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치토요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이치토요타'''<!--이치 토요타, 이치토요다, 이치 토요다-->(一汽丰田汽车有限公司, FAW-TOYOTA MOTOR CO., LTD.)는 중국의 대형 중외합자 자동차 제조기업이다. 2003년 9월에 세계적으로 명성을 가지고 있는 중국 [[이치그룹]]과 일본 [[토요다]] 자동차 그룹이 공동으로 설립하였다. 중국 텐진경제기술개발구에 본부를 두고 있다. 이치토요터의 현직 대표이사는 이치그룹 현직 공산당위원회 서기이자 이사장인 [[쉬리우핑]](徐留平, {{발음|徐留平}})이며 원 이치그룹 인력자원부 부장이었던 [[황용]](黄勇, {{발음|黄勇}})이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상무부총괄을 맡고 있다. 이치토요타의 총괄관리는 토요다본부 상무이사이자 토요다 중국본부 부본부장인 [[시바가와 하야토]](柴川早人)가 맡고 있다.
 
'''이치토요타'''<!--이치 토요타, 이치토요다, 이치 토요다-->(一汽丰田汽车有限公司, FAW-TOYOTA MOTOR CO., LTD.)는 중국의 대형 중외합자 자동차 제조기업이다. 2003년 9월에 세계적으로 명성을 가지고 있는 중국 [[이치그룹]]과 일본 [[토요다]] 자동차 그룹이 공동으로 설립하였다. 중국 텐진경제기술개발구에 본부를 두고 있다. 이치토요터의 현직 대표이사는 이치그룹 현직 공산당위원회 서기이자 이사장인 [[쉬리우핑]](徐留平, {{발음|徐留平}})이며 원 이치그룹 인력자원부 부장이었던 [[황용]](黄勇, {{발음|黄勇}})이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상무부총괄을 맡고 있다. 이치토요타의 총괄관리는 토요다본부 상무이사이자 토요다 중국본부 부본부장인 [[시바가와 하야토]](柴川早人)가 맡고 있다.
{{:자동차 배너|중국}}
 
  
 
==회사개요==
 
==회사개요==
27번째 줄: 26번째 줄:
 
[[쉬리우핑]](徐留平)은 이치토요타자동차의 현직 대표이사이고 이치자동차그룹의 공산당위원회 서기이자 이사장이다.
 
[[쉬리우핑]](徐留平)은 이치토요타자동차의 현직 대표이사이고 이치자동차그룹의 공산당위원회 서기이자 이사장이다.
  
쉬류핑은 현직 이치그룹의 공산당위원회 서기이고 이사장이며 대표이사이다.
+
1964년 10월에 장쑤양중(江苏扬中)에서 출생하였으며 1981년에 창저우대학교(常州大学, 원 江苏化工学院) 유기 화학 공업학부에 진학하여 유기 화학 공학을 전공하고 1985년 7월에 졸업하였다. 1985년 7월에 베이징이공대학교(北京理工大学, 원 北京工业学院)대학원 화학공업학부에 진학하여 정밀화학공학을 전공하고 1988년 6월에 공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7년 9월부터 2002년 8월사이에 베이징이공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밟았다. 
  
964년 10월에 장쑤성양중시(江苏扬中)에서 출생하였으며 1981년에 창저우대학교(常州大学, 원 江苏化工学院) 유기 화학 공업학부에 진학하여 유기 화학 공학을 전공하고 1985년 7월에 졸업하였으며 1985년 7월에 베이징이공대학교(北京理工大学, 원 北京工业学院)대학원 화학공업학부에 진학하여 정밀화학공학을 전공하고 1988년 6월에 공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7년 9월부터 2002년 8월사이에 베이징이공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밟았다.
+
1988년 6월에 노린코(NORINCO, 일명 중국북방공업)에 취직하여 품질관리 엔지니어, 품질관리처 부처장, 사무국 총괄사무실 부처장급 비서, 처장급 비서를 역임하였으며 1999년 6월에 중국국방과학기술공업위원회(国防科工委, Commission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for National Defense) 사무국 총괄/공산당조직위원회사무국 처장급 비서로 임명 받아 역할하다가 2000년 10월에 노린코 발전기획부 부총괄, 2003년 2월에 발전기획부 총괄로 승진하였다. 이 기간에 조직 파견을 받고 2001년 2월부터 1년간 창안자동차그룹 부총괄로 지냈으며 2003년 10월부터 2005년 1월까지 루어양노던앤터프라이즈그룹(洛阳北方企业集团有限公司, Luoyang Northern Enterprises Group Co.,Ltd.) 이사장으로 역할하였다.  
  
1988년 6월부터 차이나 내셔널 오드넌스 인더스트리 코퍼레이션(China National Ordnance Industry Corp, 中国兵器工业总公司) 품질기술안전국(质量技安局)과 과학기술과품질감독국품질관리처(科技与质量监督局质量管理处)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였으며 1996년 7월에 부처장으로 승진하였다. 1997년 1월부터 사무국 총괄사무실 부처장급 비서, 처장급 비서를 역임하였으며 1999년 6월부터 중국국방과학기술공업위원회(国防科工委, Commission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for National Defense) 사무국 총괄/공산당조직위원회사무국 처장급 비서로 역할하였다. 1999년에 차이나 내셔널 오드넌스 인더스트리 코퍼레이션이 노린코(Norinco)와 CSGC(China Ordnance Equipment Group Corporation also known as China South Industries Group Corporation, 中国兵器装备集团有限公司 亦称 中国南方工业集团公司으로 나뉜 뒤에 쉬류핑은 2000년 10월에 CSGC로 전근하여 발전기획부 부총괄로 역할하였으며 2003년 2월에 발전기획부 총괄로 승진하였다. 이 기간에 조직 파견으로 2001년 2월부터 1년간 창안자동차그룹 부총괄로 지내고 2003년 10월부터 1년반 루어양노던앤터프라이즈그룹(洛阳北方企业集团有限公司, Luoyang Northern Enterprises Group Co.,Ltd.) 이사장으로 지냈다.
+
2004년 1월에 노린코 자동차사업부 총괄로 임명되었으며 그 해 12월에 노린코공산당조직위원회멤버, 총괄보 겸 자동차사업부 총괄로 승진하였다. 2005년 11월에 노린코공산당조직위원회멤버, 부총괄 겸 창안자동차주식유한회사 집행이사와 고급부총괄로 임명되었으며 2006년 1월에 노린코공산당조직위원회멤버, 부총괄, 창안자동차주식유한회사 집행이사, 고급부총괄 겸 창안자동차그룹 총괄, 공산당위원회 서기로 되었다.  
  
2004년 1월에 CSGC 자동차사업부 총괄로 임명되었으며 그 해 12월에 CSGC 공산당조직위원회멤버, 총괄보 겸 자동차사업부 총괄로 승진하고 2005년 11월에 CSGC 공산당조직위원회멤버, 부총괄 창안자동차주식유한회사 집행이사와 고급부총괄로 임명되었으며 2006년 1월에 CSGC 공산당조직위원회멤버, 부총괄, 창안자동차주식유한회사 집행이사, 고급부총괄 겸 창안자동차그룹 총괄, 공산당위원회 서기로 되었다.
+
2009년 11월에 노린코와 중국항공공업그룹이 산하 자동차사업을 통합하여 창안자동차그룹주식유한회사를 설립하면서 창안자동차그룹주식유한회사의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총괄을 맡았으며 2010년 7월에 창안자동차그룹 부이사장, 10월에 이사장을 맡았다. 2011년 6월에 노린코공산당조직위원회 부서기를 맡았으며 2013년 10월에 노린코 총괄, 이사 창안자동차그룹주식유한회사 이사장, 창안자동차주식유한회사 이사장을 맡았다.
  
2009년 11월에 CSGC와 중국항공공업그룹이 산하 자동차사업을 통합하여 창안자동차그룹주식유한회사를 설립하면서 창안자동차그룹주식유한회사의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총괄을 맡았으며 2010년 7월에 창안자동차그룹 부이사장, 10월에 이사장을 맡았다. 2011년 6월에 CSGC 공산당조직위원회 부서기를 맡았으며 2013년 10월에 CSGC 총괄, 이사 겸 창안자동차그룹주식유한회사 이사장, 창안자동차주식유한회사 이사장을 맡았다.
+
2017년 8월에 이치자동차그룹의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이사장으로 부임되어 현재까지 역할하고 있다.<ref>〈[https://baike.baidu.com/item/%E5%BE%90%E7%95%99%E5%B9%B3 徐留平]〉, 《百度百科》</ref>
 
 
2017년 8월에 이치자동차그룹의 공산당위원회 서기와 이사장으로 부임되어 현재까지 역할하고 있다.<ref>〈[http://finance.sina.com.cn/roll/2017-08-02/doc-ifyinwmp1391461.shtml 徐留平任一汽集团董事长、党委书记]〉, 《新浪财经》</ref>
 
  
 
===시바가와 하야토===
 
===시바가와 하야토===
147번째 줄: 144번째 줄:
 
토요타 크라운(Toyata Crown, 丰田皇冠)은 토요다 자동차가 1955년에 일본에서 출시한 럭셔리 세단 중형차이다. 2020년 4월말까지 15세대가 출시되었다.<ref>"[https://en.wikipedia.org/wiki/Toyota_Crown Toyota Crown]", ''Wikipedia''</ref> 중국의 이치토요타는 2003년에 일본에서 출시된 12세대 크라운(차종번호 S180)을 이전하여 천진공장에서 생산을 하였으며 2005년 3월에 7개 모델을 출시하였다. 출시판가는 32.8만 위안에서 48만 위안 사이로 하였으며 2005년 판매목표는 2만대로 설정하였다. 12세대 크라운은 크라운 브랜드가 런칭된 뒤 처음으로 일본 본토를 떠나 해외에서 생산된 모델로서 출시 후 중국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어 그 당시 중국 시장을 휩쓸고 있는 폭스바겐의 A6L 를 이기고 중국 럭셔리카 시장의 30%이상을 차지하였다. 12세대 크라운은 월 판매 2만대를 초과한 기록을 창조하였으며 중국 사람들의 머리속에 럭셔리카의 대표자라는 이미지를 구축하였다.<ref>〈[http://auto.sina.com.cn/news/2005-03-21/0926105342.shtml 天津一汽丰田新CROWN皇冠商品简介]〉, 《新浪汽车》, 2005-03-21</ref> 2009년 12월에 13세대 크라운(차종번호 S200) 9개 모델을 출시하였으며 럭셔리카의 이미지를 확고히 하고자 4.3L V8엔진을 탑재한 모델도 내놓았다. 출시 판가는 32.68만 위안에서 89.95만 위안 사이로 하였다. 출시 후 13세대 크라운은 독일차들의 드센 공격을 받았으며 럭셔리카 탑 레벨에 진입하겠다는 소원을 이루지 못했다.<ref>〈[https://auto.sina.com.cn/car/2009-12-16/0932550088.shtml 一汽丰田新皇冠上市 售价32.68万-89.95万]〉, 《新浪汽车》, 2009-12-16</ref>  2015년 3월에 14세대 크라운(차종번호 S210) 5개 모델을 출시하였으며 젊은 세대를 대상한 스포츠타입의 모습을 시중에 보여주었다. 출시 판가는 27.98만 위안에서 38.58만 위안으로 하였다. 출시 후 판매는 저조하였으며 경쟁모델 Audi A4L, BMW3과의 경쟁에서 밀려 2019년 전년 판매량은 불과 10,378대였다. 판매의 저조와 관련하여 업계에서는 시장 포지셔닝의 실수라고 분석하였다.<ref>〈[https://www.sohu.com/a/5909443_118777 一汽丰田全新皇冠上市 售27.98万元起]〉, 《搜狐汽车》, 2015-03-12</ref><ref>〈[http://auto.ce.cn/auto/gundong/201503/17/t20150317_4838592.shtml 14代皇冠上市悬疑之一:市场定位的高与低]〉, 《中国经济网》, 2015-03-17</ref>  2020년 4월 28일에 마지막 14세대 크라운 승용차가 이치토요타 천진공장에서 출하되었으며 이로써 크라운은 중국공장에서 종산되었다.<ref>〈[https://zhuanlan.zhihu.com/p/139130529 情怀落幕,丰田皇冠再见]〉, 《知乎》, 2020-05-08</ref>
 
토요타 크라운(Toyata Crown, 丰田皇冠)은 토요다 자동차가 1955년에 일본에서 출시한 럭셔리 세단 중형차이다. 2020년 4월말까지 15세대가 출시되었다.<ref>"[https://en.wikipedia.org/wiki/Toyota_Crown Toyota Crown]", ''Wikipedia''</ref> 중국의 이치토요타는 2003년에 일본에서 출시된 12세대 크라운(차종번호 S180)을 이전하여 천진공장에서 생산을 하였으며 2005년 3월에 7개 모델을 출시하였다. 출시판가는 32.8만 위안에서 48만 위안 사이로 하였으며 2005년 판매목표는 2만대로 설정하였다. 12세대 크라운은 크라운 브랜드가 런칭된 뒤 처음으로 일본 본토를 떠나 해외에서 생산된 모델로서 출시 후 중국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어 그 당시 중국 시장을 휩쓸고 있는 폭스바겐의 A6L 를 이기고 중국 럭셔리카 시장의 30%이상을 차지하였다. 12세대 크라운은 월 판매 2만대를 초과한 기록을 창조하였으며 중국 사람들의 머리속에 럭셔리카의 대표자라는 이미지를 구축하였다.<ref>〈[http://auto.sina.com.cn/news/2005-03-21/0926105342.shtml 天津一汽丰田新CROWN皇冠商品简介]〉, 《新浪汽车》, 2005-03-21</ref> 2009년 12월에 13세대 크라운(차종번호 S200) 9개 모델을 출시하였으며 럭셔리카의 이미지를 확고히 하고자 4.3L V8엔진을 탑재한 모델도 내놓았다. 출시 판가는 32.68만 위안에서 89.95만 위안 사이로 하였다. 출시 후 13세대 크라운은 독일차들의 드센 공격을 받았으며 럭셔리카 탑 레벨에 진입하겠다는 소원을 이루지 못했다.<ref>〈[https://auto.sina.com.cn/car/2009-12-16/0932550088.shtml 一汽丰田新皇冠上市 售价32.68万-89.95万]〉, 《新浪汽车》, 2009-12-16</ref>  2015년 3월에 14세대 크라운(차종번호 S210) 5개 모델을 출시하였으며 젊은 세대를 대상한 스포츠타입의 모습을 시중에 보여주었다. 출시 판가는 27.98만 위안에서 38.58만 위안으로 하였다. 출시 후 판매는 저조하였으며 경쟁모델 Audi A4L, BMW3과의 경쟁에서 밀려 2019년 전년 판매량은 불과 10,378대였다. 판매의 저조와 관련하여 업계에서는 시장 포지셔닝의 실수라고 분석하였다.<ref>〈[https://www.sohu.com/a/5909443_118777 一汽丰田全新皇冠上市 售27.98万元起]〉, 《搜狐汽车》, 2015-03-12</ref><ref>〈[http://auto.ce.cn/auto/gundong/201503/17/t20150317_4838592.shtml 14代皇冠上市悬疑之一:市场定位的高与低]〉, 《中国经济网》, 2015-03-17</ref>  2020년 4월 28일에 마지막 14세대 크라운 승용차가 이치토요타 천진공장에서 출하되었으며 이로써 크라운은 중국공장에서 종산되었다.<ref>〈[https://zhuanlan.zhihu.com/p/139130529 情怀落幕,丰田皇冠再见]〉, 《知乎》, 2020-05-08</ref>
  
이치토요타에서 생산한 12세대 크라운 로열살롱은 4-도어 세단이며 GOA 차체를 사용하고 FR 구동방식을 채택하였다. 파워트레인의 엔진은 Dual VVT-i 기술을 적용한 2.5L, 3.0L 엔진을 탑재하고 변속기는 6속 AT를 탑재하였다. 2009년에 출시한 13세대 크라운은 12세대 대비 차체의 크기를 키우고 휠베이스를 키웠다. 파워트레인의 엔진은 지속적으로 2.5L, 3.0L 엔진을 사용하는 외에 4.3L 엔진도 제공하였으며 현가시스템에는 적응형 가변 서스펜션(Adaptive Variable Suspension, AVS)을 제공하고 조향시스템은 앞뒤좌우로 조율할 수 있게 하였다. 안전성 방면에서 충돌방지시스템(Collision avoidance system (PCS))과 EBA 시스템, GPS 내비게이션, 자동브레이크 시스템을 결합시켰으며 트림방면에서 고급 모델에는 차내 냉장고도 설치하였다. 하지만 평범하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소비자들의 비난을 받았으며 그 시절부터 12세대 후에는 크라운이 없다는 발설이 있었다. 2015년에 출시한 14세대는 젊은 세대와 스포츠의 특징을 살리는 모델로 출시하였으며 파워트레인은 전부 2.5L V6 엔진에 6속 AT의 배합으로 설계하였다. 같은 해에 2.0T 엔진과 8속 AT로 파워트레인을 구성한 버전도 출시하였다.   
+
이치토요타에서 생산한 12세대 크라운 로열살롱은 4-도어 세단이며 GOA 차체를 사용하고 FR 구동방식을 채택하였다. 파워트레인의 엔진은 Dual VVT-i 기술을 적용한 2.5L, 3.0L 엔진을 탑재하고 변속기는 6속 AT를 탑재하였다. 2009년에 출시한 13세대 크라운은 12세대 대비 차체의 크기를 키우고 휠베이스를 키웠다. 파워트레인의 엔진은 지속적으로 2.5L, 3.0L 엔진을 사용하는 외에 4.3L 엔진도 제공하였으며 현가시스템에는 적응형 가변 서스펜션(Adaptive Variable Suspension, AVS)을 제공하고 조향시스템은 앞뒤좌우로 조율할 수 있게 하였다. 안전성 방면에서 충돌방지시스템(Collision avoidance system (PCS))과 EBA 시스템, GPS 네비게이션, 자동브레이크 시스템을 결합시켰으며 트림방면에서 고급 모델에는 차내 냉장고도 설치하였다. 하지만 평범하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소비자들의 비난을 받았으며 그 시절부터 12세대 후에는 크라운이 없다는 발설이 있었다. 2015년에 출시한 14세대는 젊은 세대와 스포츠의 특징을 살리는 모델로 출시하였으며 파워트레인은 전부 2.5L V6 엔진에 6속 AT의 배합으로 설계하였다. 같은 해에 2.0T 엔진과 8속 AT로 파워트레인을 구성한 버전도 출시하였다.   
 
===토요다 레이즈===
 
===토요다 레이즈===
 
[[파일:레이즈 2013년 버전.jpg|썸네일|300픽셀|'''레이즈 2013년 버전''']]
 
[[파일:레이즈 2013년 버전.jpg|썸네일|300픽셀|'''레이즈 2013년 버전''']]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