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플릭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체인플릭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체인플릭스'''(Chainflix)]]
+
[[파일:체인플릭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체인플릭스'''(Chainflix) 로고]]
[[파일:체인플릭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체인플릭스'''(Chainflix)]]
+
[[파일:체인플릭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체인플릭스'''(Chainflix) 로고와 글자]]
  
[[파일:㈜잼픽 글자.png|썸네일|300픽셀|'''[[㈜잼픽]]'''(Jampick)]]
+
'''체인플릭스'''<!--체인 플릭스-->(Chainflix)는 [[㈜잼픽]]<!--잼픽-->이 개발한 사용자 중심의 차세대 [[피투피]](P2P)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체인플릭스를 개발한 ㈜잼픽의 대표이사는 '''[[오정석]]'''이다.
[[파일:오정석.jpg|썸네일|200픽셀|'''[[오정석]]''' [[㈜잼픽]] 대표이사]]
 
 
 
'''체인플릭스'''<!--체인 플릭스-->(Chainflix)는 [[㈜잼픽]]<!--잼픽-->이 개발한 사용자 중심의 차세대 [[피투피]](P2P)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이더리움 기반 위에 자체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을 구현한 메인넷 서비스이다. 체인플릭스를 개발한 ㈜잼픽의 대표이사는 '''[[오정석]]'''이다.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체인플릭스가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합니다.}}
 
{{:블록체인 경제 포럼 2019 서울 배너|체인플릭스가 블록체인 경제 포럼 2019 서울 행사에 참가합니다.}}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체인플릭스가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했습니다.}}
 
<center>
 
{|border=0
 
|align=center valign=top|<imagemap>파일:제5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가로 배너.jpg|500픽셀
 
default [[제5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imagemap>'''체인플릭스'''(Chainflix)가 '''[[제5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에 참가했습니다.
 
|}</center>
 
  
 
==개요==
 
==개요==
23번째 줄: 11번째 줄:
 
==주요 인물==
 
==주요 인물==
 
* '''[[오정석]]''' : [[㈜잼픽]]<!--잼픽-->의 대표이사로서 최근 [[블록체인]] 커뮤니티에서 참여하여 [[블록체인]] 관련 기술 자문 및 컨설팅을 하고 있다. 최근 미국의 신재생에너지 기업의 코인 개발, 코인 설계 등을 참여했다. 이전에 오비고닷컴에서 기아자동차의 모바일 IT 개발에 제안 및 총괄 개발 PM을 진행했다.
 
* '''[[오정석]]''' : [[㈜잼픽]]<!--잼픽-->의 대표이사로서 최근 [[블록체인]] 커뮤니티에서 참여하여 [[블록체인]] 관련 기술 자문 및 컨설팅을 하고 있다. 최근 미국의 신재생에너지 기업의 코인 개발, 코인 설계 등을 참여했다. 이전에 오비고닷컴에서 기아자동차의 모바일 IT 개발에 제안 및 총괄 개발 PM을 진행했다.
* '''[[윤승록]]''' : [[㈜잼픽]]에서 개발이사를 맡고 있으며, 북미를 포함하여 13개국에서 전략 RPG게임으로 2012년 1등을 했다. 현재 900명이 넘는 [[마이닝풀]]을 운영 중에 있으며, 게임과 [[블록체인]] 관련하여 폭넓은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현재 [[블록체인]] 코어개발 및 응용소프트웨어 전반적 PM과 더불어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 '''[[윤성록]]''' : [[㈜잼픽]]에서 개발이사를 맡고 있으며, 북미를 포함하여 13개국에서 전략 RPG게임으로 2012년 1등을 했다. 현재 900명이 넘는 [[마이닝풀]]을 운영 중에 있으며, 게임과 [[블록체인]] 관련하여 폭넓은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현재 [[블록체인]] 코어개발 및 응용소프트웨어 전반적 PM과 더불어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박정수]]''' : [[블록체인]] 코어 개발자로써 [[권위증명]](PoA)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으로 코인 개발 서비스 경험이 있다. 현재 [[㈜잼픽]]에서 [[이더리움]] 기반의 PoA 및 PoV에 대한 핵심 코어 개발 중에 있다.
 
* '''[[박정수]]''' : [[블록체인]] 코어 개발자로써 [[권위증명]](PoA)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으로 코인 개발 서비스 경험이 있다. 현재 [[㈜잼픽]]에서 [[이더리움]] 기반의 PoA 및 PoV에 대한 핵심 코어 개발 중에 있다.
 
* '''[[존 베넷 위긴스]]'''(John Bennet Wiggins) : 마케팅 전문가로 국내 외 우수한 기업들의 마케팅대행, 컨설팅을 주로 했으며 최근 미국내 병원쪽 환자 맞춤 소프트웨어 개발 진행 중에 있다. 현재 [[잼픽]]의 [[블록체인]] 사업관련 해외 마케팅 자문을 진행 중에 있다.
 
* '''[[존 베넷 위긴스]]'''(John Bennet Wiggins) : 마케팅 전문가로 국내 외 우수한 기업들의 마케팅대행, 컨설팅을 주로 했으며 최근 미국내 병원쪽 환자 맞춤 소프트웨어 개발 진행 중에 있다. 현재 [[잼픽]]의 [[블록체인]] 사업관련 해외 마케팅 자문을 진행 중에 있다.
56번째 줄: 44번째 줄:
 
기존의 채굴 시장은 전용 채굴기 시장으로 성능이 월등한 채굴기를 사용하면서 막대한 전기료가 발생되었다. 체인플릭스는 일반인 누구나 사용하고 있는 PC, 모바일 휴대폰, TV환경에서 동영상 시청을 통한 코인 채굴이 가능하도록 설계를 했다. 이를 통해 상위 일부 중심의 채굴 유통 문제점을 해결하여 많은 일반인들의 채굴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여 투명하게 서비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의 채굴 시장은 전용 채굴기 시장으로 성능이 월등한 채굴기를 사용하면서 막대한 전기료가 발생되었다. 체인플릭스는 일반인 누구나 사용하고 있는 PC, 모바일 휴대폰, TV환경에서 동영상 시청을 통한 코인 채굴이 가능하도록 설계를 했다. 이를 통해 상위 일부 중심의 채굴 유통 문제점을 해결하여 많은 일반인들의 채굴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여 투명하게 서비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했다.  
 
또, 체인플릭스는 PoA와 PoV(Proof of View)라는 더블 체인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 체인플릭스는 PoA와 PoV(Proof of View)라는 더블 체인 방식으로 운영된다.
 
+
====PoA 알고리즘====
====권위증명(PoA) 합의 알고리즘====
+
[[권위증명]]([[PoA]]; Proof of Authority) 합의 알고리즘은 이더리움 공동창시자 중 한 명인 [[개빈 우드]]가 주창했다. [[권위증명]]는 보통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을 위한 증명 방식으로, 인증 받은 피어들이 노드 운영에 참여하는 구조이다. 확실한 신원에 기반한 합의 방식을 통해서 즉각적인 거래를 제공하는 블록체인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즉, 권위증명은 권위(authoriy)를 가진 몇 노드들이 [[밸리데이터]](validator)라고 하는 유효성 검사기가 되어 전송과 블록에 관한 유효성 검사를 시행한다. 이때, 권위를 가진 몇 노드들이 돌아가며 블록을 생성한다. 따라서 블록생성타임(block time)을 줄여 초당 수천 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작업증명]](PoW)의 단점인 엄청난 전기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렇듯 체인플릭스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노드 수를 줄여 유효성 검사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보다 빠른 블록 생성 주기와 빠른 [[트랜잭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체인플릭스는 [[PoA]]를 기반으로 PoV(Proof of  
[[권위증명]](PoA; Proof of Authority) 합의 알고리즘은 이더리움 공동창시자 중 한 명인 [[개빈 우드]](Gavin Wood)가 주창했다. [[권위증명]]는 보통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을 위한 증명 방식으로, 인증 받은 피어들이 노드 운영에 참여하는 구조이다. 확실한 신원에 기반한 합의 방식을 통해서 즉각적인 거래를 제공하는 블록체인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즉, 권위증명은 [[권위]](authoriy)를 가진 몇 노드들이 [[밸리데이터]](validator)라고 하는 유효성 검사기가 되어 전송과 블록에 관한 유효성 검사를 시행한다. 이때, 권위를 가진 몇 노드들이 돌아가며 블록을 생성한다. 따라서 블록생성타임(block time)을 줄여 초당 수천 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작업증명]](PoW)의 단점인 엄청난 전기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렇듯 체인플릭스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노드 수를 줄여 유효성 검사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보다 빠른 블록 생성 주기와 빠른 [[트랜잭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체인플릭스는 [[권위증명]]를 기반으로 [[시청증명]](PoV; Proof of View)의 합의 알고리즘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
View)의 합의 알고리즘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
====PoV 알고리즘====
====시청증명(PoV) 합의 알고리즘====
+
체인플릭스의 PoV(Proof of View) 알고리즘은 '뷰 마이닝'을 위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P2P]] 통신 시청자 단말기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에서 뷰 마이닝(View Mining)을 접목하여 시청자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보는 내내 지속적으로 [[노드]]에 [[논스]](Nonce)값을 확인하고, 만약 논스값이 일치하면 블록이 생성되면서 코인으로 보상받는 코인 채굴 시스템이다. 이 채굴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블록체인]]을 동기화한 다수의 [[P2P]] 통신 시청자 단말기에 의한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이다. 다수의 P2P 통신 유저 단말기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이 시작되면 실질적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노드로서 역할을 하여 유저 간의 트랜잭션에 대한 인증 및 승인에 참여하여 코인을 채굴한다. 이 채굴이 일반 채굴과 다른 점은 채굴자가 모든 코인을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그 동영상 제작자와 시청자, 스토리지 제공자가 지정된 비율로 코인을 가져가게 된다는 점이다. 여기서 시청자는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다. 어떠한 설정도 필요 없다. 그냥 동영상을 보기만 하면 내부 코드에서 자동으로 채굴이 시작되게 되며 이때 하드웨어 자원을 10%도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동영상을 보는 중 블록이 생성되면 시청자에게 표시해 준다.  
체인플릭스의 [[시청증명]](PoV; Proof of View) 합의 알고리즘은 '뷰 마이닝'을 위한 합의 알고리즘이다. [[피투피]](P2P) 통신 시청자 단말기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에서 [[뷰 마이닝]](View Mining)을 접목하여 시청자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내내 지속적으로 [[노드]]에 [[논스]](nonce) 값을 확인하고, 만약 논스값이 일치하면 블록이 생성되면서 코인으로 보상받는 코인 채굴 시스템이다. 이 채굴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블록체인]]을 동기화한 다수의 [[피투피]] 통신 시청자 단말기에 의한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이다. 다수의 P2P 통신 유저 단말기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이 시작되면 실질적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노드로서 역할을 하여 유저 간의 트랜잭션에 대한 인증 및 승인에 참여하여 코인을 채굴한다. 이 채굴이 일반 채굴과 다른 점은 채굴자가 모든 코인을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그 동영상 제작자와 시청자, 스토리지 제공자가 지정된 비율로 코인을 가져가게 된다는 점이다. 여기서 시청자는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다. 어떠한 설정도 필요 없다. 그냥 동영상을 보기만 하면 내부 코드에서 자동으로 채굴이 시작되게 되며 이때 하드웨어 자원을 10%도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동영상을 보는 중 블록이 생성되면 시청자에게 표시해 준다.  
 
  
 
* '''알고리즘 방식''' : 콘텐츠 제작사는 동영상을 1분 단위(VideoCell)로 분리하여 [[P2P]]로 공유하게 된다. VideoCell을 전송할 때는 검증자에게 키값을 받아 [[암호화]]를 한다. 암호화된 VideoCell의 해시값을 검증자들에게 전송하게 된다. 동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도 콘텐츠 제작사와 동일하게 P2P를 통해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며 새로운 시청자도 VideoCell을 다운로드해 검증자에게 Play Data를 요청하고 VideoCell을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며 해시값을 계산한다. 백그라운드로 랜덤 상수와 해시값을 이용하여 매우 낮은 난이도의 Nonce값을 계산하게 되며 VideoCell 단위의 시청이 완료되면 검증자에게 Nonce값, Play Data를 전송한다. 이때 개인 키로 [[암호화]]를 진행한다. 동영상 플레이 시간이 1.5배보다 Nonce값 계산이 느려지면 실패로 처리한다. 검증자 A는 P2P 공유 시 생성된 해시값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시청자에게 고유한 PlayCode를 발급, 동일한 VideoCell에 대해서는 계정별로 중복해서 발행되지 않는다. 시청자의 지갑 아이디와 Play Data를 별도의 [[DB]]에 저장하며 다른 검증자들에게도 Play Data를 전송하여 [[동기화]]를 한다. 또한, 시청자에게서 받은 Play Data에 대한 Nonce값이 유효환지 확인하며 시청자에게 랜덤 상수를 전송한 시간과 Nonce값을 받는 시간의 차이가 VideoCell의 동영상 플레이 시간보다 빠르면 실패가 된다. 성공한 경우 블록생성(블록보상)이 되며 블록 정보에는 동영상 시청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생성된 블록을 다른 검증자에게도 전송하여 동기화를 한다. 검증자 B는 검증자 A에게서 전달받은 Play Data를 별도의 DB에 저장한다. 검증자 A에게 전달받은 블록을 확인하고 블록에 기록된 동영상 시청자의 정보가 유효환지를 확인한다. 검증자 간에 성공, 실패 여부를 투표 하여 51% 이상 성공인 경우 정상 블록을 인정한다. 블록이 생성되면 보상(코인)을 지급하고 배분율에 따라 콘텐츠 제작사, 시청자, 검증자, P2P 공유자에게 배분한다.
 
* '''알고리즘 방식''' : 콘텐츠 제작사는 동영상을 1분 단위(VideoCell)로 분리하여 [[P2P]]로 공유하게 된다. VideoCell을 전송할 때는 검증자에게 키값을 받아 [[암호화]]를 한다. 암호화된 VideoCell의 해시값을 검증자들에게 전송하게 된다. 동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도 콘텐츠 제작사와 동일하게 P2P를 통해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며 새로운 시청자도 VideoCell을 다운로드해 검증자에게 Play Data를 요청하고 VideoCell을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며 해시값을 계산한다. 백그라운드로 랜덤 상수와 해시값을 이용하여 매우 낮은 난이도의 Nonce값을 계산하게 되며 VideoCell 단위의 시청이 완료되면 검증자에게 Nonce값, Play Data를 전송한다. 이때 개인 키로 [[암호화]]를 진행한다. 동영상 플레이 시간이 1.5배보다 Nonce값 계산이 느려지면 실패로 처리한다. 검증자 A는 P2P 공유 시 생성된 해시값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시청자에게 고유한 PlayCode를 발급, 동일한 VideoCell에 대해서는 계정별로 중복해서 발행되지 않는다. 시청자의 지갑 아이디와 Play Data를 별도의 [[DB]]에 저장하며 다른 검증자들에게도 Play Data를 전송하여 [[동기화]]를 한다. 또한, 시청자에게서 받은 Play Data에 대한 Nonce값이 유효환지 확인하며 시청자에게 랜덤 상수를 전송한 시간과 Nonce값을 받는 시간의 차이가 VideoCell의 동영상 플레이 시간보다 빠르면 실패가 된다. 성공한 경우 블록생성(블록보상)이 되며 블록 정보에는 동영상 시청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생성된 블록을 다른 검증자에게도 전송하여 동기화를 한다. 검증자 B는 검증자 A에게서 전달받은 Play Data를 별도의 DB에 저장한다. 검증자 A에게 전달받은 블록을 확인하고 블록에 기록된 동영상 시청자의 정보가 유효환지를 확인한다. 검증자 간에 성공, 실패 여부를 투표 하여 51% 이상 성공인 경우 정상 블록을 인정한다. 블록이 생성되면 보상(코인)을 지급하고 배분율에 따라 콘텐츠 제작사, 시청자, 검증자, P2P 공유자에게 배분한다.
 
 
* '''블록 보상관리''' : 블록당 보상금액이 초과 지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감기를 고려한 보상금액을 기록한다. 또한, 블록 타임도 기록되어 있어 빠른 블록 생성에도 일정한 보상만 지급되도록 설정한다. 검증자가 블록 생성에 대한 보상을 요청한 경우 다른 검증자들에게 투표를 요청하고 51% 이상 찬성하면 [[코인]]을 대상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대상자는 콘텐츠 제작사, 시청자(유저), 검증자, [[P2P]] 콘텐츠 공유자, 감독관 등등이 이에 해당한다.
 
* '''블록 보상관리''' : 블록당 보상금액이 초과 지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감기를 고려한 보상금액을 기록한다. 또한, 블록 타임도 기록되어 있어 빠른 블록 생성에도 일정한 보상만 지급되도록 설정한다. 검증자가 블록 생성에 대한 보상을 요청한 경우 다른 검증자들에게 투표를 요청하고 51% 이상 찬성하면 [[코인]]을 대상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대상자는 콘텐츠 제작사, 시청자(유저), 검증자, [[P2P]] 콘텐츠 공유자, 감독관 등등이 이에 해당한다.
 
* '''검증자 선정 방식''' : [[리플]], [[스텔라]]와 같이 별도로 지정하며 일정 요건을 갖추면 검증자로 선정할 수 있다.
 
* '''검증자 선정 방식''' : [[리플]], [[스텔라]]와 같이 별도로 지정하며 일정 요건을 갖추면 검증자로 선정할 수 있다.
90번째 줄: 76번째 줄:
 
==향후 계획==
 
==향후 계획==
 
체인플릭스는 기존 비디오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회사들의 갑질 형태와 더불어 전반적인 수익을 독차지 하는 현실에서 실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간의 자율적인 생태계를 조성하고 회원 스스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에서 수익 정산, 배분을 주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 콘텐츠 유통은 유통/배급사가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활동을 통제하고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운영자들의 입맛에 맞게 구성되고 운영되어왔다. 체인플릭스는 이런 환경을 사용자 주도록 콘텐츠 유통의 벽이 없이 전세계의 콘텐츠 창작자, 콘텐츠 이용자들이 소통하고 공유하고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체인플릭스 연구 개발진들은 개인들이 제공하는 스토리지 상에서 [[P2P]] 기반 동영상 서비스를 원활히 서비스하고자 최고의 서비스 안정성, 보안성 및 투명성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 name="체인플릭스 백서 1.5"></ref>
 
체인플릭스는 기존 비디오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회사들의 갑질 형태와 더불어 전반적인 수익을 독차지 하는 현실에서 실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간의 자율적인 생태계를 조성하고 회원 스스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에서 수익 정산, 배분을 주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 콘텐츠 유통은 유통/배급사가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활동을 통제하고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운영자들의 입맛에 맞게 구성되고 운영되어왔다. 체인플릭스는 이런 환경을 사용자 주도록 콘텐츠 유통의 벽이 없이 전세계의 콘텐츠 창작자, 콘텐츠 이용자들이 소통하고 공유하고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체인플릭스 연구 개발진들은 개인들이 제공하는 스토리지 상에서 [[P2P]] 기반 동영상 서비스를 원활히 서비스하고자 최고의 서비스 안정성, 보안성 및 투명성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 name="체인플릭스 백서 1.5"></ref>
 
== 동영상 ==
 
;[해시넷] 체인플릭스 오정석 대표이사 인터뷰
 
<youtube>4UbNYXj1Xlw</youtube>
 
<youtube>VWyEOujoRwQ</youtube>
 
<youtube>YXFIWON0Xyk</youtube>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체인플릭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hainflix.net/
+
* 체인플릭스 공식 홈페이지 - http://www.chainflix.net/
 
* "[http://www.chainflix.net/Chainflix_White_Paper.pdf THE CHAINFLIX WHITE PAPER 1.5]", ''Chainflix Team'', 2019-06
 
* "[http://www.chainflix.net/Chainflix_White_Paper.pdf THE CHAINFLIX WHITE PAPER 1.5]", ''Chainflix Team'', 2019-06
 
* 강채원 앵커, 〈[http://techm.kr/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5655 (블록체인리포트) 사용자가 주인 되는 세상 꿈꾸는 체인플릭스...오정석 잼픽 CEO]〉, 《테크M》, 2019-02-07
 
* 강채원 앵커, 〈[http://techm.kr/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5655 (블록체인리포트) 사용자가 주인 되는 세상 꿈꾸는 체인플릭스...오정석 잼픽 CEO]〉, 《테크M》, 2019-02-07
* 최규현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6718 하반기 주목되는 프로젝트는?]〉, 《비아이뉴스》, 2019-07-22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109번째 줄: 88번째 줄:
 
* [[오정석]]
 
* [[오정석]]
 
* [[권위증명]](PoA)
 
* [[권위증명]](PoA)
* [[시청증명]](PoV)
 
 
* [[개빈 우드]]
 
* [[개빈 우드]]
* [[제5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
{{로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