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스텔라 그레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적용 차량==
 
==적용 차량==
===기아 EV6===
+
===EV6===
 
[[파일:기아 EV6 인터스텔라 그레이.jpg|썸네일|300픽셀|'''기아 EV6 인터스텔라 그레이 색상''']]
 
[[파일:기아 EV6 인터스텔라 그레이.jpg|썸네일|300픽셀|'''기아 EV6 인터스텔라 그레이 색상''']]
  
인터스텔라 그레이 색상이 적용된 차량으로 기아 [[EV6]]가 있다. EV6는 [[기아자동차㈜]]에서 개발한 첫 번째 순수 [[전기자동차]]이다. 2021년 3월 최초 공개되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자동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는 475km이다. 경쟁 차종인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5]]에 비해 주행거리가 더 길다는 장점이 있다. EV6는 주목할 만한 여러 특징을 지녔다. 그중 단연 눈길을 끄는 것은 강력한 성능이다. EV6 라인업에서 가장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모델인 EV6 GT는 77.4kWh의 대용량 [[배터리]]와 앞뒤 [[듀얼모터]]를 적용했다. 그 결과 최고출력 584마력, 최대토크 75.5kgf·m를 발휘한다. 성능 역시 [[내연기관]] [[슈퍼카]] 수준이다. 0→ 100km/h를 3.5초 만에 [[가속]]하며, 최고속도 260km/h를 낸다. 이외에도 전자제어 서스펜션과 소프트웨어 기반의 전자식 차동 제한 기능(e-LSD)을 더해 역동적인 주행 성능을 보여준다. EV6는 전기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주행거리에서도 앞선 모습을 보여준다. 배터리 용량을 77.4kWh와 58.0kWh로 나눠 [[롱레인지]] 모델과 스탠다드 모델로 운영하며, 롱레인지 모델에 160kW급 [[후륜]] 모터를 조합하면 최대 510km 이상을 달릴 수 있다. 물론, [[전륜]]에 모터를 추가할 경우 사륜구동 방식 특유의 안정감을 느낄 수도 있다. 효율성이 높은 배터리 외에도 EV6는 디스 커넥터 구동 시스템, 히트펌프 시스템, 스마트 회생 시스템 2.0, [[가속페달]]만으로 가감속은 물론 [[정차]]까지 가능한 i-페달 모드 등을 적용해 효율성을 극대화했다.<ref>성상영 기자, 〈[https://news.g-enews.com/view.php?ud=20210330182211746083a046ffa0_1&ssk=g000000&md=20210330190129_U 기아 EV6, '제로백 3.5초·510km 주행' 위용 뽐내며 데뷔]〉, 《글로벌이코노믹》, 2021-03-30</ref> 400V/800V 멀티 [[급속충전]] 시스템을 적용해 충전 편의성을 높인 점도 눈에 띈다.<ref>김정희 기자, 〈[https://news.g-enews.com/view.php?ud=2021112612213588437bdb7041ec_1&ssk=g000000&md=20211126164357_U (2021 서울모빌리티쇼) 전기차 경연장으로 탈바꿈]〉, 《글로벌이코노믹》, 2021-11-26</ref> 800V 초고속 충전 시스템을 사용하면 배터리를 18분 만에 10%에서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ref>
+
인터스텔라 그레이 색상이 적용된 차량으로 [[EV6]]가 있다. EV6는 [[기아자동차㈜]]에서 개발한 첫 번째 순수 [[전기자동차]]이다. 2021년 3월 최초 공개되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자동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는 475km이다. 경쟁 차종인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5]]에 비해 주행거리가 더 길다는 장점이 있다. EV6는 주목할 만한 여러 특징을 지녔다. 그중 단연 눈길을 끄는 것은 강력한 성능이다. EV6 라인업에서 가장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모델인 EV6 GT는 77.4kWh의 대용량 [[배터리]]와 앞뒤 [[듀얼모터]]를 적용했다. 그 결과 최고출력 584마력, 최대토크 75.5kgf·m를 발휘한다. 성능 역시 [[내연기관]] [[슈퍼카]] 수준이다. 0→ 100km/h를 3.5초 만에 [[가속]]하며, 최고속도 260km/h를 낸다. 이외에도 전자제어 서스펜션과 소프트웨어 기반의 전자식 차동 제한 기능(e-LSD)을 더해 역동적인 주행 성능을 보여준다. EV6는 전기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주행거리에서도 앞선 모습을 보여준다. 배터리 용량을 77.4kWh와 58.0kWh로 나눠 [[롱레인지]] 모델과 스탠다드 모델로 운영하며, 롱레인지 모델에 160kW급 [[후륜]] 모터를 조합하면 최대 510km 이상을 달릴 수 있다. 물론, [[전륜]]에 모터를 추가할 경우 사륜구동 방식 특유의 안정감을 느낄 수도 있다. 효율성이 높은 배터리 외에도 EV6는 디스 커넥터 구동 시스템, 히트펌프 시스템, 스마트 회생 시스템 2.0, [[가속페달]]만으로 가감속은 물론 [[정차]]까지 가능한 i-페달 모드 등을 적용해 효율성을 극대화했다.<ref>성상영 기자, 〈[https://news.g-enews.com/view.php?ud=20210330182211746083a046ffa0_1&ssk=g000000&md=20210330190129_U 기아 EV6, '제로백 3.5초·510km 주행' 위용 뽐내며 데뷔]〉, 《글로벌이코노믹》, 2021-03-30</ref> 400V/800V 멀티 [[급속충전]] 시스템을 적용해 충전 편의성을 높인 점도 눈에 띈다.<ref>김정희 기자, 〈[https://news.g-enews.com/view.php?ud=2021112612213588437bdb7041ec_1&ssk=g000000&md=20211126164357_U (2021 서울모빌리티쇼) 전기차 경연장으로 탈바꿈]〉, 《글로벌이코노믹》, 2021-11-26</ref> 800V 초고속 충전 시스템을 사용하면 배터리를 18분 만에 10%에서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ref>
 
〈[https://tech.hyundaimotorgroup.com/kr/article/researcher-revealed-kias-very-first-dedicated-electric-vehicle-ev6/ 담당 연구원에게 듣는 기아 최초의 전용 전기차 EV6의 특징과 개발 과정]〉, 《현대 모터그룹 테크》, 2021-07-01</ref>
 
〈[https://tech.hyundaimotorgroup.com/kr/article/researcher-revealed-kias-very-first-dedicated-electric-vehicle-ev6/ 담당 연구원에게 듣는 기아 최초의 전용 전기차 EV6의 특징과 개발 과정]〉, 《현대 모터그룹 테크》, 2021-07-01</ref>
 
{{자세히|EV6}}
 
{{자세히|EV6}}
13번째 줄: 13번째 줄:
 
[[파일:기아_니로_인터스텔라_그레이.jpg|썸네일|300픽셀|'''기아 니로 인터스텔라 그레이 색상''']]
 
[[파일:기아_니로_인터스텔라_그레이.jpg|썸네일|300픽셀|'''기아 니로 인터스텔라 그레이 색상''']]
  
[[니로]](Niro)는 [[기아자동차㈜]]의 소형SUV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전륜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기아자동차㈜ 유럽디자인센터에서 10번째로 제작된 콘셉트카로 유럽 소형차(B세그먼트) 시장을 겨냥한 [[크로스오버]] 모델로 개발됐으며, 기존 소형차 개념을 새롭게 해석해 세련되면서도 개성있는 디자인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ref name = "기아자동차㈜ 공식 홈페이지">기아자동차㈜ 공식 홈페이지 - https://pr.kia.com/ko/innovation/electrification/eco-electric.do</ref> 기아의 친환경차 전용모델로 디자인과 설계 단계부터 친환경차 시스템을 고려해 만들어진 니로는 순차적으로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로 출시되었다. 2016년 1세대의 출시 이후 2016년 56년 만에 풀체인지되어 출시되었다. 하이브리드 모델과 EV 모델이 공개되었으며,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2세대부터 내수에서 판매하지 않고 전량 수출용으로만 생산된다. 전기차 모델인 2세대 [[니로 일렉트릭]]은 64.8kWh 고전압 배터리와 스마트 회생제동 시스템 2.0, 히트펌프와 배터리 히팅 시스템이 적용됐으며, 1회 충전 후 항속거리는 1세대보다 16km 늘어난 401km로 인증받았다. 또한, 배터리 컨디셔닝 기능이 적용되어 외부 환경에 따른 배터리 온도가 자동 조절된다. EV6에 장착된 V2L 기능도 적용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95%84_%EB%8B%88%EB%A1%9C 기아 니로]〉, 《위키백과》</ref> 한편 뛰어난 경제성과 상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고객들의 사랑을 받아, 2023년 2월 1일 2024년형 연식변경 모델인 더 2024 니로(The 2024 Niro)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모델이 출시되었다.<ref>〈[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74709 기아, ‘The 2024 니로’ 출시]〉,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2023-02-01</ref>
+
[[니로]](Niro)는 [[기아자동차㈜]]의 소형SUV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전륜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기아자동차㈜ 유럽디자인센터에서 10번째로 제작된 콘셉트카로 유럽 소형차(B세그먼트) 시장을 겨냥한 [[크로스오버]] 모델로 개발됐으며, 기존 소형차 개념을 새롭게 해석해 세련되면서도 개성있는 디자인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ref name = "기아자동차㈜ 공식 홈페이지">기아자동차㈜ 공식 홈페이지 - https://pr.kia.com/ko/innovation/electrification/eco-electric.do</ref> 기아의 친환경차 전용모델로 디자인과 설계 단계부터 친환경차 시스템을 고려해 만들어진 니로는 순차적으로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로 출시되었다. 2016년 1세대의 출시 이후 2016년 56년 만에 풀체인지되어 출시되었다. 하이브리드 모델과 EV 모델이 공개되었으며,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2세대부터 내수에서 판매하지 않고 전량 수출용으로만 생산된다. 전기차 모델인 2세대 [[니로 일렉트릭]]은 64.8kWh 고전압 배터리와 스마트 회생제동 시스템 2.0, 히트펌프와 배터리 히팅 시스템이 적용됐으며, 1회 충전 후 항속거리는 1세대보다 16km 늘어난 401km로 인증받았다. 또한, 배터리 컨디셔닝 기능이 적용되어 외부 환경에 따른 배터리 온도가 자동 조절된다. EV6에 장착된 V2L 기능도 적용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95%84_%EB%8B%88%EB%A1%9C 기아 니로]〉, 《위키백과》</ref> 한편 뛰어난 경제성과 상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고객들의 사랑을 받아, 2023년 2월 1일 2024년형 연식변경 모델인 더 2024 니로(The 2024 Niro)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모델이 출시되었다.<ref>〈[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74709 기아, ‘The 2024 니로’ 출시]〉,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2023-2-01</ref>
 
{{자세히|니로}}{{자세히|니로 일렉트릭}}
 
{{자세히|니로}}{{자세히|니로 일렉트릭}}
  
23번째 줄: 23번째 줄:
  
 
===기아 K8===
 
===기아 K8===
[[파일:K8 인터스텔라 그레이.jpg|썸네일|300픽셀|'''기아 K8 인터스텔라 그레이 색상''']]
 
 
K8은 기아자동차㈜에서 출시한 [[전륜구동]] [[준대형 세단]]이다. 기존 준대형 세단 포지션인 K7의 후속 모델로, 변경된 기아자동차의 엠블럼이 적용되는 첫 모델이다. 더불어 K8은 기아의 새로운 지향점을 보여주는 첫 번째 모델로, 프리미엄 준대형 세단에 걸맞은 편안하고 안정적인 주행성능, 운전의 부담을 덜어주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모든 승객을 위한 편안하고 쾌적한 탑승 공간, 감성적 만족감과 편리한 연결성을 겸비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이 특징이다.<ref>〈[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03721 기아, ‘K8’ 사전계약 개시]〉,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2021-03-23</ref> K8은 2.5가솔린, 3.5 가솔린, 3.5 LPI에 1.6 터보 하이브리드를 추가해 총 4개 엔진 모델로 운영된다. K8 하이브리드는 최고 출력 180PS(마력), 최대 토크 27.0kgf·m의 1.6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과 최고 출력 44.2kW, 최대 토크 264Nm의 구동모터, 6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해 하이브리드의 정숙성과 효율성을 확보했다. 특히 1.6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은 이전 K7 2.4 하이브리드 엔진의 최고 출력(159PS)과 최대 토크(21.0kgf·m) 대비 약 13%, 29% 향상된 역동적인 주행성능을 갖췄다. 또한 구동모터의 효율을 높이고 12V 보조배터리 통합형 고전압 배터리 적용으로 차의 중량을 줄이는 등의 개선을 통해 K7 하이브리드(16.2 km/ℓ) 대비 약 11% 높은 복합연비 18.0km/ℓ를 달성했다.<ref>〈[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03829 기아, ‘K8 하이브리드’ 출시]〉,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2021-05-04</ref> 2022년 5월에는, K8의 연식변경 모델 더 2023 K8을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에 나섰다. 사양 고급화를 원하는 고객의 의견을 적극 반영, 기존에는 옵션으로만 선택할 수 있었던 일부 고급 편의사양을 기본화하고, 주요 부품 개선을 통해 상품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ref>〈[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26279 기아, ‘The 2023 K8’ 출시]〉,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2022-05-02</ref> {{자세히|K8}}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기아자동차㈜ 공식 홈페이지 - https://pr.kia.com/ko/innovation/electrification/eco-electric.do
 
*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95%84_%EB%8B%88%EB%A1%9C 기아 니로]〉, 《위키백과》
 
* 〈[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03721 기아, ‘K8’ 사전계약 개시]〉,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2021-03-23
 
 
* 성상영 기자, 〈[https://news.g-enews.com/view.php?ud=20210330182211746083a046ffa0_1&ssk=g000000&md=20210330190129_U 기아 EV6, '제로백 3.5초·510km 주행' 위용 뽐내며 데뷔]〉, 《글로벌이코노믹》, 2021-03-30
 
* 성상영 기자, 〈[https://news.g-enews.com/view.php?ud=20210330182211746083a046ffa0_1&ssk=g000000&md=20210330190129_U 기아 EV6, '제로백 3.5초·510km 주행' 위용 뽐내며 데뷔]〉, 《글로벌이코노믹》, 2021-03-30
* 〈[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03829 기아, ‘K8 하이브리드’ 출시]〉,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2021-05-04
 
 
* 〈[https://tech.hyundaimotorgroup.com/kr/article/researcher-revealed-kias-very-first-dedicated-electric-vehicle-ev6/ 담당 연구원에게 듣는 기아 최초의 전용 전기차 EV6의 특징과 개발 과정]〉, 《현대 모터그룹 테크》, 2021-07-01
 
* 〈[https://tech.hyundaimotorgroup.com/kr/article/researcher-revealed-kias-very-first-dedicated-electric-vehicle-ev6/ 담당 연구원에게 듣는 기아 최초의 전용 전기차 EV6의 특징과 개발 과정]〉, 《현대 모터그룹 테크》, 2021-07-01
 
* 김정희 기자, 〈[https://news.g-enews.com/view.php?ud=2021112612213588437bdb7041ec_1&ssk=g000000&md=20211126164357_U (2021 서울모빌리티쇼) 전기차 경연장으로 탈바꿈]〉, 《글로벌이코노믹》, 2021-11-26
 
* 김정희 기자, 〈[https://news.g-enews.com/view.php?ud=2021112612213588437bdb7041ec_1&ssk=g000000&md=20211126164357_U (2021 서울모빌리티쇼) 전기차 경연장으로 탈바꿈]〉, 《글로벌이코노믹》, 2021-11-26
* 〈[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26279 기아, ‘The 2023 K8’ 출시]〉,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2022-05-02
 
* 〈[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43321 기아, ‘The 2023 K5’ 출시]〉,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2022-07-18
 
* 〈[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74709 기아, ‘The 2024 니로’ 출시]〉, 《현대자동차그룹 뉴스룸》, 2023-02-01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