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위치.png|썸네일|300픽셀|'''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위치''']]
 
[[파일: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위치.png|썸네일|300픽셀|'''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위치''']]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은 [[러시아]] 남쪽 끝 [[캅카스]] [[산맥]]에 자리한 자치공화국이다. '''카라차예보 체르케스카야 공화국'''(카바르다어: Къэрэшей-Шэрджэс Республикэ 카라셰이샤르자스 레스푸블리카, 카라차이발카르어: Къарачай-Черкес Республика 카라차이체르케스 레스푸블리카, 러시아어: 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레스푸블리카)라고도 부른다. <ref>〈[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B%9D%BC%EC%B0%A8%EC%98%88%EB%B3%B4%EC%B2%B4%EB%A5%B4%EC%BC%80%EC%8A%A4%EC%B9%B4%EC%95%BC_%EA%B3%B5%ED%99%94%EA%B5%AD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위키백과》</ref>
+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카바르다어: Къэрэшей-Шэрджэс Республикэ 카라셰이샤르자스 레스푸블리카, 카라차이발카르어: Къарачай-Черкес Республика 카라차이체르케스 레스푸블리카, 러시아어: 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레스푸블리카)또는 '''카라차예보 체르케스카야 공화국'''은 [[러시아]] 남쪽 끝 [[캅카스]] [[산맥]]에 자리한 자치공화국이다. <ref>〈[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B%9D%BC%EC%B0%A8%EC%98%88%EB%B3%B4%EC%B2%B4%EB%A5%B4%EC%BC%80%EC%8A%A4%EC%B9%B4%EC%95%BC_%EA%B3%B5%ED%99%94%EA%B5%AD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위키백과》</ref>
  
 
== 개요 ==
 
== 개요 ==
15번째 줄: 15번째 줄:
 
캅카스 [[산지]]에 위치해 있으며 북부는 평원이고 남부는 [[산악]] 지대로, 러시아 최고봉이자 [[유럽]] 최고봉인 [[옐브루스산]]도 이 공화국에 걸쳐 있다. [[고원]] 지대라서 개발이 어렵지만 대신 수원이 풍부하여 러시아 입장에서는 중요한 지역이다.   
 
캅카스 [[산지]]에 위치해 있으며 북부는 평원이고 남부는 [[산악]] 지대로, 러시아 최고봉이자 [[유럽]] 최고봉인 [[옐브루스산]]도 이 공화국에 걸쳐 있다. [[고원]] 지대라서 개발이 어렵지만 대신 수원이 풍부하여 러시아 입장에서는 중요한 지역이다.   
  
[[캅카스산맥]]의 북사면에 위치하므로 북동-남서 방향의 [[협곡]]과 능선이 전개된다. 깊은 [[계곡]]을 따라 [[강]]이 흐르고 주요 강으로는 악사우트, 볼샤야라바, 볼쇼이젤렌추크, 다우트, 쿠반, 쿠나, 카파르, 라바, 말리젤렌추크, 마르하, 포드쿠모크, 테베르다, 우루프강 등이 있다. 캅카스산맥 정상부에서 발원한 이들 강은 [[쿠마강]]에 합류한 후 [[카스피해]]로 흘러들어 간다. 또한 [[조지아]](그루지야)와의 접경지에 해당되는 정상부에 크고 작은 130여개의 호수가 있다.  
+
카프카스(Caucasus) [[산맥]]의 북사면에 위치하므로 북동-남서 방향의 [[협곡]]과 능선이 전개된다. 깊은 [[계곡]]을 따라 [[강]]이 흐르고 주요 강으로는 악사우트, 볼샤야라바, 볼쇼이젤렌추크, 다우트, 쿠반, 쿠나, 카파르, 라바, 말리젤렌추크, 마르하, 포드쿠모크, 테베르다, 우루프강 등이 있다. 카프카스산맥 정상부에서 발원한 이들 강은 [[쿠마강]]에 합류한 후 [[카스피해]]로 흘러들어 간다. 또한 [[조지아]](그루지야)와의 접경지에 해당되는 정상부에 크고 작은 130여개의 호수가 있다.  
  
 
기후는 러시아에선 그래도 온난한 편이며 7월 평균 기온은 20.6°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3.2°C이다. 최저기온은 -3.2℃, 최고기온은 20.6℃이고 [[평원]] 지대의 강수량은 550㎜, 산악지대의 강수량은 2500㎜이다. 지하자원은 금, 석탄 등이 있다.
 
기후는 러시아에선 그래도 온난한 편이며 7월 평균 기온은 20.6°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3.2°C이다. 최저기온은 -3.2℃, 최고기온은 20.6℃이고 [[평원]] 지대의 강수량은 550㎜, 산악지대의 강수량은 2500㎜이다. 지하자원은 금, 석탄 등이 있다.
  
 
== 역사 ==
 
== 역사 ==
캅카스산맥이라는 [[고산지]] 및 [[중앙아시아]]의 지리적 접경지라는 입지 조건 때문에 강성한 독립 국가를 형성한 적이 없지만 고립된 산지라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민족 보존에는 성공하였다. 제정러시아의 침략을 받은 후 1918년 4월 1일 구소련의 쿠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한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인접국가에 소속되었다. 1918년 5월 28일에 쿠바노체르노모르스카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18년 7월 5일에서 12월까지 '북캅카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21년 1월 20일에 고르스카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공화국의 일부에 속하게 되었다. 1922년 1월 12일에는 카라차이 체르케스카야 자치주가 설치되었다. 구소련 연방에 소속된 이후 독립하지는 못하고 1991년 구소련의 붕괴이후 자치공화국이 되었다.
+
카프카스(Caucasus) 산맥이라는 [[고산지]] 및 [[중앙아시아]]의 지리적 접경지라는 입지 조건 때문에 강성한 독립 국가를 형성한 적이 없지만 고립된 산지라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민족 보존에는 성공하였다. 제정러시아의 침략을 받은 후 1918년 4월 1일 구소련의 쿠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한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인접국가에 소속되었다. 1918년 5월 28일에 쿠바노체르노모르스카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18년 7월 5일에서 12월까지 북카프카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21년 1월 20일에 고르스카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공화국의 일부에 속하게 되었다. 1922년 1월 12일에는 카라차이 체르케스카야 자치주가 설치되었다. 구소련 연방에 소속된 이후 독립하지는 못하고 1991년 구소련의 붕괴이후 자치공화국이 되었다.
  
 
== 산업 ==
 
== 산업 ==
캅카스(Caucasus) [[고산지]]의 사면을 이용한 목축과 일부 정착 [[농업]]은 아직도 전통적인 농경 방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금, 석탄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여 광공업이 어느 정도 발달하였다. 화학약품, 식품산업 등 공업이 발달하였으며 이들 산업은 대체로 수도인 체르케스크에 집중되어 있다.  
+
카프카스(Caucasus) [[고산지]]의 사면을 이용한 목축과 일부 정착 [[농업]]은 아직도 전통적인 농경 방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금, 석탄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여 광공업이 어느 정도 발달하였다. 화학약품, 식품산업 등 공업이 발달하였으며 이들 산업은 대체로 수도인 체르케스크에 집중되어 있다.  
  
 
== 정치 ==
 
== 정치 ==
31번째 줄: 31번째 줄:
 
[[러시아]] 연방의 [[북캅카스연방관구]](Северо-Кавказ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에 속하는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의 수도이다. [[모스크바]](Москва, Moscow)로부터 남서쪽으로 1,320km 떨어져 있다.
 
[[러시아]] 연방의 [[북캅카스연방관구]](Северо-Кавказ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에 속하는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의 수도이다. [[모스크바]](Москва, Moscow)로부터 남서쪽으로 1,320km 떨어져 있다.
  
[[대캅카스산맥]] 북부의 [[쿠반강]](江) 유역에 위치하여, 대륙성 온대 기후가 나타난다. 겨울은 짧고 따뜻하며, 여름은 길고 건조하다. 연평균 기온은 10℃이며, 겨울철인 1월의 평균 기온은 -2℃, 여름철인 7월의 평균 기온은 22.5℃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370mm이고, 주로 4월~8월에 집중된다. [[캅카스산맥]]의 [[기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의 평균 해발고도가 530m로 높은 편에 속하며, 최대 해발고도는 700mm에 이른다. 식생은 혼합림이 나타나고, 유기물이 풍부한 비옥한 토양인 체르노좀(黑土, chernozyom)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
대(大)카프카스 [[산맥]] 북부의 [[쿠반강]](江) 유역에 위치하여, 대륙성 온대 기후가 나타난다. 겨울은 짧고 따뜻하며, 여름은 길고 건조하다. 연평균 기온은 10℃이며, 겨울철인 1월의 평균 기온은 -2℃, 여름철인 7월의 평균 기온은 22.5℃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370mm이고, 주로 4월~8월에 집중된다. 카프카스 [[산맥]]의 [[기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의 평균 해발고도가 530m로 높은 편에 속하며, 최대 해발고도는 700mm에 이른다. 식생은 혼합림이 나타나고, 유기물이 풍부한 비옥한 토양인 체르노좀(黑土, chernozyom)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825년 [[러시아]] 제국의 국경 수비를 목적으로 바탈파신스크 요새가 건설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고, 요새명을 따라 바탈파신스크(Баталпашинск, Batalpashinsk)라 불렸다. 이후 카자크인들과의 가죽, 모피 등의 교역을 위해 상인들이 이주해오기 시작했고, 곧 교역과 문화 교류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928년 체르케시야 자치주(Черкес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의 중심지가 되었고, 1931년 시(市)로 승격하였다. 1934년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 지도자인 다닐 예고로비치 술리모프(Даниил Егорович Сулимов, 1890~1937)의 이름을 딴 술리모프(Сулимов, Sulimov)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37년 술리모프가 처형된 이후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예조프(Николай Иванович Ежов, 1895~1940)의 이름을 따라 예조보체르케스크(Ежово-Черкесск, Ejovo-Cherkessk)로 변경되었다. 예조프가 쿠데타 모의 혐의를 받고 체포 당한 1939년에 현재의 체르케스크라는 도시명을 부여 받았다. 1957년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자치주(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의 주도가 되었고, 1991년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자치주가 공화국으로 승격되면서, 체르케스크는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825년 [[러시아]] 제국의 국경 수비를 목적으로 바탈파신스크 요새가 건설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고, 요새명을 따라 바탈파신스크(Баталпашинск, Batalpashinsk)라 불렸다. 이후 카자크인들과의 가죽, 모피 등의 교역을 위해 상인들이 이주해오기 시작했고, 곧 교역과 문화 교류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928년 체르케시야 자치주(Черкес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의 중심지가 되었고, 1931년 시(市)로 승격하였다. 1934년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 지도자인 다닐 예고로비치 술리모프(Даниил Егорович Сулимов, 1890~1937)의 이름을 딴 술리모프(Сулимов, Sulimov)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37년 술리모프가 처형된 이후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예조프(Николай Иванович Ежов, 1895~1940)의 이름을 따라 예조보체르케스크(Ежово-Черкесск, Ejovo-Cherkessk)로 변경되었다. 예조프가 쿠데타 모의 혐의를 받고 체포 당한 1939년에 현재의 체르케스크라는 도시명을 부여 받았다. 1957년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자치주(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의 주도가 되었고, 1991년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자치주가 공화국으로 승격되면서, 체르케스크는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주요 [[산업]]은 화학, 기계, 경공업 등이다. 식품가공, 시멘트, 목재 생산과 캅카스산맥에서 사육하는 양을 이용한 양모 및 육류 생산과 버터, 치즈 등의 유제품 가공도 발달했다. 산맥에 위치한 지리적 한계로 타지역으로의 운송 및 이동을 위한 교통 인프라 구축은 열악한 편이다.
+
주요 [[산업]]은 화학, 기계, 경공업 등이다. 식품가공, 시멘트, 목재 생산과 카프카스 산맥에서 사육하는 양을 이용한 양모 및 육류 생산과 버터, 치즈 등의 유제품 가공도 발달했다. 산맥에 위치한 지리적 한계로 타지역으로의 운송 및 이동을 위한 교통 인프라 구축은 열악한 편이다.
  
 
대표적인 명소로는 1918년 개관한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역사·문화·자연 박물관(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ский историко-культурный и природный музей)과 카라차예프 드라마 극장(Карачаевский драматический театр имени Ш.М.Алиева) 등이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6921&cid=40942&categoryId=34079  체르케스크]〉, 《네이버 지식백과》</ref>
 
대표적인 명소로는 1918년 개관한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역사·문화·자연 박물관(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ский историко-культурный и природный музей)과 카라차예프 드라마 극장(Карачаевский драматический театр имени Ш.М.Алиева) 등이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6921&cid=40942&categoryId=34079  체르케스크]〉, 《네이버 지식백과》</ref>
65번째 줄: 65번째 줄:
 
* [[러시아]]
 
* [[러시아]]
 
* [[북캅카스연방관구]]
 
* [[북캅카스연방관구]]
* [[캅카스산맥]]
 
* [[대캅카스산맥]]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흑해]]
 
* [[흑해]]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