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7번째 줄: 77번째 줄:
  
 
===스텔란티스===
 
===스텔란티스===
[[스텔란티스]](Stellantis)는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푸조-시트로엥(PSA) 그룹이 합병해 2021년 1월 16일 출범한 기업이다. 회장직은 존 엘칸(John Elkann) 현 FCA 회장이, 최고경영자는 카를로스 타바레스(Carlos Tavares) PSA그룹 대표가 승계한다. 스텔란티스는 이로써 [[폭스바겐]](Volkswagen), [[토요타]](Toyota),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Renault-Nissan-Mitsubishi Alliance) 등에 이은 글로벌 4위 자동차회사가 됐다. 2019년 기준 연 생산량은 870만대, 매출액은 1700유로(약 226조원) 규모다. 기존 4위였던 [[현대자동차그룹]](Hyundai Motor Group)을 제쳤다. 스텔란티스는 FCA와 PSA가 50대50의 지분으로 보유하고, 각 그룹 산하 브랜드나 공장에 대한 구조조정 없이 그대로 유지된다.<ref name="류정2">류정 기자,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1/01/18/E4QG7CU7NRHVDBLHPFJ2AS2HMA/ 합병으로 글로벌 4등 됐는데… 아무도 모르는 이 자동차 회사]〉, 《조선일보》, 2021-01-18</ref> 해당 합병은 출범 이후 4년 이내에 목표한 합병 시너지 효과 50유로의 80%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편 스텔란티스는 출범 후 2025년부터 [[전기차]]만을 출시하겠다고 발표하며 전기차로의 전환을 서둘러 미래차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겠다는 뜻을 밝혔다. 2021년에는 새 전기구동 차량 10종을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2021년 상반기 기준 스텔란티스는 지프, 알파로메오 등 14개 브랜드를 통해 29개 전기차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피아트 전기차 500e, 크라이슬러의 미니밴 퍼시피카, 픽업트럭 램1500 하이브리드 모델 등이 대표적이다. 스텔란티스의 산하에 있는 지프부터 닷지, 마세라티까지 모든 브랜드의 차량이 전기차로 전환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스텔란티스는 전기차 가격을 낮추는 방법을 구상하고 있다.<ref name="박상용">박상용 기자,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01202237i “지프부터 마세라티까지 2025년부터 신차 모두 전기차로”]〉, 《한국경제》, 2021-01-20</ref>
+
[[스텔란티스]](Stellantis)는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푸조-시트로엥(PSA) 그룹이 합병해 2021년 1월 16일 출범한 기업이다. 회장직은 존 엘칸(John Elkann) 현 FCA 회장이, 최고경영자는 카를로스 타바레스(Carlos Tavares) PSA그룹 대표가 승계한다. 스텔란티스는 이로써 [[폭스바겐]](Volkswagen), [[토요타]](Toyota),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Renault-Nissan-Mitsubishi Alliance) 등에 이은 글로벌 4위 자동차회사가 됐다. 2019년 기준 연 생산량은 870만대, 매출액은 1700유로(약 226조원) 규모다. 기존 4위였던 현대자동차그룹(Hyundai Motor Group)을 제쳤다. 스텔란티스는 FCA와 PSA가 50대50의 지분으로 보유하고, 각 그룹 산하 브랜드나 공장에 대한 구조조정 없이 그대로 유지된다.<ref name="류정2">류정 기자,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1/01/18/E4QG7CU7NRHVDBLHPFJ2AS2HMA/ 합병으로 글로벌 4등 됐는데… 아무도 모르는 이 자동차 회사]〉, 《조선일보》, 2021-01-18</ref> 해당 합병은 출범 이후 4년 이내에 목표한 합병 시너지 효과 50유로의 80%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편 스텔란티스는 출범 후 2025년부터 [[전기차]]만을 출시하겠다고 발표하며 전기차로의 전환을 서둘러 미래차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겠다는 뜻을 밝혔다. 2021년에는 새 전기구동 차량 10종을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2021년 상반기 기준 스텔란티스는 지프, 알파로메오 등 14개 브랜드를 통해 29개 전기차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피아트 전기차 500e, 크라이슬러의 미니밴 퍼시피카, 픽업트럭 램1500 하이브리드 모델 등이 대표적이다. 스텔란티스의 산하에 있는 지프부터 닷지, 마세라티까지 모든 브랜드의 차량이 전기차로 전환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스텔란티스는 전기차 가격을 낮추는 방법을 구상하고 있다.<ref name="박상용">박상용 기자,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01202237i “지프부터 마세라티까지 2025년부터 신차 모두 전기차로”]〉, 《한국경제》, 2021-01-20</ref>
  
 
==향후 계획==
 
==향후 계획==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