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전장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자동차 전장'''<!--자동차전장-->(自動車電裝)이란 [[자동차]]에 들어가는 전기 및 전자 장치와 설비를 말한다. 간략히 '''전장'''이라고 한다.
+
'''전장'''(電裝)이란 [[자동차]]에 들어가는 전기 및 전자 장치와 설비를 말한다.
{{:자동차 배너|부품}}
 
 
 
 
==개요==
 
==개요==
전장은 자동차 [[전기]] 및 전자 장비를 뜻한다. [[모터]], [[블랙박스]], [[중앙제어장치]], [[속도센서]], [[스위치]], [[스피커]], [[오디오]], [[카메라]] 등 전기가 흐르는 모든 [[부품]]이나 [[장치]]를 의미한다. 전 세계가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완성차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전기차]], [[수소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함과 동시에 자동차 전기, 전자 장비 시장 역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장이라는 단어가 [[TV]], 뉴스, 칼럼 등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이 발달해 가면서 운송수단에 불과하던 자동차가 문화, 생활공간으로 탈바꿈하며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라 부르고 관련 기능들이 탑재된 차량을 [[스마트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율주행, [[5G]]를 포함한 각종 IT기술의 발전, 플렉시블 OLED의 등장 등으로 인해 SF 영화 속의 자동차들이 현실에 가까워지고 있다.<ref>쿠킷리스트, 〈[https://kookitlist.tistory.com/124 전기차로 핫한 자동차 전장 이란 무엇일까? 전장 사업 뜻 알아보기]〉, 《티스토리》, 2020-09-12</ref>
+
전장은 자동차 [[전기]] 및 전자 장비를 뜻한다. [[모터]], [[블랙박스]], [[중앙제어장치]], [[속도 센서]], [[스위치]], [[스피커]], [[오디오]], [[카메라]] 등 전기가 흐르는 모든 [[부품]]이나 [[장치]]를 의미한다. 전 세계가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완성차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전기차]], [[수소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함과 동시에 자동차 전기, 전자 장비 시장 역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장이라는 단어가 [[TV]], 뉴스, 칼럼 등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이 발달해 가면서 운송수단에 불과하던 자동차가 문화, 생활공간으로 탈바꿈하며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라 부르고 관련 기능들이 탑재된 차량을 [[스마트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율주행, [[5G]]를 포함한 각종 IT기술의 발전, 플렉시블 OLED의 등장 등으로 인해 SF 영화 속의 자동차들이 현실에 가까워지고 있다.<ref>쿠킷리스트, 〈[https://kookitlist.tistory.com/124 전기차로 핫한 자동차 전장 이란 무엇일까? 전장 사업 뜻 알아보기]〉, 《티스토리》, 2020-09-12</ref>
  
 
==탑재 이유==
 
==탑재 이유==
18번째 줄: 16번째 줄:
 
===전자제어장치===
 
===전자제어장치===
 
[[전자제어장치]]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면서 물리적 제어 영역으로 확장된 개념이다. 인지, 산술·명령, 실행의 흐름으로 [[모터]]와 [[유압장치]], [[점화장치]], [[표시장치]] 등 자동차를 작동하는 기능에 특화된 것이다. 또한 극한의 내구 조건에 맞게 내진동과 내열, 내한 성능 등이 일반 IT 기기와는 비교 불가할 만큼 까다로운 조건에서 설계된다. 전자제어장치는 입력장치와 저장장치, [[정보처리장치]]와 [[출력장치]]로 구성된다. 주행 중에 쌓이는 데이터 등은 주로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운영체제 등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알고리즘에 따른 연산처리를 위해 고성능 정보처리장치가 적용되고 오작동 등의 상황을 가정해 백업 장치가 추가되기도 한다. 최근 들어 이런 전자제어장치는 점차 고성능화하고 있다. 차 한 대는 약 60개에서 100개의 전자제어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제어장치들은 위계 구조를 갖추고 고유 기능도 수행하면서 다른 전자제어장치들과 협조-제어하기도 한다. ACU가 [[에어백]]을 전개하면 긴급구난통신장치가 사고 정보를 관제 센터에 자동 전송하는 식이다.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인 HCU도 [[엔진제어장치]], [[모터제어장치]], 차체자세제어장치와 배터리제어장치 등 차량 각 부의 주요 제어장치에 가·감속과 [[배터리]] 충전 등의 작동 명령을 내리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싱글코어 8개가 제각각 수행하던 작업을 옥타 코어 하나가 처리하는 등의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와 공간 활용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과 딥러닝 등이 적용되는 미래의 완전자율주행, 커넥티드카는 한층 고차원적인 제어 성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분산된 전자제어장치를 합치고 통제 기능을 중앙화해야 한다. 전자제어장치 통합 과정에서 운영체제와 통신 방식, 코딩언어 등이 일관성 있게 적용돼야 한다. 이것이 이뤄져야 다수의 업체가 협력 개발하는 자동차 산업에서 설계 기간을 단축하고 성능과 품질까지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은 자동차 소프트웨어 국제표준 플랫폼 [[오토사]]를 기반으로 자동차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있다.<ref>〈[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7/12/817633/ (현대모비스 공학교실) 차량두뇌 'ECU'통합이 완전 자율주행차 만들 핵심열쇠]〉, 《매일경제》, 2017-12-11</ref>
 
[[전자제어장치]]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면서 물리적 제어 영역으로 확장된 개념이다. 인지, 산술·명령, 실행의 흐름으로 [[모터]]와 [[유압장치]], [[점화장치]], [[표시장치]] 등 자동차를 작동하는 기능에 특화된 것이다. 또한 극한의 내구 조건에 맞게 내진동과 내열, 내한 성능 등이 일반 IT 기기와는 비교 불가할 만큼 까다로운 조건에서 설계된다. 전자제어장치는 입력장치와 저장장치, [[정보처리장치]]와 [[출력장치]]로 구성된다. 주행 중에 쌓이는 데이터 등은 주로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운영체제 등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알고리즘에 따른 연산처리를 위해 고성능 정보처리장치가 적용되고 오작동 등의 상황을 가정해 백업 장치가 추가되기도 한다. 최근 들어 이런 전자제어장치는 점차 고성능화하고 있다. 차 한 대는 약 60개에서 100개의 전자제어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제어장치들은 위계 구조를 갖추고 고유 기능도 수행하면서 다른 전자제어장치들과 협조-제어하기도 한다. ACU가 [[에어백]]을 전개하면 긴급구난통신장치가 사고 정보를 관제 센터에 자동 전송하는 식이다. 하이브리드차의 제어장치인 HCU도 [[엔진제어장치]], [[모터제어장치]], 차체자세제어장치와 배터리제어장치 등 차량 각 부의 주요 제어장치에 가·감속과 [[배터리]] 충전 등의 작동 명령을 내리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싱글코어 8개가 제각각 수행하던 작업을 옥타 코어 하나가 처리하는 등의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와 공간 활용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과 딥러닝 등이 적용되는 미래의 완전자율주행, 커넥티드카는 한층 고차원적인 제어 성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분산된 전자제어장치를 합치고 통제 기능을 중앙화해야 한다. 전자제어장치 통합 과정에서 운영체제와 통신 방식, 코딩언어 등이 일관성 있게 적용돼야 한다. 이것이 이뤄져야 다수의 업체가 협력 개발하는 자동차 산업에서 설계 기간을 단축하고 성능과 품질까지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은 자동차 소프트웨어 국제표준 플랫폼 [[오토사]]를 기반으로 자동차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있다.<ref>〈[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7/12/817633/ (현대모비스 공학교실) 차량두뇌 'ECU'통합이 완전 자율주행차 만들 핵심열쇠]〉, 《매일경제》, 2017-12-11</ref>
====ABS====
 
[[ABS]]는 자동차가 [[급제동]]하거나 선회 시 미끄러질 때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초당 수십 번 반복적으로 작동 시켜 제동거리를 줄여주는 정지마찰력의 원리를 이용한 시스템이다. 급제동 때 타이어는 순간적으로 잠김(Lock)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자동차는 조향력과 제동력을 상실한 채 지명 위에서 관성력에 의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순간 최대 정지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미끄러지기 시작하면서부터는 마찰력에 상대적으로 적은 운동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최대 정지마찰력이 작동하는 짧은 순간을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ABS의 작동원리라 할 수 있다. 최대정지마찰력이 작용하는 시점에서 초당 수십 번씩 브레이크를 작동 시켜 마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제동거리를 줄여주는 것이다. 이를 좀 더 미세하게 이야기하면 타이어가 구르기 시작할 때 브레이크를 작동 시켜 멈춰주고 곧 바로 브레이크를 해제해 타이어가 구르기 시작하는 즉, 초당 수십 번씩 가다 서기를 반복시키는 것이다.<ref>오토헤럴드,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32 (아롱테크) 자동차 속 과학① ABS의 작동원리]〉, 《오토헤럴드》, 2017-01-05</ref>
 
====TCS====
 
TCS는 차량 운행 중 급출발, 급가속, 급회전 시 또는 빗길, 눈길 등의 미끄러운 도로여건에서 운전자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차량이 자동적으로 구동바퀴의 미끄러짐을 제어해주는 장치이다. 구동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컴퓨터가 탐지하면, 자동으로 엔진 출력을 떨어뜨려 휠스핀을 방지하고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미끄러짐을 억제하는 것이 TCS의 원리이다. 코너링 때에는 한쪽 타이어가 겉도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너링 성능도 개선된다. 간단한 시스템은 앞바퀴에만 작용하고 고도의 시스템에서는 4개의 타이어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도 한다. TCS는 악천후나 험한 길에서 주행 능력을 향상되지만, 운전자의 의도적인 미끄러짐까지 방지하므로 스포츠용 주행에는 오히려 방해된다. 하지만 TCS는 눈이나 얼음으로 얼어붙은 언덕을 올라야 하는 경우에도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ref>모토야편집부, 〈[https://www.motoy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0 TCS(traction control system)]〉, 《모토야》, 2017-04-11</ref><ref>어떤오후, 〈[https://bakong.tistory.com/173 눈,비 오는 날엔 필수 TCS(Traction Control System)]〉, 《티스토리》, 2020-03-09</ref>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
27번째 줄: 21번째 줄:
  
 
===텔레매틱스===
 
===텔레매틱스===
[[텔레매틱스]]는 [[무선통신]]과 [[GPS]] 기술이 결합하여 [[자동차]] 안에서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통신과 정보과학의 합성어이다. 텔레매틱스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78년이었다. 시몬 노라(Simon Nora)와 알랭 멩크(Alain Minc)가 당시 프랑스 대통령에게 제출한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됐다. 그 후 보고서가 '사회의 컴퓨터화(The Computerizatiom of Society)'로 번역돼 출간되면서 텔레매틱스라는 용어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본래 텔레매틱스는 거대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목적으로 컴퓨터와 무선통신 기술을 혼합한 것을 뜻한다. 텔레매틱스는 의료 정보과학, 원격 교육, 환경 감시, 국가 및 기업의 정보 전달 등 응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했다. 텔레매틱스의 가장 두드러진 예는 [[인터넷]]이다. 인터넷이 정보통신 백본을 통해 전지구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텔레매틱스는 자동 구난 및 원격 진단을 위해 GPS 기술과 기타 무선 통신 기술을 결합한 자동차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 발전했다.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주로 생산성과 편의성 그리고 오락 서비스에 초점이 맞춰졌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자뱅킹, 주식시세 정보, 음성 전자 우편 등의 서비스가 편의성 향상을 위해서는 안내, 날씨 정보, 뉴스, 스포츠 정보 등의 서비스가 제공됐다. 마지막 오락 서비스에는 게임, MP3, 영화 등이 포함됐다. 자동차에 [[안테나]], 수신 장치, 발신기 등을 갖춰 씬 클라이언트로 활용하는 것이다. 저장장치나 [[프로세서]] 없이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받을 수 있었으며, 컴퓨팅 자체가 원격 서버에 의해 조정됐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나 새로운 서비스 추가 등과 같은 작업을 자동차에서 할 필요가 없다.<ref>권정수 기자,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04127 (IT 산업 20년 전) 떠오르는 신기술 ‘텔레매틱스’]〉, 《아이티데일리》, 2021-08-31</ref>
+
[[텔레매틱스]]는 [[무선통신]]과 [[GPS]] 기술이 결합되어 [[자동차]] 안에서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통신과 정보과학의 합성어이다. 텔레매틱스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78년이었다. 시몬 노라(Simon Nora)와 알랭 멩크(Alain Minc)가 당시 프랑스 대통령에게 제출한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됐다. 그 후 보고서가 '사회의 컴퓨터화(The Computerizatiom of Society)'로 번역돼 출간되면서 텔레매틱스라는 용어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본래 텔레매틱스는 거대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목적으로 컴퓨터와 무선통신 기술을 혼합한 것을 뜻한다. 텔레매틱스는 의료 정보과학, 원격 교육, 환경 감시, 국가 및 기업의 정보 전달 등 응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했다. 텔레매틱스의 가장 두드러진 예는 [[인터넷]]이다. 인터넷이 정보통신 백본을 통해 전지구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텔레매틱스는 자동 구난 및 원격 진단을 위해 GPS 기술과 기타 무선 통신 기술을 결합한 자동차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 발전했다.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주로 생산성과 편의성 그리고 오락 서비스에 초점이 맞춰졌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자뱅킹, 주식시세정보, 음성 전자 우편 등의 서비스가 편의성 향상을 위해서는 안내, 날씨 정보, 뉴스, 스포츠 정보 등의 서비스가 제공됐다. 마지막 오락 서비스에는 게임, MP3, 영화 등이 포함됐다. 자동차에 안테나, 수신장치, 발신기 등을 갖춰 씬 클라이언트로 활용하는 것이다. 저장장치나 프로세서 없이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받을 수 있었으며, 컴퓨팅 자체가 원격 서버에 의해 조정됐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나 새로운 서비스 추가 등과 같은 작업을 자동차에서 할 필요가 없다.<ref>권정수 기자,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04127 (IT 산업 20년 전) 떠오르는 신기술 ‘텔레매틱스’]〉, 《아이티데일리》, 2021-08-31</ref>
  
 
===차량용 디스플레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차의 안과 밖의 다양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화면을 뜻한다. 차량의 전반적인 정보를 알려주는 차량용 정보안내 [[디스플레이]]와 운전석에 있는 속도 및 [[엔진]] 상태를 나타내는 [[계기판]], 차량 내부 전면 유리창에 디스플레이를 비춰주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기술은 [[내비게이션]]이다. 가고 싶은 주소를 입력하면 차량이 최적의 루트를 추천해준다. 길이 막히거나 다른 길을 원하면 다른 길을 찾아주고 우선순위를 알려주기도 한다. 교통 정보, 온도, 차량 외부 환경뿐만 아니라 최근 자동차에 도입되고 있는 음성인식, 안면인식, 제스처 인식 등 신기술까지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인식하고 있다. 과거에는 운전 정보, 교통 정보 등 한정된 정보만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다양한 정보가 차 안에 업데이트된다. 차 안의 운전자 및 탑승자를 인식한 뒤 연령, 나이, 요일, 시간대에 맞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차량과 차량 외부 다른 기기가 연결될 때, '커넥티비티 서비스(Connectivity Service)'를 하는 브리지(Bridge) 역할을 하고 있다. 내비게이션, 라디오 등 대중적인 기능만 사용할 수 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점점 탑승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화되고 있다. 운전자 혹은 동승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개인 스마트폰을 연결해 스케줄을 보거나 회사 업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또한 등록된 개인 프로필 정보에 맞춰 음악을 듣거나 지도를 확인할 때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렇게 개인 맞춤형으로 바뀌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버튼 터치 한 번만으로 차량을 나에게 맞는 세팅으로 손쉽게 바꿀 수 있다.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눈에 띄는 특징은 ‘대형화’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의‘고급화’역시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에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터치스크린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가 디자인과 편의성에서 주목 받고 있다. 기존에 수많은 버튼으로 구성된 복잡한 센터페시아를 매끈한 디스플레이 패널 하나만으로 대체할 수 있어 디자인적으로 매우 매력적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차세대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의 성장을 위해서는‘안전성’부문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고급화된 디스플레이로 너무 많은 정보를 제공하면 운전자의 직관성이 떨어뜨려 긴급한 상황에서 운전자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IT분야 전문가들은 터치스크린 기능이 장착된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크다. 운전자들은 안전을 위해 주행 중 집중력이 분산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야 하는데, 터치스크린에서 화면이 여러 번 눌리는‘고스트 터치’등의 오류가 발생하면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차량용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안전 우려는 자동차 업계로도 이어지고 있다. <ref>정순인 책임연구원, 〈[https://live.lge.co.kr/vehicle_display/ LG전자가 만드는 미래차의 핵심 #10 차량용 디스플레이 트렌드]〉, 《LG전자 소셜 매거진》, 2021-03-18</ref>
+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차의 안과 밖의 다양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화면을 뜻한다. 차량의 전반적인 정보를 알려주는 차량용 정보안내 [[디스플레이]]와 운전석에 있는 속도 및 [[엔진]] 상태를 나타내는 [[계기판]], 차량 내부 전면 유리창에 디스플레이를 비춰주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기술은 [[내비게이션]]이다. 가고 싶은 주소를 입력하면 차량이 최적의 루트를 추천해준다. 길이 막히거나 다른 길을 원하면 다른 길을 찾아주고 우선순위를 알려주기도 한다. 교통 정보, 온도, 차량 외부 환경뿐만 아니라 최근 자동차에 도입되고 있는 음성인식, 안면인식, 제스처 인식 등 신기술까지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인식하고 있다. 과거에는 운전 정보, 교통 정보 등 한정된 정보만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다양한 정보가 차 안에 업데이트 된다. 차 안의 운전자 및 탑승자를 인식한 뒤 연령, 나이, 요일, 시간대에 맞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차량과 차량 외부 다른 기기가 연결될 때, '커넥티비티 서비스(Connectivity Service)'를 하는 브리지(Bridge) 역할을 하고 있다. 내비게이션, 라디오 등 대중적인 기능만 사용할 수 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점점 탑승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화되고 있다. 운전자 혹은 동승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개인 스마트폰을 연결해 스케줄을 보거나 회사 업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또한 등록된 개인 프로필 정보에 맞춰 음악을 듣거나 지도를 확인할 때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렇게 개인 맞춤형으로 바뀌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버튼 터치 한 번만으로 차량을 나에게 맞는 세팅으로 손쉽게 바꿀 수 있다.<ref>정순인 책임연구원, 〈[https://live.lge.co.kr/vehicle_display/ LG전자가 만드는 미래차의 핵심 #10 차량용 디스플레이 트렌드]〉, 《LG전자 소셜 매거진》, 2021-03-18</ref>
  
 
===배터리===
 
===배터리===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와 함께 달린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배터리셀]], [[배터리모듈]], [[배터리팩]]으로 구성된다. 배터리셀은 배터리의 가장 작은 단위로, [[전기차]]의 전반적인 성능에 중심적 역할을 한다. [[배터리모듈]]은 [[배터리셀]]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일정한 개수로 묶어 프레임에 넣은 것이다. 이 모듈 여러 개를 모아 배터리의 온도나 전압 등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냉각장치]] 등을 추가한 것이 팩이다. 최종적으로 배터리는 전기차에 하나의 팩으로 들어가게 된다. 현재 전기차에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이차전지의 일종인 [[리튬이온 배터리]]이다. [[이차전지]]는 계속 충전해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로, 방전되면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다르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4대 구성요소는 [[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이다. 양극과 음극이 배터리의 기본 성능을, 전해액과 분리막은 배터리의 안정성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장점은 기존 이차전지의 단점이었던 메모리 현상이 없다는 것이다. 메모리 현상이란 완전히 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 시 배터리 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현상이다. 그러나 리튬이온 배터리는 온도에 민감해 폭발이나 화재 위험성이 크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건 [[전고체 배터리]]이다. [[전해질]]이 고체 상태인 전고체 배터리는 구조적으로 단단해 안정적이며, 전해질이 훼손되더라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폭발이나 화재 위험에서 벗어난다. 또한 1회 충전으로 최대 8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고, 배터리를 80%까지 충전하는 데 약 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배터리 시장을 지배하는 소재는 [[리튬]]이다. 최근 리튬의 인기는 전기차의 돌풍과 관련이 깊다. 오렌지에 꽂은 금속판에 해당하는게 전극이다. 최근에는 이 전극을 연결하는 전해질이 액체가 아닌 고체인 배터리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많다. [[고체]] [[전해질]][[액체]] 전해질에 비해 온도에 영향을 덜 받고 폭발의 위험성도 작기 때문이다. [[리튬]]은 그 중에서도 가장 선호도가 높은 금속이다. 리튬은 지구에 아주 적은 양만 존재하다 보니 이를 확보하기 위해 그 경쟁도 치열해지는 상황이다. 특히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리튬은 백색 황금이라 불릴 만큼 몸값이 치솟고 있다. 각 기업과 국가가 나서 세계 곳곳에 숨겨져 있던 새로운 리튬 매장지를 계속 찾아내고 있다. 심지어 전기차 회사 [[테슬라]] 창업주인 [[일론 머스크]]는 지구가 아닌 다른 우주의 소행성에서 리튬을 채취해 올 생각을 밝히기도 했다.<ref>이재민 기자, 〈[https://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214 (TECH웨이브) 전기차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테크월드뉴스》, 2021-11-01</ref>
+
[[전기차]]는 [[배터리]]와 함께 달린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셀,]] [[모듈]], [[]]으로 구성된다. 셀은 배터리의 가장 작은 단위로, [[전기차]]의 전반적인 성능에 중심적 역할을 한다. [[모듈]]은 배터리 [[]]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일정한 개수로 묶어 프레임에 넣은 것이다. 이 모듈 여러 개를 모아 배터리의 온도나 전압 등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냉각장치]] 등을 추가한 것이 팩이다. 최종적으로 배터리는 전기차에 하나의 팩으로 들어가게 된다. 현재 전기차에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이차전지의 일종인 [[리튬이온 배터리]]. [[이차전지]]는 계속 충전해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로, 방전되면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다르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4대 구성요소는 [[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이다. 양극과 음극이 배터리의 기본 성능을, 전해액과 분리막은 배터리의 안정성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장점은 기존 이차전지의 단점이었던 메모리 현상이 없다는 것이다. 메모리 현상이란 완전히 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 시 배터리 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현상이다. 그러나 리튬이온 배터리는 온도에 민감해 폭발이나 화재 위험성이 크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건 전고체 배터리다. 전해질이 고체 상태인 전고체 배터리는 구조적으로 단단해 안정적이며, 전해질이 훼손되더라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폭발이나 화재 위험에서 자유롭다. 또한 1회 충전으로 최대 8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고, 배터리를 80%까지 충전하는 데 약 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ref>이재민 기자, 〈[https://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214 (TECH웨이브) 전기차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테크월드뉴스》, 2021-11-01</ref>
 +
 
 +
===ABS===
 +
[[ABS]]는 자동차가 [[급제동]]하거나 선회 시 미끄러질 때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초당 수 십 번 반복적으로 작동시켜 제동거리를 줄여주는 정지마찰력의 원리를 이용한 시스템이다. 급제동 때 타이어는 순간적으로 잠김(Lock)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자동차는 조향력과 제동력을 상실한 채 지명 위에서 관성력에 의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순간 최대 정지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미끄러지기 시작하면서부터는 마찰력에 상대적으로 적은 운동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최대 정지마찰력이 작동하는 짧은 순간을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ABS의 작동원리라 할 수 있다. 최대정지마찰력이 작용하는 시점에서 초당 수 십번씩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마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제동거리를 줄여주는 것이다. 이를 좀 더 미세하게 이야기하면 타이어가 구르기 시작할 때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멈춰주고 곧 바로 브레이크를 해제해 타이어가 구르기 시작하는 즉, 초당 수 십번씩 가다 서다를 반복시키는 것이다.<ref>오토헤럴드,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32 (아롱테크) 자동차 속 과학① ABS의 작동원리]〉, 《오토헤럴드》, 2017-01-05</ref>
  
 
===센서===
 
===센서===
39번째 줄: 36번째 줄:
  
 
==전장사업==
 
==전장사업==
전장사업이란 자동차의 전장부품 관련 사업을 총칭하는 말이다. 전장부품이란 쉽게 말해 전기장치 부품의 약어이다. 전장부품과 자동차 부품의 차이점은 자동차 부품은 기계와 전기장치가 모두 포함되는 용어이고, 전장부품은 전기계통의 부품만을 통칭한다. 따라서 전장사업이란 자동차의 전기부품 관련 사업을 의미하는 말이다. 전장사업은 구체적으로 차량용 반도체, 텔레매텍스, 차량용 디스플레이, 배터리, 모터, 카메라 모듈 등이 있다.<ref>단호박 Story, 〈[https://lover55.tistory.com/240 전장사업이란? 전장사업 의미 완전분석!!!]〉, 《티스토리》, 2016-11-15</ref>
+
전장사업이란 자동차의 전장부품 관련 사업을 총칭하는 말이다. 전장부품이란 쉽게 말해 전기장치부품의 약어이다. 전장부품과 자동차 부품의 차이점은 자동차 부품은 기계와 전기장치가 모두 포함되는 용어이고, 전장부품은 전기계통의 부품만을 통칭한다. 따라서 전장사업이란 자동차의 전기부품 관련 사업을 의미하는 말이다. 전장사업은 구체적으로 차량용 반도체, 텔레매텍스, 차량용디스플레이, 배터리, 모터, 카메라 모듈 등이 있다.<ref>단호박 Story, 〈[https://lover55.tistory.com/240 전장사업이란? 전장사업 의미 완전분석!!!]〉, 《티스토리》, 2016-11-15</ref>
  
 
===전장기업===
 
===전장기업===
전장사업을 하는 대표적인 국내 회사는 현대모비스가 있다. 현대모비스는 모기업인 현대자동차 그룹을 포함해서 [[제너럴모터스]](General Motors Corporation), [[폭스바겐]](Volkswagen), [[스바루]](Subaru), [[미쓰비시자동차]](Mitsubishi Motors)에서 [[모터]], [[모듈]], [[센서]], [[제어기]] 등 전지 전자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다른 업체로는 엠씨넥스가 있다. [[㈜엠씨넥스]](MCNEX)의 주 전장은 카메라이다.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 [[기아㈜]](KIA), [[푸조]](Peugeot) 등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들어가는 카메라를 공급하고 있으며 전후방 카메라 [[사이드미러]] 대체 마케라 등 다양한 제품군이 있다. 카메라가 중요한 전장인 이유는 자율주행과 관계가 있다. 테슬라는 카메라를 이용한 대표적인 자율주행 차량을 개발하는 업체이며, [[구글]](Google), 현대자동차㈜, 제너럴모터스 등의 글로벌 기업들은 라이다라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현대 엠씨넥스도 자율주행 관련 카메라를 개발 중이라고 한다. 다음 업체는 [[하만]](Harman)이다. 삼성이 인수하여 삼성계열사로 편입된 카오디오 회사이다. 하만은 [[캐딜락]](Cadillac), [[포드]](Ford), [[폭스바겐]](Volkswagen), [[제네시스]](Genesis)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자동차가 단순히 운행만 하는 기능을 넘어서 엔터테인먼트의 공간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미래차의 주요 전장으로 필요한 것이 바로 카오디오 부분이다.<ref>그 남자의 일상 생독TV, 〈[https://s-reading.tistory.com/entry/%EC%9E%90%EB%8F%99%EC%B0%A8-%EC%A0%84%EC%9E%A5-%EC%82%AC%EC%97%85%EC%9D%B4%EB%9E%80 자동차 전장 사업이란]〉, 《티스토리》, 2021-04-09</ref> [[에스케이이노베이션㈜]](SK Innovation)는 별도의 전장 사업보단 에너지와 통신 사업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에 집중하고 있으며 차량용 부품과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ref>뉴타입 라이프 뉴타입 라이프, 〈[https://memorning.com/entry/%EC%9E%90%EB%8F%99%EC%B0%A8-%EC%A0%84%EC%9E%A5-%EC%82%BC%EC%84%B1LG%ED%98%84%EB%8C%80SK 자동차 전장의 의미와 전장 사업 주요 기업의 행보(삼성, LG, 현대, SK)]〉, 《티스토리》, 2021-03-15</ref>
+
전장사업을 하는 대표적인 국내 회사는 현대모비스가 있다. 현대모비스는 모기업인 현대자동차 그룹을 포함해서 [[제너럴모터스]](General Motors Corporation), [[폭스바겐]](Volkswagen), [[스바루]](Subaru), [[미쯔비시 자동차]](Mitsubishi Motors)에서 [[모터]], [[모듈]], [[센서]], [[제어기]] 등 전지 전자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다른 업체로는 엠씨넥스가 있다. [[㈜엠씨넥스]](MCNEX)의 주 전장은 카메라이다.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 [[기아자동차㈜]](KIA Motors Corporation), 푸조(Peugeot) 등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들어가는 카메라를 공급하고 있으며 전후방 카메라 [[사이드미러]] 대체 마케라 등 다양한 제품군이 있다. 카메라가 중요한 전장인 이유는 자율주행과 관계가 있다. 테슬라는 카메라를 이용한 대표적인 자율주행 차량을 개발하는 업체이며, [[구글]](Google), 현대자동차㈜, 제너럴모터스 등의 글로벌 기업들은 라이다라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현대 엠씨넥스도 자율주행 관련 카메라를 개발 중에 있다고 한다. 다음 업체는 [[하만]](Harman)이다. 삼성이 인수하여 삼성계열사로 편입된 카오디오 회사이다. 하만은 [[캐딜락]](Cadillac), [[포드]](Ford), [[폭스바겐]](Volkswagen), [[제네시스]](Genesis)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자동차가 단순히 운행만 하는 기능을 넘어서 엔터테인먼트의 공간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미래차의 주요 전장으로 필요한 것이 바로 카오디오 부분이다.<ref>그 남자의 일상 생독TV, 〈[https://s-reading.tistory.com/entry/%EC%9E%90%EB%8F%99%EC%B0%A8-%EC%A0%84%EC%9E%A5-%EC%82%AC%EC%97%85%EC%9D%B4%EB%9E%80 자동차 전장 사업이란]〉, 《티스토리》, 2021-04-09</ref> [[에스케이이노베이션㈜]](SK Innovation)는 별도의 전장 사업보단 에너지와 통신 사업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에 집중하고 있으며 차량용 부품과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ref>뉴타입 라이프 뉴타입 라이프, 〈[https://memorning.com/entry/%EC%9E%90%EB%8F%99%EC%B0%A8-%EC%A0%84%EC%9E%A5-%EC%82%BC%EC%84%B1LG%ED%98%84%EB%8C%80SK 자동차 전장의 의미와 전장 사업 주요 기업의 행보(삼성, LG, 현대, SK)]〉, 《티스토리》, 2021-03-15</ref>
  
 
===전장사업 전망===
 
===전장사업 전망===
50번째 줄: 47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7/12/817633/ (현대모비스 공학교실) 차량두뇌 'ECU'통합이 완전 자율주행차 만들 핵심열쇠]〉, 《매일경제》, 2017-12-11
 
*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7/12/817633/ (현대모비스 공학교실) 차량두뇌 'ECU'통합이 완전 자율주행차 만들 핵심열쇠]〉, 《매일경제》, 2017-12-11
* MCARFE,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096812 벤츠에 이런 기능이?]〉, 《네이버 포스트》, 2018-12-11
 
 
* 쿠킷리스트, 〈[https://kookitlist.tistory.com/124 전기차로 핫한 자동차 전장 이란 무엇일까? 전장 사업 뜻 알아보기]〉, 《티스토리》, 2020-09-12
 
* 쿠킷리스트, 〈[https://kookitlist.tistory.com/124 전기차로 핫한 자동차 전장 이란 무엇일까? 전장 사업 뜻 알아보기]〉, 《티스토리》, 2020-09-12
 
* 슈어소프트테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uresofttech&logNo=221089885502 (슈어소프트테크)자동차의 전장화]〉, 《네이버 블로그》, 2017-09-05
 
* 슈어소프트테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uresofttech&logNo=221089885502 (슈어소프트테크)자동차의 전장화]〉, 《네이버 블로그》, 2017-09-05
57번째 줄: 53번째 줄:
 
* 신동윤 기자,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525 장난감부터 전기자동차까지 구현하는 액추에이터의 꽃, 전기 모터]〉, 《테크월드》, 2018-07-10
 
* 신동윤 기자,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525 장난감부터 전기자동차까지 구현하는 액추에이터의 꽃, 전기 모터]〉, 《테크월드》, 2018-07-10
 
* 장문기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10512083657639 (아주 쉬운 뉴스 Q&A) 자동차 전장 산업, 삼성·LG 사활 건 이유는?]〉, 《아주경제》, 2021-05-12
 
* 장문기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10512083657639 (아주 쉬운 뉴스 Q&A) 자동차 전장 산업, 삼성·LG 사활 건 이유는?]〉, 《아주경제》, 2021-05-12
* 권정수 기자,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04127 (IT 산업 20년 전) 떠오르는 신기술 ‘텔레매틱스’]〉, 《아이티데일리》, 2021-08-31
 
* 이재민 기자, 〈[https://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214 (TECH웨이브) 전기차 배터리 시장 동향과 전망]〉, 《테크월드뉴스》, 2021-11-01
 
* 오토헤럴드,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32 (아롱테크) 자동차 속 과학① ABS의 작동원리]〉, 《오토헤럴드》, 2017-01-05
 
* 정순인 책임연구원, 〈[https://live.lge.co.kr/vehicle_display/ LG전자가 만드는 미래차의 핵심 #10 차량용 디스플레이 트렌드]〉, 《LG전자 소셜 매거진》, 2021-03-18
 
* 단호박 Story, 〈[https://lover55.tistory.com/240 전장사업이란? 전장사업 의미 완전분석!!!]〉, 《티스토리》, 2016-11-15
 
* 그 남자의 일상 생독TV, 〈[https://s-reading.tistory.com/entry/%EC%9E%90%EB%8F%99%EC%B0%A8-%EC%A0%84%EC%9E%A5-%EC%82%AC%EC%97%85%EC%9D%B4%EB%9E%80 자동차 전장 사업이란]〉, 《티스토리》, 2021-04-09
 
* 뉴타입 라이프 뉴타입 라이프, 〈[https://memorning.com/entry/%EC%9E%90%EB%8F%99%EC%B0%A8-%EC%A0%84%EC%9E%A5-%EC%82%BC%EC%84%B1LG%ED%98%84%EB%8C%80SK 자동차 전장의 의미와 전장 사업 주요 기업의 행보(삼성, LG, 현대, SK)]〉, 《티스토리》, 2021-03-15
 
* 모토야편집부, 〈[https://www.motoy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0 TCS(traction control system)]〉, 《모토야》, 2017-04-11
 
* 어떤오후, 〈[https://bakong.tistory.com/173 눈,비 오는 날엔 필수 TCS(Traction Control System)]〉, 《티스토리》, 2020-03-09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자동차]]
+
* [[차체내장]]
 
* [[전장 (길이)]]
 
* [[전장 (길이)]]
 
* [[전장]]
 
* [[전장]]
  
{{자동차 전장|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