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바 연례 블록체인 대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번째 줄: 8번째 줄:
 
* 일시 : 2020년 1월 20일(월) 08:00 ~ 17:00
 
* 일시 : 2020년 1월 20일(월) 08:00 ~ 17:00
 
* 장소 : 스위스 제네바 메이린 르 그랜드 사코넥스  1218 루트 프랑수아-페이로 30, [[팔렉스포]](Palexpo)
 
* 장소 : 스위스 제네바 메이린 르 그랜드 사코넥스  1218 루트 프랑수아-페이로 30, [[팔렉스포]](Palexpo)
* 주최 : [[제네바공화국]], [[제네바 대학교]], [[제네바상공회의소]], [[퐁짓]]
+
* 주최 :  
 
* 발표자 : 125명  
 
* 발표자 : 125명  
 
* 참가자 : 업계 관계자, 개발자, 투자자, 일반인, 학생 등 600 ~ 1,000명
 
* 참가자 : 업계 관계자, 개발자, 투자자, 일반인, 학생 등 600 ~ 1,000명
 
* 참가비 : 100 CHF ~ 650 CHF
 
* 참가비 : 100 CHF ~ 650 CHF
 
* 신청 : https://genevablockchaincongress.com/(티켓 구매)
 
* 신청 : https://genevablockchaincongress.com/(티켓 구매)
 +
* 상세정보(PC용) :
 +
* 상세정보(모바일) :
  
 
=== 행사 일정표 ===
 
=== 행사 일정표 ===
250번째 줄: 252번째 줄:
 
|align=center bgcolor="#f5ffff"|14:00 ~ 16:00
 
|align=center bgcolor="#f5ffff"|14:00 ~ 16:00
 
|align=center bgcolor="#f5ffff"|규정 & 법률 프레임워크
 
|align=center bgcolor="#f5ffff"|규정 & 법률 프레임워크
|align=center bgcolor="#f5ffff"|'''[[티에리 베도인]]'''(Thierry Bedoin)<br>'''[[위베르 드 보플란]]'''(Hubert de Vauplane)<br>'''[[세바스티앙 크란즐린]]'''(Sebastien Kraenzlin)<br>'''[[알렉산더 리차]]'''(Alexandre Richa)<br>'''[[티보 페르비스트]]'''(Thibault Verbiest)
+
|align=center bgcolor="#f5ffff"|'''[[티에리 베도인]]'''(Thierry Bedoin)<br>'''[[위베르 드 보블란레이]]'''(Hubert de Vauplane)<br>'''[[세바스티앙 크란즐린]]'''(Sebastien Kraenzlin)<br>'''[[알렉산더 리차]]'''(Alexandre Richa)<br>'''[[티보 페르비스트]]'''(Thibault Verbiest)
 
|align=center bgcolor="#f5ffff"|지불 수단/프라이빗 및 공용 스테이블코인 암호화 방법
 
|align=center bgcolor="#f5ffff"|지불 수단/프라이빗 및 공용 스테이블코인 암호화 방법
 
|align=center bgcolor="#f5ffff"|룸T
 
|align=center bgcolor="#f5ffff"|룸T
362번째 줄: 364번째 줄:
 
{{글 보임 시작}}
 
{{글 보임 시작}}
 
{{이미지블록180
 
{{이미지블록180
|델리 아탄다||[[메타미]] CEO|엘리 안드로울라키||[[IBM]] 과학자|로랑 오다즈||[[MSC]] 법률 책임자|티에리 베도인||Banque de France의 최고 디지털 책임자|루스 아모스||Cogent Law Group 파트너|푸안원||청두아이커썬테크놀로지 CEO|장-이브 아드레아니||[[오피치네 파네라이]] 시계 장인|니사 아모일즈||[[그래스호퍼 캐피탈]] 파트너|티나 발즐리||[[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파트너|소우마야 벤 다우||[[유엔유-이지오브이]] 연구 코디네이터|알렉산더 베렌슨||미국연방은행 선임 연구원|파스칼 뷔히너|| [[IATA]] CIO|앙투안 부렛||제네바대학교 사회학자|리처드 비워스||[[디지넥스]](Diginex) 최고 경영자|알렉스 카하나||제네시스 블록체인 헬스케어 & 블록체인 컨설팅 책임자|제시카 카뮈||디지넥스(Diginex)의 파트너십 및 임팩트 책임자|다니엘 코허||Tokeny Solutions 공동 창립자 겸 CSO|루도빅 코어실러즈||[[컨센시스]](ConsenSys) EU 블록체인 선두자|제니 크리드 제러티||독립 컨설턴트 임상유전자 과학자|제이슨 크로스||[[라이메디]](Rymedi) CEO|헬리 다우테포트||[[글로브코인]](Globcoin) CEO|레오 다게트||[[리치몬트]] 고객혁신 책임자|미르코 데 말데|| [[린케우스]] COO|위베르 드 보플란||크레이머-레빈(Kramer-Levin) 파트너|올리비에 데피에르||DLT 로펌 공동 창시자|세바스티앙 데시모즈||[[토러스그룹]] 공동 창시자|떵디||[[중국블록체인응용연구센터]] 이사장|헬렌 디즈니||[[언블락드이벤츠]] CEO|벤자민 뒤부아||네슬레 블록체인 리드 및 디지털 혁신가|요른 에르부스||[[제네바 매크로랩스]] 기술 책임자|에케하르트 에른스트||[[제네바 매크로랩스]](Macro Labs) 사장|세바스티앙 판티||뇌샤텔 대학교 CAS 공동 책임자|한펑||[[엘라스토스]] 공동창시자|세바스티앙 플랙||GFA의 회장|헤더 플래너리||[[컨센시스헬스]]의 글로벌 리더|브라이언 포드||[[EPFL]] 부교수|토비아스 프리맨||시라쿠사(Siracusa) 국제형사사법인권연구소 선임 법무관|페드로 푸엔테스||[[와이즈키]]CSO|레오나르도 감마르||[[아고라]] CEO|엠마뉴엘 간느||WTO 수석 분석가|마이케 게릭||[[스크립트]] 창시자|아리 거슈트||스위스 국제금융사무국 SIF 변호사|토머스 자코모||Wecan Accelerate 파트너|알비세 주스티니아니||필립모리스 부사장|안드레아스 글라너||MME Legal 파트너, EMEA 리더|}}
+
|델리 아탄다||[[메타미]] CEO|엘리 안드로울라키||[[IBM]] 과학자|로랑 오다즈||[[MSC]] 법률 책임자|티에리 베도인||Banque de France의 최고 디지털 책임자|루스 아모스||Cogent Law Group 파트너|푸안원||청두아이커썬테크놀로지 CEO|장-이브 아드레아니||[[오피치네 파네라이]] 시계 장인|니사 아모일즈||[[그래스호퍼 캐피탈]] 파트너|티나 발즐리||[[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파트너|소우마야 벤 다우||[[유엔유-이지오브이]] 연구 코디네이터|알렉산더 베렌슨||미국연방은행 선임 연구원|파스칼 뷔히너|| [[IATA]] CIO|앙투안 부렛||제네바대학교 사회학자|리처드 비워스||[[디지넥스]](Diginex) 최고 경영자|알렉스 카하나||제네시스 블록체인 헬스케어 & 블록체인 컨설팅 책임자|제시카 카뮈||디지넥스(Diginex)의 파트너십 및 임팩트 책임자|다니엘 코허||Tokeny Solutions 공동 창립자 겸 CSO|루도빅 코어실러즈||[[컨센시스]](ConsenSys) EU 블록체인 선두자|제니 크리드 제러티||독립 컨설턴트 임상유전자 과학자|제이슨 크로스||[[라이메디]](Rymedi) CEO|헬리 다우테포트||[[글로브코인]](Globcoin) CEO|레오 다게트||[[리치몬트]] 고객혁신 책임자|미르코 데 말데|| [[린케우스]] COO|위베르 드 보블란레이||크레이머-레빈(Kramer-Levin) 파트너|올리비에 데피에르||DLT 로펌 공동 창시자|세바스티앙 데시모즈||[[토러스그룹]] 공동 창시자|떵디||[[중국블록체인응용연구센터]] 이사장|헬렌 디즈니||[[언블락드이벤츠]] CEO|벤자민 뒤부아||네슬레 블록체인 리드 및 디지털 혁신가|요른 에르부스||[[제네바 매크로랩스]] 기술 책임자|에케하르트 에른스트||[[제네바 매크로랩스]](Macro Labs) 사장|세바스티앙 판티||뇌샤텔 대학교 CAS 공동 책임자|한펑||[[엘라스토스]] 공동창시자|세바스티앙 플랙||GFA의 회장|헤더 플래너리||[[컨센시스헬스]]의 글로벌 리더|브라이언 포드||[[EPFL]] 부교수|토비아스 프리맨||시라쿠사(Siracusa) 국제형사사법인권연구소 선임 법무관|페드로 푸엔테스||[[와이즈키]]CSO|레오나르도 감마르||[[아고라]] CEO|엠마뉴엘 간느||WTO 수석 분석가|마이케 게릭||[[스크립트]] 창시자|아리 거슈트||스위스 국제금융사무국 SIF 변호사|토머스 자코모||Wecan Accelerate 파트너|알비세 주스티니아니||필립모리스 부사장|안드레아스 글라너||MME Legal 파트너, EMEA 리더|}}
 
{{이미지블록180
 
{{이미지블록180
 
|카를로스 모레노||[[와이즈키]] 부사장|버트런드 페레즈||[[리브라협회]] COO|버질 페레||디지털화폐 연구자 & 강사|한하원||[[한국스마트인증㈜]] 제품 관리자|크리스틴 헨켄||[[바쉐론콘스탄틴]] 디지털 프로그램 관리자|로버트 헨슬러|| [[팔렉스포]] 회장|피레트 히르브||[[커넥티드 헬스 클러스터]] 매니저|사이먼 후퍼||RemindMeCare 창시자|장 피에르 위보||[[로잔 공과대학교]] 교수|패트릭 헝거||디지털 혁신가|빌랄 이브다||EMEA 리더|자크 이플란드||Lenz & Staehelin 파트너|티모시 이와타 두리||카르티에 글로벌 이노베이션 디랙터|마리우스 유르길라스||리투아니아은행 이사회 멤버|피에르 카우프만||IBM스위스 블록체인 담당자|크리스천 슐체-볼터스||IBM 독일 블록체인 솔루션 담당 이사|로널드 코겐스||스위스 로펌 [[프로리프]] 파트너|폴 콜하스||[[말러큘]] CEO|재로드 쿠프먼||IRS 사이버범죄 수사 팀장|세바스티앙 크란즐린||스위스 국립은행 이사|사니에브 크리슈나||런던대학교 교수|두르감 쿠머||[[와이즈키]] 이사회 멤버|크리스토프 램프||다이나믹스그룹 선임 파트너|카말레스 라디||Lardi & Partner Consulting 매니징 파트너|펠릭스 라우펜버그||[[비트코인스위스AG]] 암호엔지니어|이재섭||UN국제 전기통신 연합(ITU-T) 이사|매튜 르메를르||[[피프스이어러]]와  [[카이레츠캐피탈]]의 공동 설립자|카를로 롬바르디니||[[로잔 대학교]] 법학과 교슈|이브 롱샴||세바뱅크 리서치 책임자|페드로 로페즈-벨몬트||[[리치몬트 그룹]] 블록체인 설계자|크리스티앙 로비스||제네바대학병원 교수|필립 루셋||실리콘밸리 블록체인 협회 법률고문|옐레나 마디르||GAVI 법무총괄|피터 메이저||UN 과학기술 개발위원회(CSTD) 부회장|마리아 마렌코||블록체인 전략가 & 고문|피에르 모데||스위스 경제개발국 장관|데이비드 멧카프||글로벌블록체인벤처스 CEO|로돌프 메이어||제네바대학병원 CIO|지안루카 미수라카||[[유럽위원회]] 수석과학자|잔프란코 모이||제네바주 경제개발연구혁신국(DG EDRI) 디지털업무 담당자|문기봉||한국스마트인증㈜ CEO|카를로스 모레이라||[[와이즈키]] 창립자 & CEO|그레이엄 모트||[[UNCTAD]] 경제업무 담당자|짐 나스르||[[싱크로제닉스]] 기술 및 혁신 담당 부사장|아르노 페른탈레르||아토미즈 비즈니스개발 책임자|}}
 
|카를로스 모레노||[[와이즈키]] 부사장|버트런드 페레즈||[[리브라협회]] COO|버질 페레||디지털화폐 연구자 & 강사|한하원||[[한국스마트인증㈜]] 제품 관리자|크리스틴 헨켄||[[바쉐론콘스탄틴]] 디지털 프로그램 관리자|로버트 헨슬러|| [[팔렉스포]] 회장|피레트 히르브||[[커넥티드 헬스 클러스터]] 매니저|사이먼 후퍼||RemindMeCare 창시자|장 피에르 위보||[[로잔 공과대학교]] 교수|패트릭 헝거||디지털 혁신가|빌랄 이브다||EMEA 리더|자크 이플란드||Lenz & Staehelin 파트너|티모시 이와타 두리||카르티에 글로벌 이노베이션 디랙터|마리우스 유르길라스||리투아니아은행 이사회 멤버|피에르 카우프만||IBM스위스 블록체인 담당자|크리스천 슐체-볼터스||IBM 독일 블록체인 솔루션 담당 이사|로널드 코겐스||스위스 로펌 [[프로리프]] 파트너|폴 콜하스||[[말러큘]] CEO|재로드 쿠프먼||IRS 사이버범죄 수사 팀장|세바스티앙 크란즐린||스위스 국립은행 이사|사니에브 크리슈나||런던대학교 교수|두르감 쿠머||[[와이즈키]] 이사회 멤버|크리스토프 램프||다이나믹스그룹 선임 파트너|카말레스 라디||Lardi & Partner Consulting 매니징 파트너|펠릭스 라우펜버그||[[비트코인스위스AG]] 암호엔지니어|이재섭||UN국제 전기통신 연합(ITU-T) 이사|매튜 르메를르||[[피프스이어러]]와  [[카이레츠캐피탈]]의 공동 설립자|카를로 롬바르디니||[[로잔 대학교]] 법학과 교슈|이브 롱샴||세바뱅크 리서치 책임자|페드로 로페즈-벨몬트||[[리치몬트 그룹]] 블록체인 설계자|크리스티앙 로비스||제네바대학병원 교수|필립 루셋||실리콘밸리 블록체인 협회 법률고문|옐레나 마디르||GAVI 법무총괄|피터 메이저||UN 과학기술 개발위원회(CSTD) 부회장|마리아 마렌코||블록체인 전략가 & 고문|피에르 모데||스위스 경제개발국 장관|데이비드 멧카프||글로벌블록체인벤처스 CEO|로돌프 메이어||제네바대학병원 CIO|지안루카 미수라카||[[유럽위원회]] 수석과학자|잔프란코 모이||제네바주 경제개발연구혁신국(DG EDRI) 디지털업무 담당자|문기봉||한국스마트인증㈜ CEO|카를로스 모레이라||[[와이즈키]] 창립자 & CEO|그레이엄 모트||[[UNCTAD]] 경제업무 담당자|짐 나스르||[[싱크로제닉스]] 기술 및 혁신 담당 부사장|아르노 페른탈레르||아토미즈 비즈니스개발 책임자|}}
392번째 줄: 394번째 줄:
 
* '''[[레오 다게트]]'''(Léo Daguet) : [[리치몬트]](Richemont)  고객혁신 책임자이다. 《리치몬트 & 소비재 산업에 대한 불법 거래 & 위조 영향 및 논의》, 14:15 ~ 14:40, 룸S,  
 
* '''[[레오 다게트]]'''(Léo Daguet) : [[리치몬트]](Richemont)  고객혁신 책임자이다. 《리치몬트 & 소비재 산업에 대한 불법 거래 & 위조 영향 및 논의》, 14:15 ~ 14:40, 룸S,  
 
* '''[[미르코 데 말데]]'''(Mirko De Maldè) : 이태리 [[린케우스]](Lynkeus) COO이며 BHTY 이탈리아 대사 및 블록체인 컨설턴트이다. 《헬스케어 & 블록체인: 세계속 실제 사용 사례》, 15:00 ~ 16:00, 룸R
 
* '''[[미르코 데 말데]]'''(Mirko De Maldè) : 이태리 [[린케우스]](Lynkeus) COO이며 BHTY 이탈리아 대사 및 블록체인 컨설턴트이다. 《헬스케어 & 블록체인: 세계속 실제 사용 사례》, 15:00 ~ 16:00, 룸R
* '''[[위베르 드 보플란]]'''(Hubert de Vauplane) : [[크레이머-레빈]](Kramer-Levin) 파트너이다. 《스위스의 규제 프레임워크가 매력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09:55 ~ 10:20, 룸B, 《지불 수단/프라이빗 및 공용 스테이블코인 암호화 방법》, 14:00 ~ 16:00, 룸T
+
* '''[[위베르 드 보블란레이]]'''(Hubert de Vauplane) : [[크레이머-레빈]](Kramer-Levin) 파트너이다. 《스위스의 규제 프레임워크가 매력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09:55 ~ 10:20, 룸B, 《지불 수단/프라이빗 및 공용 스테이블코인 암호화 방법》, 14:00 ~ 16:00, 룸T
 
* '''[[올리비에 데피에르]]'''(Olivier Depierre) : DLT 로펌 공동 창시자이며 파트너이다. 재무 규제, 은행법, 형법 및 계약법에서 확인 된 변호사이다. 《스위스의 규제 프레임워크가 매력적인 이유?》, 09:55 ~ 10:20, 룸B, 《지불 수단/프라이빗 및 공용 스테이블코인 암호화 방법》, 14:00 ~ 16:00, 룸T, 《공공/민법 토큰 자격/토큰화 법적 문제/소유권 제도》, 16:30 ~ 18:30, 룸T
 
* '''[[올리비에 데피에르]]'''(Olivier Depierre) : DLT 로펌 공동 창시자이며 파트너이다. 재무 규제, 은행법, 형법 및 계약법에서 확인 된 변호사이다. 《스위스의 규제 프레임워크가 매력적인 이유?》, 09:55 ~ 10:20, 룸B, 《지불 수단/프라이빗 및 공용 스테이블코인 암호화 방법》, 14:00 ~ 16:00, 룸T, 《공공/민법 토큰 자격/토큰화 법적 문제/소유권 제도》, 16:30 ~ 18:30, 룸T
 
* '''[[세바스티앙 데시모즈]]'''(Sebastien Dessimoz) : [[토러스그룹]](Taurus Group) SA 공동 창시자이다. 《토큰 자산 및 자본 시장2.0》, 14:00 ~ 16:00, 룸A
 
* '''[[세바스티앙 데시모즈]]'''(Sebastien Dessimoz) : [[토러스그룹]](Taurus Group) SA 공동 창시자이다. 《토큰 자산 및 자본 시장2.0》, 14:00 ~ 16:00, 룸A
498번째 줄: 500번째 줄:
 
{{글 보임 시작}}
 
{{글 보임 시작}}
 
{{로고글자블록
 
{{로고글자블록
|오이스트재단||와이즈키||도리어그룹||필립 모리스 인터내셔널||지지비에이 서부스위스투자|
+
|오이스트 재단||와이즈키||도리어그룹||필립 모리스 인터내셔널||지지비에이 서부스위스투자|
 
|}}
 
|}}
* '''[[오이스트재단]]'''(OISTE FOUNDATION) : 1998년 스위스 제네바에 설립된 스위스 민법 80조 이하의 규정에 의해 규제되는 비영리 단체이다. 전자거래를 확보하고, 디지털 인증의 활용을 확대하며 인증기관의 전자거래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표준의 이용·채택을 촉진한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단체이다. 오이스트는 사람과 사물에 대한 강력한 디지털 인증을 허용하는 루트 암호화 키에 대한 독점권을 가지고 있다. 오이스테는 국제연합 경제사회위원회(ECOSOC)와 특별 협의 상태에 있는 기구로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구의 비영리 선거구(NPOC)에 속해 있다.
+
* '''[[오이스트 재단]]'''(OISTE FOUNDATION) : 1998년 스위스 제네바에 설립된 스위스 민법 80조 이하의 규정에 의해 규제되는 비영리 단체이다. 전자거래를 확보하고, 디지털 인증의 활용을 확대하며 인증기관의 전자거래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표준의 이용·채택을 촉진한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단체이다. 오이스트는 사람과 사물에 대한 강력한 디지털 인증을 허용하는 루트 암호화 키에 대한 독점권을 가지고 있다. 오이스테는 국제연합 경제사회위원회(ECOSOC)와 특별 협의 상태에 있는 기구로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구의 비영리 선거구(NPOC)에 속해 있다.
 
* '''[[와이즈키]]'''(WISEKey) : 스위스의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글로벌 사이버 보안 회사이다. 1999년에 설립되었으며 창시자는 [[카를로스 모레이라]](Carlose Moreira)이다. 와이즈키는 현재 인간을 인터넷의 핵심으로 간주하는 블록 체인, AI 및 IoT를 사용하여 사람과 사물에 대규모 디지털 신원 생태계를 구축하는 세계 유수의 글로벌 사이버 보안 회사이다.  
 
* '''[[와이즈키]]'''(WISEKey) : 스위스의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글로벌 사이버 보안 회사이다. 1999년에 설립되었으며 창시자는 [[카를로스 모레이라]](Carlose Moreira)이다. 와이즈키는 현재 인간을 인터넷의 핵심으로 간주하는 블록 체인, AI 및 IoT를 사용하여 사람과 사물에 대규모 디지털 신원 생태계를 구축하는 세계 유수의 글로벌 사이버 보안 회사이다.  
 
* '''[[도리어그룹]]'''(DORIER GROUP) : 1946년에 설립된 기업 및 기관 고객에게 성공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온 스위스 제네바에 기반을 둔 시청각 및 창의적 기술제작 이벤트 회사이다. 도리어그룹은 컨퍼런스, 회의, 갈라디너, 제품출시, 패션쇼 및 기타 모든 이벤트에 기술적 전문성을 제공하고 있다. 전무이사는 올리비에 크로셋(Olivier Croset)이다.
 
* '''[[도리어그룹]]'''(DORIER GROUP) : 1946년에 설립된 기업 및 기관 고객에게 성공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온 스위스 제네바에 기반을 둔 시청각 및 창의적 기술제작 이벤트 회사이다. 도리어그룹은 컨퍼런스, 회의, 갈라디너, 제품출시, 패션쇼 및 기타 모든 이벤트에 기술적 전문성을 제공하고 있다. 전무이사는 올리비에 크로셋(Olivier Croset)이다.
527번째 줄: 529번째 줄:
  
 
== 운영위원회 ==
 
== 운영위원회 ==
{{글 보임 시작}}
 
{{로고글자블록
 
|제네바상공회의소||디지넥스||디엘티법률사무소||퐁짓||제네바대학병원||IBM||제네바공화국||토러스그룹||제네바 대학교|
 
|}}
 
 
*  '''[[제네바상공회의소]]'''(CCIG) : 스위스에서 세번 째로 오래된 상공회의소이다. 1865년 어니스트 피켓(Ernest Pictet)에 의해 설립되었다. 경제가 변화함에 따라 1961년에 "산업"이라는 용어가 추가되고 2006 년에 "서비스"라는 용어가 추가되 기관의 이름도 "Geneva Chamber of Commerce, Industry and Services"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상공회의소에는 기업의 모든 부문에서 온 2500명의 회원이 있으며 133,0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있다. CCIG는 제네바의 기업에 대한 호소력의 네 가지 주요 요소 및 소위 프레임 워크 조건인 도시 계획, 에너지, 재정 정책 및 교통에 중점을 두고 있다.
 
*  '''[[제네바상공회의소]]'''(CCIG) : 스위스에서 세번 째로 오래된 상공회의소이다. 1865년 어니스트 피켓(Ernest Pictet)에 의해 설립되었다. 경제가 변화함에 따라 1961년에 "산업"이라는 용어가 추가되고 2006 년에 "서비스"라는 용어가 추가되 기관의 이름도 "Geneva Chamber of Commerce, Industry and Services"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상공회의소에는 기업의 모든 부문에서 온 2500명의 회원이 있으며 133,0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있다. CCIG는 제네바의 기업에 대한 호소력의 네 가지 주요 요소 및 소위 프레임 워크 조건인 도시 계획, 에너지, 재정 정책 및 교통에 중점을 두고 있다.
 
* '''[[디지넥스]]'''(DIGINEX) :  디지털 금융 서비스 및 블록체인 솔루션 회사dl다. 기관 투자자, 기업 및 정부와 협력하여 디지털 자산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고 사회를 보다 안전하게 만든다.
 
* '''[[디지넥스]]'''(DIGINEX) :  디지털 금융 서비스 및 블록체인 솔루션 회사dl다. 기관 투자자, 기업 및 정부와 협력하여 디지털 자산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고 사회를 보다 안전하게 만든다.
* '''[[디엘티법률사무소]]''' (DLT) : 2018년에 설립된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법률 사무소이다. 제네바 블록체인 커뮤니티에서 활동중이며 스위스금융기술협회 회원, 스위스 법률기술협회 회원, 국제비즈니스변호사협회 회원이다.
+
* '''[[디엘티법률사무소]]''' (DLT) :  
 
* '''[[퐁짓]]'''(Fongit) : 기술 혁신을 위한 제네바 재단으로 스위스 최초의 인큐베이터이다. 민간 비영리 재단으로, 제네바 지역에서 기술을 사회적, 경제적 가치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퐁짓]]'''(Fongit) : 기술 혁신을 위한 제네바 재단으로 스위스 최초의 인큐베이터이다. 민간 비영리 재단으로, 제네바 지역에서 기술을 사회적, 경제적 가치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제네바대학병원]]'''(HUG) : 스위스에서 가장 큰 대학병원으로 고품질의 전문 의료서비스와 의료 연수를 제공하고 있다. 이 병원은 1995년에 설립되었으며, 수백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의학 및 과학 분야에서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제네바 주내 전역에 걸쳐 10개의 제네바 공립 병원과 40개의 외래환자 부서와 함께 스위스의 일류 대학병원을 형성하고 있다.
+
* '''[[제네바대학병원]]'''(HUG) :  
* '''[[IBM]]''': 미국의 IT 기업이다. IBM은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의 약자로서, '국제사무기기회사'라는 뜻이다. IBM은 컴퓨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판매 및 컨설팅과 서비스가 주요 사업인 다국적 기업이다. 세계 컴퓨터 시장의 점유율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며 컴퓨터 외에도 사무기기들과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조한다.
+
* '''[[아이비엠]]'''(IBM) :  
* '''[[제네바공화국]]'''(REPUBLIQUE ET CANTON DE GENEVE) : 1541년 장 칼뱅( Jean Calvin)에 의해 선포되었고, 1798년 프랑스에 합병되었으며, 1813년 회복되었다가 1815년에 스위스 연방(Confédération suisse)의 일원으로 가입하였다. 1813년 제네바 공화국은 다시 독립하였고 1815년 스위스 연방의 스물두째 주인 제네바 주로 가입하였다. 빈 회의에서 프랑스령과 사부아령으로 조금 확장된 영토를 인정받았다. 현재까지도 제네바는 제네바 공화국 및 칸톤(République et canton de Genève)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한다.
+
* '''[[제네바공화국]]'''(REPUBLIQUE ET CANTON DE GENEVE) :  
* '''[[토러스그룹]]'''(Taurus Group) :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금융 서비스 플랫폼이다. 디지털 자산의 거래, 투자 및 자산보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8년에 설립되었으며 '''[[세바스티앙 데시모즈]]'''(Sebastien Dessimoz)가 매니징 파트너로 역할을 하고 있다.
+
* '''[[토러스]]'''(TAURUS) : 2018년 첫 규제 디지털자산거래소를 구축하겠다는 비전으로 설립하였다.  
* '''[[제네바 대학교]]'''(UNIVERSITE DE GENEVE) : 스위스의 공립대학교이다. 'UNIGE'라고도 불린다. 제네바에 위치해 있고 불어를 사용한다. 1559년 종교개혁자 장 칼뱅(Jean Calvin)이 신학, 법학, 인문 교육 기관으로 창설한 뒤 1873년에 종합대학교가 되었다. 제네바 대학교는 2019년부터 블록체인 개발에 대한 CAS (Certificate of Advanced Studies)를 시작했습니다. NEO에 전체 모듈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유럽의 ECTS 학점을 12학점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최초의 블록체인 과정이다. 학생들은 화상 회의를 통해 캠퍼스 또는 온라인에서 공부할 수 있다.
+
* '''[[제네바 대학교]]'''(UNIVERSITE DE GENEVE) :
  
 
== 미디어 파트너 ==
 
== 미디어 파트너 ==
{{글 보임 시작}}
+
* '''[[에이엠비크립토]]'''(AMB CRYPTO) :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이다.  
{{로고글자블록
+
* '''[[빌란]]'''(Bilan) :  
|에이엠비크립토||빌란||체이늄||크립토인포스||핀테크 월드와이드||크립토머니||제네바 매크로랩스||아이씨오홀더||스위스아랍기업가||스위스금융기술협회||트레이드 파이낸스 글로벌|
+
* '''[[체인움]]'''(CHAINEUM) : 유럽의 대표적인 ICO 부티크이다.  
|}}
 
* '''[[에이엠비크립토]]'''(AMB CRYPTO) : 전 세계적으로 백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가능한 블로그 섹션이 있는 독립적인 암호화폐 뉴스 게시 플랫폼이다. 최신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뉴스를 제공한다.
 
* '''[[빌란]]'''(Bilan) : 1989년에 설립된 스위스 제네바에서 발행되는 프랑스어 비즈니스 잡지이다. 재무, 혁신, 산업, 경영, 무역, 사치 등 많은 경제 현안 분야에 관심이 있다. 이 잡지는 2개월마다 발행되고 빌란 럭스(Bilan Luxe)는 1년에 4번 발행된다. 빌란 웹사이트는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스위스 및 국제 경제 뉴스를 추적하고, 편집 분석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제공한다.
 
* '''[[체이늄]]'''(CHAINEUM) : 유럽의 대표적인 ICO 부티크이다. 기금 모금, 전략적 금융 자문서비스, 금융 자산 및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전문으로 하는 투자 은행이다.  대표이사는 [[로랑 를루]](Laurent Leloup)이다. 회사는 프랑스 동부의 브장송(Besançon) 시에 있다.
 
 
* '''[[크립토인포스]]'''(CRYPTO INFOS) : 스위스 [[추크]](Zug)에 본사를 둔 디지털 미디어 에이전시로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 암호화폐 채택 및 핀테크 등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 '''[[크립토인포스]]'''(CRYPTO INFOS) : 스위스 [[추크]](Zug)에 본사를 둔 디지털 미디어 에이전시로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 암호화폐 채택 및 핀테크 등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  '''[[핀테크 월드와이드]]'''(Fintech Worldwide) : 영국 런던 기반의 핀테크, 블록체인, 프론티어 테크놀로지, 사회 변혁을 중심으로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혁신 및 이벤트 네트워크이다. 2020년 4월 9일 뉴욕 핀테크미디어 및 방송사인 몰리나리 미디어(Molinari Media)에 의해 인수되었다. 핀테크 월드와이드에서는 10만 명 이상의 개발자, 산업, 학계,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자들을 자신의 산업과 글로벌 사회 변화를 위해 핀테크, 블록체인과 기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는 비전으로 연결한다. 2014년 부터 전 세계적으로 성공적인 이벤트를 진행해 왔으며 30개 이상의 핀테크 및 블록체인 회의를 진행했다.
+
*  '''[[핀테크월드와이드]]'''(Fintech Worldwide) : 핀테크, 블록체인, Frontier Technologies 및 사회 혁신에 중점을 둔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혁신 및 이벤트 네트워크이다.  
 
* '''[[크립토머니]]'''(KRYPTOMONEY) :  캐나다에 있는 블록체인 미디어로 암호화폐 및 블록 체인산업을 변화시키는 최신 뉴스와 이벤트, 다양한 암호 화폐 가격, 시장 및 제품 분석,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크립토머니]]'''(KRYPTOMONEY) :  캐나다에 있는 블록체인 미디어로 암호화폐 및 블록 체인산업을 변화시키는 최신 뉴스와 이벤트, 다양한 암호 화폐 가격, 시장 및 제품 분석,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제네바 매크로랩스]]'''(MACRO LABS) : 콘퍼런스 서비스업체이다. 스위스의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2019년 1월에 설립되었다. 대표이사는 [[에케하드 앤스트]](Ekkehard Ernst) 박사가 맡고 있으며 [[요른 에르부스]](Jörn Erbguth)가 기술 총괄을 맡고있다.
 
* '''[[제네바 매크로랩스]]'''(MACRO LABS) : 콘퍼런스 서비스업체이다. 스위스의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2019년 1월에 설립되었다. 대표이사는 [[에케하드 앤스트]](Ekkehard Ernst) 박사가 맡고 있으며 [[요른 에르부스]](Jörn Erbguth)가 기술 총괄을 맡고있다.
 
* '''[[아이씨오홀더]]'''(ICOHOLDER) : 글로벌 블록체인 미디어이다. 가장 큰 암호화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스마트 트래커, 글로벌 분석 플랫폼으로, 기관 및 소매 투자자가 실시간으로 고품질의 안정적인 시장 및 가격 데이터에 액세스 할 수 있다.
 
* '''[[아이씨오홀더]]'''(ICOHOLDER) : 글로벌 블록체인 미디어이다. 가장 큰 암호화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스마트 트래커, 글로벌 분석 플랫폼으로, 기관 및 소매 투자자가 실시간으로 고품질의 안정적인 시장 및 가격 데이터에 액세스 할 수 있다.
 +
* '''[[포인트 드 미르]]'''(Point de Mire) :
 
* '''[[스위스아랍기업가]]'''(Swiss Arab Entrepreneurs) : 스위스와 아랍 무역 통계, 주로 국제 기업가와 의사 결정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이며 다양한 경제 문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아랍 세계와 스위스에 대한 포괄적인 경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스위스아랍기업가]]'''(Swiss Arab Entrepreneurs) : 스위스와 아랍 무역 통계, 주로 국제 기업가와 의사 결정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이며 다양한 경제 문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아랍 세계와 스위스에 대한 포괄적인 경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스위스금융기술협회]]'''(Swiss Finance+Tcchnology Association) : SFTA는 스위스 최고의 핀 테크 허브이다. 중립적이고 포괄적이며 비영리 단체로서 250 명 이상의 회원 및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 '''[[스위스금융기술협회]]'''(Swiss Finance+Tcchnology Association) : SFTA는 스위스 최고의 핀 테크 허브이다. 중립적이고 포괄적이며 비영리 단체로서 250 명 이상의 회원 및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 '''[[트레이드 파이낸스 글로벌]]'''(TRADE FINANCE GLOBAL, TFG) : 2015년에 설립된 최고의 무역 금융 플랫폼이다. 270개 이상의 은행, 자금 및 대체 금융 기관과의 관계를 통해 회사가 무역 및 채권 금융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교육 자원은 187개 국의 인쇄 및 디지털 형식으로 월간 12만 명 이상의 독자를 대상으로 통찰력, 가이드, 연구, 잡지, 팟캐스트 및 비디오를 다루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 '''[[트레이드 파이낸스 글로벌]]'''(TRADE FINANCE GLOBAL) : TFG(Trade Finance Global)최고의 무역 금융 플랫폼DL다. 은행, 자금 및 대체 금융 기관과의 관계를 통해 회사가 무역 및 채권 금융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제네바 연례 블록체인 대회 공식 홈페이지 - https://genevablockchaincongress.com/
 
* 제네바 연례 블록체인 대회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company/geneva-blockchain-connection/?viewAsMember=true#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오이스트재단]]
 
* [[와이즈키]]
 
* [[도리어그룹]]
 
* [[필립 모리스 인터내셔널]]
 
* [[지지비에이 서부스위스투자]]
 
* [[아도리아소프트]]
 
* [[크립토렉스]]
 
* [[크레아 인섹경영대학]]
 
* [[블로큐브]]
 
* [[보스아고라]]
 
* [[세이빙스코인]]
 
* [[스코어체인]]
 
* [[이와이]]
 
* [[몽벨레항]]
 
* [[원스텝비욘드]]
 
* [[토큰에스테이트]]
 
* [[도미노투표]]
 
* [[니그마 콘세일]]
 
  
{{해외 블록체인 행사|검토 필요}}
+
 
 +
{{행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