램 이미지를 표시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차량의 필수 기능의 경우 음성 인식을 통해 작동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생산은 중국 지린 성 창춘시에서 이루어진다. 파워트레인으로는 2.0L 가솔린 터보 I4 엔진이 탑재되며, 셩루이(Shengrui) 사의 8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된다. 2020년 6월부터는 아이신 사에서 생산하는 6단 자동변속기도 탑재되기 시작했다. 전륜구동 차량으로 전장은 4,800mm, 전폭은 1,915mm, 전고는 1,685mm, 휠베이스는 2,870mm이다.<ref> 〈[https://namu.wiki/w/%EB%B2%A0%EC%8A%A4%ED%8A%A0%20T99 베스턴 T99]〉, 《나무위키》, </ref>
 
 
* '''번텅 E01''' : 2020년 9월에 정식으로 출시된 순 전동 SUV이다. 판매가격은 19만6800위안에서 22만8800위안 사이다. FME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번텅 브랜드의 순수 전기 E시리즈의 첫 모델이다. 최대 항속거리는 450km이며 190마력 모터를 탑재했다. 최대토크는 320Nm를 낸다.<ref> 石瑞, 〈[https://www.sohu.com/a/420985019_122143 一汽奔腾E01正式上市 售19.68万元起/推5款车型]〉, 《搜狐网》, 2020-09-26</ref>
 
 
* '''테이론X'''(TayronX, 探岳X) : 2020년 7월 17일에 출시된 이치폭스바겐의 최초의 패스트백 SUV이다. 폭스바겐의 MQB 플랫폼이 적용되었으며 기존 테이론을 부분 변경해서 만든 차량이다. 판매가격은 23만5800위안에서 29만5800위안 사이다.  2018년 3월 폭스바겐 투아렉과 함께 폭스바겐의 진보된 중형 쿠페형 SUV로 소개된 적이 있었다. 폭스바겐 테라몬트 X 이후 나오는 쿠페형 SUV 차량으로, 이외에도 폭스바겐 니부스 및 폭스바겐 티구안 X까지 확장이 이루어졌다.
 
 
:파워트레인으로 2.0L 폭스바겐 EA888형 330 TSI 사양과 2.0L 폭스바겐 EA888형 330 TSI 사양과 380 TSI 사양이 동시에 판매되며, 330 TSI 사양은 폭스바겐 테이론에도 적용되며, 각각 186PS, 320Nm의 파워와 토크를 내며,전륜구동 사양이 기본으로 적용되나, 380 TSI 사양은 220PS, 350Nm의 파워와 토크를 내며, 4륜구동 사양이 기본으로 적용된다.
 
 
:변속기는 모두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가 적용되며, 최고 속도는 200km/h, 제로백은 330 TSI 사양이 8.7초, 380 TSI 사양이 7.6초가 걸렸다. 330 TSI 차량은 1,675kg의 무게가 나가며, 380 TSI 사양은 1,755kg의 무게가 나간다. 연비는 각각 330 사양이 약 14.7km/L, 380 사양이 약 13.3km/L이다.<ref> 〈[https://namu.wiki/w/%ED%8F%AD%EC%8A%A4%EB%B0%94%EA%B2%90%20%ED%85%8C%EC%9D%B4%EB%A1%A0%20X 폭스바겐 테이론 X]〉, 《나무위키》, </ref>
 
 
* '''타쿠아'''(Tacqua, 探影) : 소형 SUV이다. 2019년 11월에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광저우 모터쇼 때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폭스바겐 T-크로스와 동일하게 생겼고, 생산 역시 SAIC-VW에서 진행하나 판매는 FAW-VW에서 이루어진다. 이 차 역시 중국형 T-크로스처럼 유럽형이 아닌 롱휠베이스 형태로 만들어졌다. 이러한 방식은 중국에서 매우 흔한데, 토요타 RAV4를 토요타 와일드랜더로 판매하거나 혼다 HR-V를 혼다 XR-V로 판매하기도 하며, 폭스바겐 같은 경우는 보라와 라비다 플러스, 테이론이나 타루처럼 한 차종을 2개로 차별화해 판매하는 전략을 취하는데, 이는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과 중국의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가 가진 지역적 특색에 영향이 있으며, 폭스바겐과 같은 경우 베이징 지역은 FAW를 중심으로, 남부 지역은 SAIC을 중심으로 판매하고 있다. 차량의 전장은 4,194mm, 전폭은 1,760mm, 전폭은 1,601mm, 휠베이스는 2,651mm, 공차중량은 1,225kg~1,310kg을 기록했다. 전륜구동 방식을 띄고 있다. 판매가격은 11만5900위안부터 15만9900위안 사이다.<ref> 〈[https://namu.wiki/w/%ED%8F%AD%EC%8A%A4%EB%B0%94%EA%B2%90%20%ED%83%80%EC%BF%A0%EC%95%84 스바겐 타쿠아]〉, 《나무위키》, </ref>
 
 
* '''테이론GTE'''(探岳GTE) : 2020년 4월 25일에 출시된 이치폭스바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판매가격은 24만9800위안에서 25만9800위안이다. 1.4TSI 엔진과 모터, 3원계 리튬배터리 세트로 구성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으며 배터리팩은 [[CATL]](宁德时代)에서 공급한다. 종합 최대 출력은 55kW(211Ps), 최대 토크는 400Nm에 달한다. 100Km 당 연비는 2L, 순 전기 모드에서 항속거리는 54km이다. 기존 테이론과 비교하면 테이론GTE는 블루 전용색외에서 앞쪽에 C자형 주행등을 달았다. 차체 크기는 4603mm*1860mm*1658mm, 축간거리는 2730mm이다.<ref>爱卡汽车, 〈[https://www.163.com/dy/article/FB2QSQ0D05279GM2.html 一汽-大众探岳GTE上市 售价24.98万元起]〉, 《网易》, 2020-04-25</ref>
 
 
* '''아우디 e-tron'''(奥迪 e-tron) : 2019년에 11월에 출시된 4륜구동 순수 전기차 준대형 SUV이다. 판매가격은 69만2800위안에서 80만800위안 사이다. 최대 출력은 300kW(약408마력), 최대 토크는 664N▪m, 제로백은 5.7s, 95kWh 용량의 배터리팩을 탑재해 NEDC 종합 주행거리가 470km에 달한다. 이미 많은 신에너지차 업체들이 항속거리 500km를 내고 있지만 신차는 8%의 예비전력이 남아있어 긴급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 차체크기는 4901mm*1935mm*1628mm,축간거리는 2928mm이다. 이 차는 최대 150kW 급속충전을 지원하지만 중국 내에서는 120kW 급속 충전만 가능하며 40분 만에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아우디 합작 충전소에서도 고출력 직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해 30분 만에 200㎞가 넘는 항속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우디는 고정된 주차장을 가진 사용자에게 전용 가정용 충전 벽 케이스를 제공하며 무료설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설치 불가 시에는 보상 충전 솔루션을 제공한다. 신차는 또 L2급 자율주행 기능을 가지고 있다.<ref>Juice, 〈[https://chedongxi.com/p/178897.html 奥迪e-tron国内上市 综合续航里程470公里 69.28万起售]〉, 《车东西》, 2019-11-19</ref>
 
 
* '''제타VA3''' : 제타에서 생산하는 중국 전략형 세단 차종으로, 폭스바겐 제타를 배지 엔지니어링한 차량이다. 2019년에 제타 VS5, 제타 VS7과 함께 공개되었으며, 브랜드의 유일한 세단 차량이다. 2013년에 출시된 제타의 중국 사양인 '제타 나이트'를 기반으로 하였다. 생산은 중국 청두에 위치한 FAW- 폭스바겐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중국 전용 차량이지만, 개발은 독일에서 이루어졌다. 플랫폼은 폭스바겐 제타 나이트에 적용된 A05+형으로 추정된다. 형제차로는 2세대 폭스바겐 산타나, 세아트 톨레도 등이 있다.
 
 
:파워트레인은 기반 차량인 제타 나이트를 기준으로 하며, 실제 차량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1.4L EA211형 터보 I4 엔진이 적용되며, 131PS의 최대출력과 225Nm의 최대토크를 낸다. 1.5L EA211형 I4 엔진의 경우 110PS의 최대 출력과 150Nm의 최대토크를 낸다. 1.5L 사양에는 기본으로 5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며, 옵션으로 6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된다. 1.4L 터보 사양의 경우에는,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가 적용된다.
 
 
:차량의 제로백은 10.8초~12.5초 정도로 추정되며, 1.5L 차량의 공차중량은 1,115kg~1,170kg으로 추정된다.1.4L 터보의 경우, 제로백은 8.7초이며, 차량의 공차중량은 1,210kg이다. 최고 속력은 1.5L 사양이 185km/h, 1.4L 터보 사양이 200km/h를 기록했다. 전륜구동 차량이며, 전장은 4,501mm, 전폭은 1,704mm, 전고는 1,469mm이며, 휠베이스는 2,604mm이다.<ref> 〈[https://namu.wiki/w/%EC%A0%9C%ED%83%80%20VA3 제타 VA3]〉, 《나무위키》, </ref>
 
  
 
== 핵심기술 ==
 
== 핵심기술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