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시스블록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하지만, 2004년 미국이 저금리 정책을 종료하면서 미국 부동산 버블이 꺼지기 시작했으며,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금리가 올라갔고 저소득층 대출자들은 원리금을 제대로 갚지 못하게 된다. 증권화되어 거래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을 구매한 금융기관들은 대출금 회수불능사태에 빠져 손실이 발생했고, 그 과정에 여러 기업들이 부실화 된다. 미 정부는 개입을 공식적으로 부정했고 미국의 대형 금융사, 증권회사의 파산이 이어졌다. 이것이 세계적인 신용경색을 가져왔고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주었고, 세계 경제시장에 타격을 주어 2008년 이후 세계금융위기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2004년 미국이 저금리 정책을 종료하면서 미국 부동산 버블이 꺼지기 시작했으며,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금리가 올라갔고 저소득층 대출자들은 원리금을 제대로 갚지 못하게 된다. 증권화되어 거래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을 구매한 금융기관들은 대출금 회수불능사태에 빠져 손실이 발생했고, 그 과정에 여러 기업들이 부실화 된다. 미 정부는 개입을 공식적으로 부정했고 미국의 대형 금융사, 증권회사의 파산이 이어졌다. 이것이 세계적인 신용경색을 가져왔고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주었고, 세계 경제시장에 타격을 주어 2008년 이후 세계금융위기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미국의 저금리정책과 이기주의로 집을 팔고 싶어도 팔리지 않자 이로 인해 집값이 떨어지면서 대출금 상환이 전혀 불가능해진다. 자연적으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에 파생되어 나온 모든 투자기업 및 회사들이 도산하게 되었고, 세계 5위에 속하는 금융회사였던 리먼브라더스는 과도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투자로 인해 파산을 신청하며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사태가 발발하게 된다. 이 때 미국 정부는 리먼 브라더스는 파산하게 내버려 두고 AIG는 구제금융을 제공하면서 '[[대마불사 (투자)|대마불사]](too big too fail)'로 논란이 된다.  
+
결국 이러한 미국의 저금리정책과 이기주의로 집을 팔고 싶어도 팔리지 않자 이로 인해 집값이 떨어지면서 대출금 상환이 전혀 불가능해진다. 자연적으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에 파생되어 나온 모든 투자기업 및 회사들이 도산하게 되었고, 세계 5위에 속하는 금융회사였던 리먼브라더스는 과도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투자로 인해 파산을 신청하며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사태가 발발하게 된다. 이 때 미국 정부는 리먼 브라더스는 파산하게 내버려 두고 AIG는 구제금융을 제공하면서 '[[대마불사]](too big too fail)'로 논란이 된다.  
  
 
이러한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대규모 양적완화를 지켜보던 사토시는 '미국 연방준비은행이 달러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기가 심화됐다'라고 생각했고, 탈중앙화된 화폐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이후 2009년 1월 3일, 비트코인의 첫 블록인 제네시스블록이 생성됐고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이름으로 비트코인이 등장했다. <ref>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B%B8%8C%ED%94%84%EB%9D%BC%EC%9E%84_%EB%AA%A8%EA%B8%B0%EC%A7%80_%EC%82%AC%ED%83%9C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위키백과》 , 2019-05-28</ref>
 
이러한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대규모 양적완화를 지켜보던 사토시는 '미국 연방준비은행이 달러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기가 심화됐다'라고 생각했고, 탈중앙화된 화폐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이후 2009년 1월 3일, 비트코인의 첫 블록인 제네시스블록이 생성됐고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이름으로 비트코인이 등장했다. <ref>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B%B8%8C%ED%94%84%EB%9D%BC%EC%9E%84_%EB%AA%A8%EA%B8%B0%EC%A7%80_%EC%82%AC%ED%83%9C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위키백과》 , 2019-05-28</ref>
74번째 줄: 74번째 줄:
  
 
'''[[타임스탬프]]'''(Time Stamp)<br>
 
'''[[타임스탬프]]'''(Time Stamp)<br>
블록에는 거래 데이터를 비롯해 타임스탬프와 이전 블록의 해시값이 표시되어 있다. 타임스탬프는 블록이 생성된 시간을 명시함으로써 다른 내역과 겹치지 않도록 한다. 이전 블록의 해시값은 블록과 블록은 체인처럼 연결되어 있는데 연결되어 있는 블록들이 서로 해시값을 찾도록 함으로써 위변조를 막고 있다. 새로 생성되는 블록은 채굴자들의 [[작업증명]](PoW) 과정을 거쳐 블록체인에 추가된다. 비트코인의 경우, 10분마다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있다.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 블록을 크게 만들어서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식의 대안([[라이트코인]] 등)도 나오고 있다. <ref> block chain studio ,〈[https://steemit.com/kr-coin/@blockchainstudio/jcmrt (울룩불룩 블록체인)비트코인 창세기편 - 비트코인 제네시스 블록]〉,  《Steemit》, 2018 </ref>
+
블록에는 거래 데이터를 비롯해 타임스탬프와 이전 블록의 해시값이 표시되어 있다. 타임스탬프는 블록이 생성된 시간을 명시함으로써 다른 내역과 겹치지 않도록 한다. 이전 블록의 해시값은 블록과 블록은 체인처럼 연결되어 있는데 연결되어 있는 블록들이 서로 해시값을 찾도록 함으로써 위변조를 막고 있다. 새로 생성되는 블록은 채굴자들의 [[작업증명]](PoS) 과정을 거쳐 블록체인에 추가된다. 비트코인의 경우, 10분마다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있다.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 블록을 크게 만들어서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식의 대안([[라이트코인]] 등)도 나오고 있다. <ref> block chain studio ,〈[https://steemit.com/kr-coin/@blockchainstudio/jcmrt (울룩불룩 블록체인)비트코인 창세기편 - 비트코인 제네시스 블록]〉,  《Steemit》, 2018 </ref>
  
 
'''제네시스블록의 hex version'''
 
'''제네시스블록의 hex version'''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