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적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침적도장==
 
==침적도장==
침적도장(Dipping)은 피도장 물체를 도료 탱크에 넣어 에어 도료를 적시고 이것을 끌어 올리고 그 여분인 도료가 흐르지 않게 한 후에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디핑(Dipping)이나 잽이라고 한다. 조작이 간단하고 도료의 낭비가 적으며 모양이 복잡한 것이나 소형 부품에 적용하는데 도장막의 두께가 일치하지 않고 솔질한 아래 부분에 도료뭉치가 생기기 쉽다. 또한 납 안료가 많이 함유된 도료에는 적당하지 못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수용성 소부 도료 등을 이용한다. [[자동차]], [[전기]][[기구]] 등 양산용 도장방법으로 사용된다. 침적도장은 도료의 점도를 적당히 조절하는 것이 도막형성의 양부를 결정한다.<ref>CP24, 〈[https://m.cafe.daum.net/carpainting24/GmfP/14?svc=cafeapi (도장방법)붓작업, 스프레이, 침적도장, 주걱도장, 이외 도장방법 참고]〉, 《다음 카페》, 2006-07-17</ref>
+
침적도장(Dipping)은 피도장 물체를 도료 탱크에 넣어 에어 도료를 적시고 이것을 끌어 올리고 그 여분인 도료가 흐르지 않게 한 후에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디핑(Dipping)이나 잽이라고 한다. 조작이 간단하고 도료의 낭비가 적으며 모양이 복잡한 것이나 소형 부품에 적용하는데 도장막의 두께가 일치하지 않고 솔질한 아래 부분에 도료뭉치가 생기기 쉽다. 또한 납 안료가 많이 함유된 도료에는 적당하지 못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수용성 소부 도료 등을 이용한다. [[자동차]], [[전기기구]] 등 양산용 도장방법으로 사용된다. 침적도장은 도료의 점도를 적당히 조절하는 것이 도막형성의 양부를 결정한다.<ref>CP24, 〈[https://m.cafe.daum.net/carpainting24/GmfP/14?svc=cafeapi (도장방법)붓작업, 스프레이, 침적도장, 주걱도장, 이외 도장방법 참고]〉, 《다음 카페》, 2006-07-17</ref>
 
===작업 조건===
 
===작업 조건===
 
사용하는 도료는 저점도에서도 안료의 침전이 없는 것으로, 또한 표면의 과도한 긴장도가 없으며 긴 시간에도 겔(Gel)화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도료탱크에 교반기나 순환 펌프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아래로 떨어지는 도료를 회수하는 받침접시에는 철망을 쳐서 도료를 여과한 후에 탱크로 되돌아가게 한다. 도료의 아래 부분에 남은 도료는 칠솔로 회수하거나 아니면 원심력이나 정전기의 힘으로 회수하는 방법도 있다. 정전 제적은 정전도장과 같은 원리로서 물품과 철망 사이에 50kV 정도의 전압을 가하여 도료의 뭉치를 회수하므로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시간도 단축되는 동시에 마무리도 깨끗하다. 도료의 점도는 포드 컵 No.4에서 20∼35초의 범위가 좋으며 물품의 모양에 따라서 적당한 점도를 선택한다.<ref>〈[http://www.paintncoatings.com/html/consulting/info/info03/07-02.html 침지 도장법]〉, ''paintNcoatings''</ref>
 
사용하는 도료는 저점도에서도 안료의 침전이 없는 것으로, 또한 표면의 과도한 긴장도가 없으며 긴 시간에도 겔(Gel)화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도료탱크에 교반기나 순환 펌프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아래로 떨어지는 도료를 회수하는 받침접시에는 철망을 쳐서 도료를 여과한 후에 탱크로 되돌아가게 한다. 도료의 아래 부분에 남은 도료는 칠솔로 회수하거나 아니면 원심력이나 정전기의 힘으로 회수하는 방법도 있다. 정전 제적은 정전도장과 같은 원리로서 물품과 철망 사이에 50kV 정도의 전압을 가하여 도료의 뭉치를 회수하므로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시간도 단축되는 동시에 마무리도 깨끗하다. 도료의 점도는 포드 컵 No.4에서 20∼35초의 범위가 좋으며 물품의 모양에 따라서 적당한 점도를 선택한다.<ref>〈[http://www.paintncoatings.com/html/consulting/info/info03/07-02.html 침지 도장법]〉, ''paintNcoatings''</ref>
46번째 줄: 46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화학]]
+
* [[가공]]
* [[물리]]
 
* [[중력]]
 
* [[도장]]
 
* [[금속]]
 
* [[플라스틱]]
 
* [[페인트]]
 
* [[대기]]
 
* [[해양]]
 
* [[기계]]
 
* [[부품]]
 
* [[금형]]
 
* [[공구]]
 
* [[자동차]]
 
* [[전기]]
 
* [[기구]]
 
  
 
{{자동차 제조|검토 필요}}
 
{{자동차 제조|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