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 인터넷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초고속 인터넷'''은 매우 빠른 속도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넷]]을 의미한다. [[PC통신]]이 점차 저물어가고, 전화선을 이용하여 컴퓨터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통신수단인 ADSL이나 케이블 TV 신호 전송용 선로를 이용하는 HFC 등의 고속망이 개발 및 도입되면서 생긴 용어이다. 한국에선 [[두루넷]](Thrunet)이 HFC 기술을 바탕으로 인터넷을 도입하면서 본격적으로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후에 모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이 초고속 인터넷 용어를 사용하면서 서비스 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초고속 인터넷'''은 매우 빠른 속도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넷]]을 의미한다. [[PC통신]]이 점차 저물어가고, 전화선을 이용하여 컴퓨터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통신수단인 ADSL이나 케이블 TV 신호 전송용 선로를 이용하는 HFC 등의 고속망이 개발 및 도입되면서 생긴 용어이다. 한국에선 [[두루넷]](Thrunet)이 HFC 기술을 바탕으로 인터넷을 도입하면서 본격적으로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후에 모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이 초고속 인터넷 용어를 사용하면서 서비스 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인터넷 배너}}
 
  
 
==개요==
 
==개요==
 
초고속 인터넷은 초고속 망을 기반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초고속망은 E1 급 이상의 속도를 제공하는 망을 말하며, 초고속인터넷은 2Mbps 이상의 속도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초고속 인터넷은 초고속 망을 기반으로 각 가정과 회사를 멀티 디지털 가입자회선, 문자 및 정지화상을 포함한 영상 등을 수신자에게 송신하는 다채널방송인 CATV 등의 가입자 망을 통해 연결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52522&cid=42348&categoryId=42350 초고속인터넷 개시]〉, 《네이버 지식백과》 </ref>
 
초고속 인터넷은 초고속 망을 기반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초고속망은 E1 급 이상의 속도를 제공하는 망을 말하며, 초고속인터넷은 2Mbps 이상의 속도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초고속 인터넷은 초고속 망을 기반으로 각 가정과 회사를 멀티 디지털 가입자회선, 문자 및 정지화상을 포함한 영상 등을 수신자에게 송신하는 다채널방송인 CATV 등의 가입자 망을 통해 연결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52522&cid=42348&categoryId=42350 초고속인터넷 개시]〉, 《네이버 지식백과》 </ref>
  
==역사==
+
==역사=
 
국내 최초의 상용 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될 무렵, 한국 인터넷은 또 하나의 역사적인 도약을 준비하고 있었다. 바로 미국의 NII(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프로젝트의 영향을 받은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 사업이었다. NII는 고성능 컴퓨팅 및 컴퓨터 통신과 이를 통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도모하는 사업으로 1991년, 앨 고어(Al Gore) 당시 사원 의원의 발의로 통과된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Act) 1991 법안을 기반으로 하는 계획이었다. 구체적으로 NII는 초고속 광섬유망을 사용한 [[컴퓨터]] [[네트워크]]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1991년 12월 9일에 기해 발효된 이 법에 대해 [[조지 부시]](George Bush) 당시 대통령은 이 계획이 DNA의 비밀을 밝히고, 해외 자유 무역시장을 개방할 것이며, 정부와 학계, 산업 사이의 협동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NII는 조지 부시의 예상을 따랐다. 차기 대통령으로 선출된 [[빌 클린턴]](William Clinton) 역시 1993년 9월의 NII 조치 의제(Agenda for Action)에서 미국의 미래 운명은 정보통신 기반의 구축에 달려있다고 천명하고, 1994년부터는 이 정책을 전 세계로 확대하는 GII(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정책을 전개해나갔다. 그 결과 고성능 컴퓨터를 통해 인간 게놈 지도가 작성되었으며, 초고속망 구축 전보다 수천 배 빨라진 컴퓨터 [[네트워크]]는 각 분야와 개인이 연결된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를 앞당겼다. 그리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나 유럽연합(EU)과 같은 경제블록화 및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와 더불어 세계를 더 가깝게 만드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네트워크 사회와 세계화의 물결은 각국으로 하여금 국가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게 하였으며, 특히 그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디지털 및 광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한 정보화와 관련된 기술 개발 프로젝트가 주요 선진국의 국가전략사업이 되었다. 미국에 이어 일본은 신사회자본이라는 슬로건으로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 구축 계획을 진행하기 시작했으며, 유럽연합도 범유럽 정보통신망 구축을 추진했다. 한국의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 계획도 이러한 배경 속에서 수립되었다. 초기 계획은 광케이블 백본망을 구축하면서, 정보통신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주요 연구방향이던 B-ISDN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1998년, 광케이블 백본망과 [[케이블]] TV 망을 사용한 두루넷이 최초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향후 초고속망 서비스는 점차 인터넷 방식으로 수렴되었다. 당시 광케이블 망 백본망은 한국전력, 가스공사, 도로공사와 같은 공공 [[인프라]] 사업자들에 의해 전력 망 등과 함께 설치되었는데, 이는 이후 광케이블을 이용한 초고속통신망 사업자의 다각화를 가능하게 하였다.<ref> 안정배, 〈[https://sites.google.com/site/koreainternethistory/book-project/chapter11 초고속인터넷]〉, 《한국 인터넷 역사 프로젝트》, 2012-12-05 </ref>
 
국내 최초의 상용 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될 무렵, 한국 인터넷은 또 하나의 역사적인 도약을 준비하고 있었다. 바로 미국의 NII(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프로젝트의 영향을 받은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 사업이었다. NII는 고성능 컴퓨팅 및 컴퓨터 통신과 이를 통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도모하는 사업으로 1991년, 앨 고어(Al Gore) 당시 사원 의원의 발의로 통과된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Act) 1991 법안을 기반으로 하는 계획이었다. 구체적으로 NII는 초고속 광섬유망을 사용한 [[컴퓨터]] [[네트워크]]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1991년 12월 9일에 기해 발효된 이 법에 대해 [[조지 부시]](George Bush) 당시 대통령은 이 계획이 DNA의 비밀을 밝히고, 해외 자유 무역시장을 개방할 것이며, 정부와 학계, 산업 사이의 협동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NII는 조지 부시의 예상을 따랐다. 차기 대통령으로 선출된 [[빌 클린턴]](William Clinton) 역시 1993년 9월의 NII 조치 의제(Agenda for Action)에서 미국의 미래 운명은 정보통신 기반의 구축에 달려있다고 천명하고, 1994년부터는 이 정책을 전 세계로 확대하는 GII(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정책을 전개해나갔다. 그 결과 고성능 컴퓨터를 통해 인간 게놈 지도가 작성되었으며, 초고속망 구축 전보다 수천 배 빨라진 컴퓨터 [[네트워크]]는 각 분야와 개인이 연결된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를 앞당겼다. 그리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나 유럽연합(EU)과 같은 경제블록화 및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와 더불어 세계를 더 가깝게 만드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네트워크 사회와 세계화의 물결은 각국으로 하여금 국가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게 하였으며, 특히 그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디지털 및 광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한 정보화와 관련된 기술 개발 프로젝트가 주요 선진국의 국가전략사업이 되었다. 미국에 이어 일본은 신사회자본이라는 슬로건으로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 구축 계획을 진행하기 시작했으며, 유럽연합도 범유럽 정보통신망 구축을 추진했다. 한국의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 계획도 이러한 배경 속에서 수립되었다. 초기 계획은 광케이블 백본망을 구축하면서, 정보통신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주요 연구방향이던 B-ISDN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1998년, 광케이블 백본망과 [[케이블]] TV 망을 사용한 두루넷이 최초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향후 초고속망 서비스는 점차 인터넷 방식으로 수렴되었다. 당시 광케이블 망 백본망은 한국전력, 가스공사, 도로공사와 같은 공공 [[인프라]] 사업자들에 의해 전력 망 등과 함께 설치되었는데, 이는 이후 광케이블을 이용한 초고속통신망 사업자의 다각화를 가능하게 하였다.<ref> 안정배, 〈[https://sites.google.com/site/koreainternethistory/book-project/chapter11 초고속인터넷]〉, 《한국 인터넷 역사 프로젝트》, 2012-12-05 </ref>
  
67번째 줄: 65번째 줄:
 
* 이인재, 〈[https://ocw.snu.ac.kr/sites/default/files/ASSIGNMENT/196.pdf#:~:text=%EC%B4%88%EA%B3%A0%EC%86%8D%20%EB%AC%B4%EC%84%A0%20%EC%9D%B8%ED%84%B0%EB%84%B7%EC%9D%B4%EB%9E%80%20%ED%9C%B4%EB%8C%80%20%EB%AC%B4%EC%84%A0%20%EB%8B%A8%EB%A7%90%EA%B8%B0%EB%A5%BC%20%EC%9D%B4%EC%9A%A9%ED%95%B4%20%EC%82%AC%EC%9A%A9%EC%9E%90%EA%B0%80,%EC%99%80%EC%9D%B4%EB%B8%8C%EB%A1%9C%28wireless%20broadband%29%EB%82%98%20HSDPA%20%EB%93%B1%20%EB%8B%A4%EC%96%91%ED%95%9C%20%EA%B8%B0%EC%88%A0%EB%93%A4%EC%9D%B4%20%EC%82%AC%EC%9A%A9%EB%90%98%EA%B3%A0%20%EC%9E%88%EB%8B%A4. 나노 기술이 5년 뒤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
 
* 이인재, 〈[https://ocw.snu.ac.kr/sites/default/files/ASSIGNMENT/196.pdf#:~:text=%EC%B4%88%EA%B3%A0%EC%86%8D%20%EB%AC%B4%EC%84%A0%20%EC%9D%B8%ED%84%B0%EB%84%B7%EC%9D%B4%EB%9E%80%20%ED%9C%B4%EB%8C%80%20%EB%AC%B4%EC%84%A0%20%EB%8B%A8%EB%A7%90%EA%B8%B0%EB%A5%BC%20%EC%9D%B4%EC%9A%A9%ED%95%B4%20%EC%82%AC%EC%9A%A9%EC%9E%90%EA%B0%80,%EC%99%80%EC%9D%B4%EB%B8%8C%EB%A1%9C%28wireless%20broadband%29%EB%82%98%20HSDPA%20%EB%93%B1%20%EB%8B%A4%EC%96%91%ED%95%9C%20%EA%B8%B0%EC%88%A0%EB%93%A4%EC%9D%B4%20%EC%82%AC%EC%9A%A9%EB%90%98%EA%B3%A0%20%EC%9E%88%EB%8B%A4. 나노 기술이 5년 뒤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초고속]]
 
* [[인터넷]]
 
* [[네트워크]]
 
 
* [[방송]]
 
* [[방송]]
 
* [[케이블]]
 
* [[케이블]]
 +
* [[인터넷]]
  
 
{{하드웨어|검토 필요}}
 
{{하드웨어|검토 필요}}
 
{{인터넷}}
 
{{인터넷}}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