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천장'''(天障, ceiling)은 일반적으로 [[지붕]] 안쪽에 있는 [[반자]]의 [[겉면]]을 말한다. 천장은 [[방]]에서 올려다볼 수 있는 윗면(반자)을 말하며, 때로는 그 위인 반자 위에서 보이는 [[지붕]] 안쪽 겉면을 말하기도 한다.<ref>〈[https://namu.wiki/w/%EC%B2%9C%EC%9E%A5 천장]〉, 《나무위키》 </ref>
+
'''천장'''(天障, ceiling)은 일반적으로 지붕 안쪽에 있는 반자의 겉면. 즉, 방에서 올려다볼 수 있는 윗 면(반자)을 말하며, 때로는 그 위인 반자 위에서 보이는 지붕 안쪽 겉면을 말하기도 한다.<ref> 〈[https://namu.wiki/w/%EC%B2%9C%EC%9E%A5 천장]〉, 《나무위키》 </ref>
  
 
== 개요 ==
 
== 개요 ==
천장은 각 방이나 각 실의 지붕 안쪽 구조물을 가리기 위해 막아놓은 상부의 구조물을 말한다. 목조건물에서는 지붕틀이나 상층의 바닥구조를 감추기 위하여 그 밑에 별도의 덮개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나 지붕 안이나 바닥 안의 외관을 좋게 하여 그대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천장의 이점으로는 구조체를 감추어 별도의 의장을 할 수 있다. 또는, 벽, 바닥과 같이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어느 정도 차단 또는 흡수할 수 있다. 또는, 소리, 열, 빛의 반사면으로도 이용된다. 또는, 열이나 기류 등의 원천으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색, 모양, 면 등의 조합에 따라서 어떤 크기의 공간을 의장할 수 있는 점 등이다. 천장을 매달려면 일반적으로 구조체에 매달아서 나무 받침을 고정하고 거기에서 감잡이쇠(strap)를 아래로 내려 반자대(ceiling joist)를 매달고 천장 재료를 반자대에 고정한다. 천장 면의 마무리 공정은 칠 천장(plastered ceiling), 널 천장(boarded ceiling), 바름 천장으로 크게 구별한다. 칠 천장은 모르타르나 인조석, 섬유재, 뿜칠 등으로서 미장 공사와 같이하게 된다. 널 천장은 판재, 합판, 섬유판, 석면판, 석고판, 목모 시멘트 판, 금속판, 코르크판 등 재료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경량철골 반자틀을 행어 볼트로 매달아 칸막이 판을 설치하는 것과 격자로 틀을 짜서 못으로 붙이는 방법이 있다. 바름 천장은 사용재료에 따라서 종이, 헝겊, 염화비닐 등이 있다. 천장의 형식은 보통 바닥 면과 평행한 평면 반자가 많이 이용되나, 장식 겸 음향효과를 내기 위하여 반자 갓 둘레를 대어 층단반자를 한 것도 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6265&cid=40942&categoryId=32339 천장]〉, 《네이버 지식백과》 </ref>
+
천장은 각 방이나 각 실의 지붕 안쪽 구조물을 가리기 위해 막아놓은 상부의 구조물을 말한다. 목조건물에서는 지붕틀이나 상층의 바닥구조를 감추기 위하여 그 밑에 별도의 덮개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나 지붕 안이나 바닥 안의 외관을 좋게 하여 그대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천장의 이점으로는 구조체를 감추어 별도의 의장을 할 수 있다. 또는, 벽 ·바닥과 같이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어느 정도 차단 또는 흡수할 수 있다. 또는, 소리 ·열 ·빛의 반사면으로도 이용된다. 또는, 열이나 기류 등의 원천으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색 ·모양 ·면 등의 조합에 따라서 어떤 크기의 공간을 의장할 수 있는 점 등이다. 천장을 매달려면 일반적으로 구조체에 매달아서 나무 받침을 고정하고 거기에서 감잡이쇠(strap)를 아래로 내려 반자대(ceiling joist)를 매달고 천장 재료를 반자대에 고정한다. 천장 면의 마무리 공정은 칠 천장(plastered ceiling) ·널 천장(boarded ceiling) ·바름 천장으로 크게 구별한다. 칠 천장은 모르타르나 인조석, 섬유재, 뿜칠 등으로서 미장 공사와 같이 하게 된다. 널천장은 판재 ·합판 ·섬유판 ·석면판 ·석고판 ·목모 시멘트 판 ·금속판 ·코르크판 등 재료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경량철골 반자틀을 행어 볼트로 매달아 칸막이 판을 설치하는 것과 격자로 틀을 짜서 못으로 붙이는 방법이 있다. 바름 천장은 사용재료에 따라서 종이 ·헝겊 ·염화비닐 등이 있다. 천장의 형식은 보통 바닥 면과 평행한 평면 반자가 많이 이용되나, 장식 겸 음향효과를 내기 위하여 반자 갓 둘레를 대어 층단반자를 한 것도 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6265&cid=40942&categoryId=32339 천장]〉, 《네이버 지식백과》 </ref>
  
 
== 종류 ==
 
== 종류 ==
천장은 지붕에서 떨어질 위험이 있는 잡물의 낙하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인데, 구조하는 법식에 따라 연등 천장, 귀접이 천장, 반자틀 천장으로 나누어진다.
+
천장은 지붕에서 떨어질 위험이 있는 잡물의 낙하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인데, 구조하는 법식에 따라 연등 천장·귀접이 천장·반자틀 천장으로 나누어진다.
 
=== 연등 천장 ===
 
=== 연등 천장 ===
연등 천장은 태곳적부터 구성되던 천장이다. 움집, 귀틀집, 토담집, 오두막집 등이나 이동식 여막을 구조할 때 그에 따라 구성되는 천장 형태가 있다. 이 원초적인 천장을 삿갓 천장이라 부른다. 훗날 초가지붕에도 대부분 삿갓 천장이 구성되었다. 삿갓 천장의 특색은 서까래 사이의 연골을 앙토하지 않아서 산자를 엮은 부분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데 있다. 이에 비하여 연골에 앙토하여 산자가 보이지 않도록 정리하고 치장하는 수도 있다. 기와집이나 공청에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정리된 것을 연등 천장이라 부른다. 앙토 대신에 널빤지로 서까래 사이를 덮어 정리한 골개판의 구조도 역시 연등 천장 범주에 속한다. 창덕궁 후원에 있는 청의정은 이엉을 이은 자그마한 정자인데 지붕의 평면이 둥글다. 꼭 삿갓 모양으로 구성되었고 서까래도 둥글지 않은 각을 사용하였는데, 천장의 형태는 삿갓이나 정리된 상태는 골개 판형이어서 연등에 속한다. 삿갓, 연등의 공조품의 특성을 보인다. 연등 천장 중에는 단청해서 치장하는 수도 있다. 이런 천장들은 대략 주심포 양식을 지닌 집으로, 주심포 양식의 특징을 열거하는 중에 이 연등 천장의 구성도 손꼽힌다.<ref name="종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3204&cid=46673&categoryId=46673 천장]〉, 《네이버 지식백과》 </ref>
+
연등 천장은 태곳적부터 구성되던 천장이다. 움집, 귀틀집, 토담집, 오두막집 등이나 이동식 여막집을 구조할 때 그에 따라 구성되는 천장 형태가 있다. 이 원초적인 천장을 삿갓 천장이라 부른다. 훗날 초가지붕에도 대부분 삿갓 천장이 구성되었다. 삿갓 천장의 특색은 서까래 사이의 연골을 앙토하지 않아서 산자를 엮은 부분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데 있다. 이에 비하여 연골에 앙토하여 산자가 보이지 않도록 정리하고 치장하는 수도 있다. 기와집이나 공청에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정리된 것을 연등 천장이라 부른다. 앙토 대신에 널빤지로 서까래 사이를 덮어 정리한 골개판의 구조도 역시 연등 천장 범주에 속한다. 창덕궁 후원에 있는 청의정은 이엉을 이은 자그마한 정자인데 지붕의 평면이 둥글다. 꼭 삿갓모양으로 구성되었고 서까래도 둥글지 않은 각을 사용하였는데, 천장의 형태는 삿갓이나 정리된 상태는 골개판형이어서 연등에 속한다. 삿갓, 연등의 공조품의 특성을 보인다. 연등 천장 중에는 단청해서 치장하는 수도 있다. 이런 천장들은 대략 주심포 계통의 양식을 지닌 집으로, 주심포계 양식의 특징을 열거하는 중에 이 연등 천장의 구성도 손꼽힌다.<ref name="종류">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kdic&query=%EC%9D%B4%EC%97%89&oquery=%ED%96%89%EC%96%B4%EB%B3%BC%ED%8A%B8&tqi=hkkEtlprvhGss5pvfvZsssssswd-114212 천장]〉, 《네이버 지식백과》 </ref>
  
 
=== 귀접이 천장 ===
 
=== 귀접이 천장 ===
13번째 줄: 13번째 줄:
  
 
=== 반자틀 천장 ===
 
=== 반자틀 천장 ===
서까래가 숨겨지도록 자재를 써서 가린 구조물을 반자라 하고, 반자로 꾸민 천장을 반자틀 천장이라 부른다. 사용되는 자재에 따라 종이 반자, 고미 반자, 우물 반자로 크게 나누는데, 종이 반자는 주로 종이를 사용하고, 고미 반자는 나무와 흙을 사용하며, 우물 반자는 잘 다듬은 나무로 구조한다.<ref name="종류"></ref>
+
서까래가 숨겨지도록 자재를 써서 가린 구조물을 반자라 하고, 반자로 꾸민 천장을 반자틀 천장이라 부른다. 사용되는 자재에 따라 종이 반자·고미 반자·우물 반자로 크게 나누는데, 종이 반자는 주로 종이를 사용하고, 고미 반자는 나무와 흙을 사용하며, 우물 반자는 잘 다듬은 나무로 구조한다.<ref name="종류"></ref>
  
 
==== 종이 반자 ====
 
==== 종이 반자 ====
22번째 줄: 22번째 줄:
  
 
==== 우물 반자 ====
 
==== 우물 반자 ====
천장 구성 중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구조이다. 대들보와 도리에 의지하고 수평이 되도록 각재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며 건너지른다. 반자틀의 장다리가 된다. 장다리 사이에 역시 같은 넓이의 간격이 되도록 고려하면서 짧은 각재를 끼운다. 동다리가 된다. 장다리와 동다리가 울거미를 이루면 井자형이 연속되는 형상이 된다. 반자틀이 완성된 것이다. 이 틀에 널빤지를 간격에 맞도록 일정하게 다듬은 청 판을 덮게 되는데, 청 판만 그냥 덮는 방식과 소란대를 설치하고 덮는 두 가지 기법이 있다. 소란대가 있는 반자를 소란반자라 하며, 궁전, 법당 같은 최고급 건물에 만든다. 이런 천장에는 아름답게 단청 되어 장엄한 것이 보통이다. 우물반자를 천정 또는 조정이라 부르며, 때로 이 명칭을 천장의 대명사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집에 따라서 전체가 수평 선상에 일정하게 걸리는 것과 외진과 내진에 따라 높낮이를 달리하여 결구 되는 것이 있다. 중요 부위에는 장식을 새기는 별도의 천장을 부설하여 장식하기도 한다. 닫집의 한 종류가 된다. 나무만으로 구조하는 반자 중에 빗반자가 하나 더 있다. 흔히 법당에서 외진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하고 별화를 그려 장식한다.<ref name="종류"></ref>
+
천장 구성 중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구조이다. 대들보와 도리에 의지하고 수평이 되도록 각재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며 건너지른다. 반자틀의 장다리가 된다. 장다리 사이에 역시 같은 넓이의 간격이 되도록 고려하면서 짧은 각재를 끼운다. 동다리가 된다. 장다리와 동다리가 울거미를 이루면 井자형이 연속되는 형상이 된다. 반자틀이 완성된 것이다. 이 틀에 널빤지를 간격에 맞도록 일정하게 다듬은 청 판을 덮게 되는데, 청 판만 그냥 덮는 방식과 소란대를 설치하고 덮는 두 가지 기법이 있다. 소란대가 있는 반자를 소란반자라 하며, 궁전·법당 같은 최고급 건물에 만든다. 이런 천장에는 아름답게 단청 되어 장엄한 것이 보통이다. 우물반자를 천정 또는 조정이라 부르며, 때로 이 명칭을 천장의 대명사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집에 따라서 전체가 수평 선상에 일정하게 걸리는 것과 외진과 내진에 따라 높낮이를 달리하여 결구 되는 것이 있다. 중요 부위에는 감입시키는 별도의 천장을 부설하여 장식하기도 한다. 닫집의 한 종류가 된다. 나무만으로 구조하는 반자 중에 빗반자가 하나 더 있다. 흔히 법당에서 외진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하고 별화를 그려 장식한다.<ref name="종류"></ref>
  
 
== 건축 활용 ==
 
== 건축 활용 ==
건물 천장은 천장의 높이에 따라서 기능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천정고라 불리는 천장 높이는 건축용어로 반자 높이라고 한다. 반자 높이는 방바닥 면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아파트, 다세대, 단독주택 상관없이 국내의 집들은 대부분 반자 높이가 2.3m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천장 높이를 2.4m~2.45m 정도로 올리는 예도 있다. 같은 면적의 공간이라도 천장 높이가 올라가면 개방감이 크고 공간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 천장은 다른 건물보다 높다. 은행은 돈을 거래하는 곳이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분위기 연출을 위해 천장을 높인다. 또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장소이기에 산소량도 일반 공간보다 더 필요해서 천장을 높이 올려서 공기 함유량을 늘렸다. 마지막으로 천장을 올려 감시카메라로 범행 장면을 잘 촬영해 도난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천장을 높이 올렸다. 콘서트홀, 오페라 하우스 등은 천장 모양이 일반 건물과 달리 구불구불하다. 곡이 연주되는 공간은 연주자들이 연주하는 악기 소리가 콘서트홀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퍼져 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래서 콘서트홀은 무대 주변이나, 무대와 가까운 측면 벽과 천장에서 소리가 잘 반사되어 뒷좌석까지 잘 전달될 수 있는 재료와 형태로 만들어진다. 콘서트홀 천장 면은 주로 반사재로 이루어져 있다. 반사재 형태는 소리가 효과적으로 반사되도록 아래쪽으로 볼록한 모습이다. 콘서트홀 천장이 구불구불한 것은 음향반사판 때문이다. 천장 형태도 앞쪽과 뒤쪽의 경사진 각도가 다른데 무대 앞쪽에 있는 천장의 볼록한 각도는 뒤쪽까지 음을 반사해야 하므로 45도 정도로 크다. 반면 뒤로 갈수록 각도는 점차 완만해지고 뒤쪽 천장은 아예 아래쪽으로 반사되도록 설치되었다. 업무공간인 사무실의 경우 높이가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공간의 높이에 따라 근무자들의 심리 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높은 천장은 낮은 천장보다 자유롭고, 추상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창의력이 많이 요구되는 업종에 적합하다. 반면에 낮은 천장의 경우 정적이고 집중이 잘 되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재무나 회계 등 경영 업무나 집중이 필요한 업종에 적합하다. 그래서 일부 기업의 경우 업종과 업무 특성에 따라 천장 높이를 고려해 사무실을 선택한다.<ref> 한화건설, 〈[http://blog.hwenc.co.kr/356 천장 높이와 모양은 왜 다를까? 건물 천장의 비밀]〉, 《티스토리》, 2017-10-12 </ref>
+
건물 천장은 천장의 높이에 따라서 기능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천정고라 불리는 천장 높이는 건축용어로 반자 높이라고 한다. 반자 높이는 방바닥 면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아파트, 다세대, 단독주택 상관없이 국내의 집들은 대부분 반자 높이가 2.3m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천장 높이를 2.4m~2.45m 정도로 올리는 경우도 있다. 같은 면적의 공간이라도 천장 높이가 올라가면 개방감이 크고 공간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 천장은 다른 건물보다 높다. 은행은 돈을 거래하는 곳이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분위기 연출을 위해 천장을 높인다. 또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장소이기에 산소량도 일반 공간보다 더 필요해서 천장을 높이 올려서 공기 함유량을 늘렸다. 마지막으로 천장을 올려 감시카메라로 범행 장면을 잘 촬영해 도난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천장을 높이 올렸다. 콘서트홀, 오페라 하우스 등은 천장 모양이 일반 건물과 달리 구불구불하다. 곡이 연주되는 공간은 연주자들이 연주하는 악기 소리가 콘서트홀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퍼져 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래서 콘서트홀은 무대 주변이나, 무대와 가까운 측면 벽과 천장에서 소리가 잘 반사되어 뒷좌석까지 잘 전달될 수 있는 재료와 형태로 만들어진다. 콘서트홀 천장 면은 주로 반사재로 이루어져 있다. 반사재 형태는 소리가 효과적으로 반사되도록 아래쪽으로 볼록한 모습이다. 콘서트홀 천장이 구불구불한 것은 음향반사판 때문이다. 천장 형태도 앞쪽과 뒤쪽의 경사진 각도가 다른데 무대 앞쪽에 있는 천장의 볼록한 각도는 뒤쪽까지 음을 반사해야 하므로 45도 정도로 크다. 반면 뒤로 갈수록 각도는 점차 완만해지고 뒤쪽 천장은 아예 아래쪽으로 반사되도록 설치되었다. 업무공간인 사무실의 경우 높이가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공간의 높이에 따라 근무자들의 심리 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높은 천장은 낮은 천장보다 자유롭고, 추상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창의력이 많이 요구되는 업종에 적합하다. 반면에 낮은 천장의 경우 정적이고 집중이 잘 되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재무나 회계 등 경영 업무나 집중이 필요한 업종에 적합하다. 그래서 일부 기업의 경우 업종과 업무 특성에 따라 천장 높이를 고려해 사무실을 선택한다.<ref> 〈[http://blog.hwenc.co.kr/356 천장 높이와 모양은 왜 다를까? 건물 천장의 비밀]〉, 《티스토리》, 2017-10-12 </ref>
  
 
{{각주}}
 
{{각주}}
32번째 줄: 32번째 줄:
 
* 〈[https://namu.wiki/w/%EC%B2%9C%EC%9E%A5 천장]〉,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B2%9C%EC%9E%A5 천장]〉, 《나무위키》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6265&cid=40942&categoryId=32339 천장]〉,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6265&cid=40942&categoryId=32339 천장]〉,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3204&cid=46673&categoryId=46673 천장]〉, 《네이버 지식백과》
+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kdic&query=%EC%9D%B4%EC%97%89&oquery=%ED%96%89%EC%96%B4%EB%B3%BC%ED%8A%B8&tqi=hkkEtlprvhGss5pvfvZsssssswd-114212 천장]〉, 《네이버 지식백과》
* 한화건설, 〈[http://blog.hwenc.co.kr/356 천장 높이와 모양은 왜 다를까? 건물 천장의 비밀]〉, 《티스토리》, 2017-10-12
+
* 〈[http://blog.hwenc.co.kr/356 천장 높이와 모양은 왜 다를까? 건물 천장의 비밀]〉, 《티스토리》, 2017-10-12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지붕]]
 
* [[지붕]]
* [[반자]]
 
* [[루프 (자동차)|루프]]
 
* [[천정]]
 
  
{{건물|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자동차 내장}}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