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증명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참여증명'''<!--참여 증명-->(PoE; Proof of Engagement)은 미디어 콘텐츠 플랫폼에서 주로 사용되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참여증명 방식을 통해 시청자들이 동영상을 적합한 플랫폼으로 시청했는지 증명할 수 있고, 콘텐츠 투명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쎄타토큰]](Theta Token)[[넷플릭스]](Netflix), [[알파네트워크]](Alpha networks) 등에서 참여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다.
+
'''참여증명'''<!--참여 증명-->(PoE; Proof of Engagement)은 미디어 콘텐츠 플랫폼에서 주로 사용되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참여증명 방식을 통해 시청자들이 동영상을 적합한 플랫폼으로 시청했는지 증명할 수 있고, 콘텐츠 투명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쎄타]](Theta) 플랫폼과 [[넷플릭스]](Netflix), [[알파네트워크]](Alpha networks) 등에서 참여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다.
  
 
== 개요 ==
 
== 개요 ==
5번째 줄: 5번째 줄:
  
 
== 활용 ==
 
== 활용 ==
=== 쎄타토큰 ===
+
=== 쎄타 ===
[[파일:쎄타토큰 글자.png|썸네일|300픽셀|'''[[쎄타토큰]]'''(Theta Token)]]
+
[[파일:쎄타 글자.png|썸네일|300픽셀|'''[[쎄타]]'''(Theta)]]
  
[[쎄타토큰]](Theta Token)은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2017년 12월 14일 미국 소재로 발행되었다. 쎄타 네트워크는 기존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전산망 부족 현상, 네트워크 구축 비용 문제, 그리고 투명성이 결여된 비효율적인 동영상 에코시스템 등 현재 동영상 스트리밍 업계가 직면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전 세계 시청자들은 그들의 컴퓨터를 '캐싱 노드'로 작동하도록 기여함으로써 비디오 전송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고, 이 비디오 전송 인프라는 [[캐싱 노드]]가 서버로부터 주어진 비디오 스트림을 지리적으로 가까운 시청자들에게 전달해 줌으로써 동작한다. 또, 그들의 잔여 메모리와 대역폭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보상을 받게 된다.<ref name = "THETA FAQ"> THETA, "[https://s3.us-east-2.amazonaws.com/assets.thetatoken.org/Theta-FAQ-latest-ko.pdf  THATA FAQ]"</ref>
+
[[쎄타]](Theta)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2017년 12월 14일 미국 소재로 발행되었다. 쎄타 네트워크는 기존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전산망 부족 현상, 네트워크 구축 비용 문제, 그리고 투명성이 결여된 비효율적인 동영상 에코시스템 등 현재 동영상 스트리밍 업계가 직면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전 세계 시청자들은 그들의 컴퓨터를 '캐싱 노드'로 작동하도록 기여함으로써 비디오 전송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고, 이 비디오 전송 인프라는 [[캐싱 노드]]가 서버로부터 주어진 비디오 스트림을 지리적으로 가까운 시청자들에게 전달해 줌으로써 동작한다. 또, 그들의 잔여 메모리와 대역폭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보상을 받게 된다.<ref name = "THETA FAQ"> THETA, "[https://s3.us-east-2.amazonaws.com/assets.thetatoken.org/Theta-FAQ-latest-ko.pdf  THATA FAQ]"</ref>
  
 
쎄타에서 사용자는 [[오프체인]] 상에서 직접 소액결제 풀을 생성할 수 있게 되며, 다른 사용자는 [[오프체인]] 트랜잭션으로 인출이 가능해져서 이에 따라 이중지불 문제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리소스 중심의 소액결제 풀(micropayment pool)은 쎄타의 독자적인 기술 [[솔루션]]으로, 기존 오프체인 결제 채널 대비 더 높은 [[유동성]]을 지니고 있다.<ref>kaynarr, 〈[https://kaynarr.blog.me/221379922284 삼성이 선택한 프로젝트, 세타토큰!]〉, 《네이버 블로그》,  2018-10-18</ref> 리소스 중심의 소액결제 풀(resource oriented micropayment pool)은 실제로 최종 시청자들에게 전달되는 비디오 [[세그먼트]]들을 추적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각각의 비디오 [[세그먼트]]에 대한 결제가 비디오의 [[아이디]](ID)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블록체인에 기록된 소액결제가 최종 시청자들의 시청 활동을 반영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소액결제 기록은 참여증명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쎄타에서 사용자는 [[오프체인]] 상에서 직접 소액결제 풀을 생성할 수 있게 되며, 다른 사용자는 [[오프체인]] 트랜잭션으로 인출이 가능해져서 이에 따라 이중지불 문제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리소스 중심의 소액결제 풀(micropayment pool)은 쎄타의 독자적인 기술 [[솔루션]]으로, 기존 오프체인 결제 채널 대비 더 높은 [[유동성]]을 지니고 있다.<ref>kaynarr, 〈[https://kaynarr.blog.me/221379922284 삼성이 선택한 프로젝트, 세타토큰!]〉, 《네이버 블로그》,  2018-10-18</ref> 리소스 중심의 소액결제 풀(resource oriented micropayment pool)은 실제로 최종 시청자들에게 전달되는 비디오 [[세그먼트]]들을 추적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각각의 비디오 [[세그먼트]]에 대한 결제가 비디오의 [[아이디]](ID)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블록체인에 기록된 소액결제가 최종 시청자들의 시청 활동을 반영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소액결제 기록은 참여증명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31번째 줄: 31번째 줄:
 
* [[블록체인]]
 
* [[블록체인]]
 
* [[암호화폐]]
 
* [[암호화폐]]
* [[쎄타토큰]]
+
* [[쎄타]]
 
* [[알파네트워크]]
 
* [[알파네트워크]]
 
* [[합의 알고리즘]]
 
* [[합의 알고리즘]]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