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영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최지영.jpg|썸네일|300픽셀|'''최지영'''(Josh Choi)]]
 
 
 
[[파일:아이콘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아이콘]]'''(ICON)]]
 
[[파일:아이콘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아이콘]]'''(ICON)]]
 
[[파일:㈜아이콘루프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아이콘루프]]'''(ICONLOOP)]]
 
[[파일:㈜아이콘루프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아이콘루프]]'''(ICONLOOP)]]
6번째 줄: 4번째 줄:
 
'''최지영'''(Josh Choi)은 '''[[아이콘]]'''(ICON)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아이콘루프]]의 최고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최고홍보책임자이다. 영어 이름은 '''조시 최'''<!--조쉬 최-->(Josh Choi)이다. 그는 [[연세대학교]] 경영학 학사과정과 [[제네바 대학교]] 경영학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 국제협력전문위원, 크립토밸리협회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전문그룹 공동의장, 아프리카블록체인협회의 자문위원 및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사무국 부국장으로서 활동하고있다.
 
'''최지영'''(Josh Choi)은 '''[[아이콘]]'''(ICON)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아이콘루프]]의 최고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최고홍보책임자이다. 영어 이름은 '''조시 최'''<!--조쉬 최-->(Josh Choi)이다. 그는 [[연세대학교]] 경영학 학사과정과 [[제네바 대학교]] 경영학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 국제협력전문위원, 크립토밸리협회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전문그룹 공동의장, 아프리카블록체인협회의 자문위원 및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사무국 부국장으로서 활동하고있다.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최지영 이사가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서 발표합니다.}}
+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배너|최지영 이사가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행사에서 발표합니다.}}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 배너|최지영 이사가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에서 발표했습니다.}}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배너|최지영 이사가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행사에서 발표했습니다.}}
 
  
 
==생애==
 
==생애==
32번째 줄: 28번째 줄:
 
==주요 활동==
 
==주요 활동==
 
=== ㈜아이콘루프 ===
 
=== ㈜아이콘루프 ===
㈜아이콘루프가 2018년 12월 5일 최지영 전 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수석담당관을 ㈜아이콘루프 공공사업담당이사(Director of Public Affairs)로 영입했다. 최지영은 ICON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기획 및 운영, 공공분야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을 담당하고 있다. 아이콘 거버넌스는 세 가지 운영원칙인 ‘탈중앙화, 인터체인, 기여도’에 기반해, 각 커뮤니티의 이익을 대변하는 ‘C-Rep(Community Representative)’과 네트워크 전체 이익을 대변하는 ‘P-Rep(Public Representative)’ 선출로 운영된다. 최지영은 UN 기구 및 국내 포털 기업 경력, 스타트업 지원 경험 등을 바탕으로 각 사업부문의 중장기 성장을 견인할 ‘거버넌스’를 혁신하고, 대표자 발굴을 위한 글로벌 기업, 국제기구 및 공공기관과의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공공분야를 포함한 산업 전반으로의 블록체인 확산을 추진하고 있다.<ref name="임유경1">임유경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5&sid2=283&oid=092&aid=0002151821 아이콘루프, 최지영 전 UN 산하 ITU수석담당관 영입]〉, 《지디넷코리아》, 2018-12-05</ref>
+
[[㈜아이콘루프]](ICONLOOP)는 한국의 블록체인 전문 기업으로 아이콘재단에서 추진하는 아이콘의 기술 개발사이다. 2016년 5월 12일에 ㈜더루프(theloop)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고, 대표이사는 김종협이다. "Hyperconnect the World"라는 비전 아래 [[아이콘]]이라는 인터체인 기반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였다. 2018년 9월 회사명을 기존 ㈜더루프에서 ㈜아이콘루프로 변경했다. 아이콘루프의 핵심 기술인 [[루프체인]] 엔진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루프 장애 허용]] 알고리즘을 통해 빠르고 안전한 거래를 보장하며, 모듈화된 스마트 계약인 'SCORE(Smart Contract On Reliable Environment)'는 현재 금융투자업권, 보험, 은행 등의 금융권과 대학, 병원 사회 각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합류 당시 최지영 이사는 “UN 산하 기관에서 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기구 및 각국의 도시정부가 ICON 네트워크 참여자로 선출될 수 있도록 파일럿 프로젝트 및 파트너십 체결을 진행할 것”이며, “아이콘루프의 가파른 사업 성장에 발맞춰, ICON 퍼블릭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과 블록체인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으며,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는 “이번 최지영 이사 영입을 계기로 여러 국제기관 및 기업 등을 네트워크 대표자로 확보해, 아이콘 거버넌스가 생태계 참여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게끔 지원하는 것이 목표”라며,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을 바탕으로 궁극적으로 실생활과 블록체인 세계가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라는 비전, ‘블록체인 대중화’라는 목표 실현에 가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ref name="김현아1">김현아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5&sid2=226&oid=018&aid=0004268429 아이콘루프, 최지영 전 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수석담당관 영입], 《이데일리》, 2018-12-07</ref>
 
 
 
한편 2016년 5월 설립된 ㈜아이콘루프는 블록체인 플랫폼 및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국내 대표 블록체인 기업이다. ㈜아이콘루프는 자체 개발 고성능 블록체인 엔진 루프체인(loopchain)에 기반, 서울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한국금융투자업권, AWS 파트너 네트워크, 교보생명 등에 다양한 기술 및 솔루션을 제공하며 여러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 혁신 사례를 만들어 가고 있다. ㈜아이콘루프의 자체 개발 블록체인 코어 엔진 루프체인은 블록체인의 기본에 충실한 구조를 기반으로 실제 비즈니스에 최적화한 기능을 구현하며,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아이콘루프의 자체 개발 고성능 블록체인 엔진으로 구성된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솔루션으로서, 온프레미스,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기업의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와 같은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 최적화와 동시에 분산원장관리, 자동 배포, 통합 환경설정, 네트워크와 데이터 모니터링, 장애 보기 기능 다수 기능을 지원한다.<ref name="허준1">허준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5&sid2=230&oid=014&aid=0004139090 최지영 전 ITU 수석담당관, 국가대표 블록체인 '아이콘' 합류]〉, 《파이낸셜뉴스》, 2018-12-05</ref>
 
 
 
==동영상==
 
<youtube>DVyxJs2VTA0</youtube>
 
<youtube>RN5bSe2UXD4</youtube>
 
  
 +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는 국내 블록체인사 아이콘루프가 개발한 분산신원확인(DID)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신원증명 플랫폼이다. 이러한 마이아이디를 활용해 자기주권형 디지털아이디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모인 것이 바로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이다. 마이아이디는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 금융규제 샌드박스로 지정되기도 했다. 따라서 마이아이디는 국내에서 분산신원확인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는 규제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최지영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사무국 부국장은 "디지털 경제가 도래하며, 신원 증명 아이디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해졌다"라며 마이아이디를 통해 사용자의 페인 포인트를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겠다 했다. 또한 "신원 증명에서 높은 수준의 신뢰를 요구하는 곳이 금융사이며, 금융에서 쓰이기 시작한다면 다른 분야로도 진출이 쉬울 것"이라며 마이아이디가 금융사 위주의 파트너십을 구축한 이유를 설명했다. 더불어 "현재 마이아이디는 금융사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공공기관 등에서 다양한 파트너를 확보했으며,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의 국제 표준을 획득하기도 했다"라며 마이아이디만의 차별화된 강점을 밝히기도 했다.<ref>이덕희, 〈[https://www.bloter.net/archives/360491 마이아이디-GADI, 분산 신원증명(DID) 닻 올려]〉, 《블로터》, 2019-11-09</ref>
 
{{각주}}
 
{{각주}}
  
52번째 줄: 41번째 줄:
 
* [[㈜아이콘루프]]
 
* [[㈜아이콘루프]]
 
* [[아이콘]]
 
* [[아이콘]]
*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
 
*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