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액터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코액터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코액터스㈜'''(CO:ACTUS)]]
+
[[파일:코액터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코엑터스㈜'''(CO:ACTUS)]]
[[파일:코액터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코액터스㈜'''(CO:ACTUS)]]
+
[[파일:코액터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코엑터스㈜'''(CO:ACTUS)]]
 
[[파일:고요한 M 글자.png|썸네일|300픽셀|'''고요한M 모빌리티''']]
 
[[파일:고요한 M 글자.png|썸네일|300픽셀|'''고요한M 모빌리티''']]
[[파일:송민표 코액터스 대표.jpg|썸네일|200픽셀|송민표 '''코액터스㈜(CO:ACTUS) 대표]]
+
[[파일:송민표 코액터스 대표.jpg|썸네일|200픽셀|송민표 '''코엑터스㈜(CO:ACTUS) 대표]]
  
'''코액터스㈜'''<!--코액터스, 코엑터스-->(CO:ACTUS)는 2018년 4월에 설립된 IT 기반 소셜벤처 스타트업이다. 청각장애인이 운전하는 '고요한택시' 서비스를 출시하고,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고요한 모빌리티' 실증특례를 받아 현재 플랫폼 운송사업 '고요한M'을 운영하고 있다. '고요한M'은 차량호출 플랫폼으로, 의사소통 솔루션 기술을 기반으로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교통약자 이동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 블랙캡 등 특수 차량을 통한 교통 약자 이동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이사는 '''[[송민표]]'''이다.  
+
'''코엑터스㈜'''(CO:ACTUS)는 2018년 4월에 설립된 IT 기반 소셜벤처 스타트업이다. 청각장애인이 운전하는 '고요한택시' 서비스를 출시하고,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고요한 모빌리티' 실증특례를 받아 현재 플랫폼 운송사업 '고요한M'을 운영하고 있다. '고요한M'은 차량호출 플랫폼으로, 의사소통 솔루션 기술을 기반으로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교통약자 이동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 블랙캡 등 특수 차량을 통한 교통 약자 이동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이사는 '''[[송민표]]'''이다.  
  
 
코액터스㈜는 한국 스타트업 최초로 두바이 엑스포 2020의 혁신 및 파트너십 프로그램인 엑스포 라이브(Expo Live)에 선정되며 해외에서도 사회혁신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2022 베스트 브랜드&테크 기업 대상' 동반성장위원장상을 수상했다.
 
코액터스㈜는 한국 스타트업 최초로 두바이 엑스포 2020의 혁신 및 파트너십 프로그램인 엑스포 라이브(Expo Live)에 선정되며 해외에서도 사회혁신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2022 베스트 브랜드&테크 기업 대상' 동반성장위원장상을 수상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청각장애인이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좁고, 특히 서비스업으로 진출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청각장애인들의 일자리 폭을 넓혀주기 위해 '고요한택시'를 개발했다. 청각장애인은 승객과 의사소통이 힘들어 택시 운전기사라는 직업을 선택할 수 없었는데, '고요한택시' 애플리케이션이 이 문제를 해결해준 것이다.  
 
청각장애인이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좁고, 특히 서비스업으로 진출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청각장애인들의 일자리 폭을 넓혀주기 위해 '고요한택시'를 개발했다. 청각장애인은 승객과 의사소통이 힘들어 택시 운전기사라는 직업을 선택할 수 없었는데, '고요한택시' 애플리케이션이 이 문제를 해결해준 것이다.  
  
송민표 대표가 [[청각장애인]]의 일자리 창출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2017년 청각장애인 우버 기사가 승객과 필담을 하고 있는 영상을 보고나서 이다. 미국에는 6,000명의 청각장애인이 우버 기사로 활동하고 있다. 당시 영상 속 기사는 수첩을 꺼내 승객과 소통했지만 송 대표는 이 문제를 태블릿PC로 풀었다.
+
대표가 청각장애인의 일자리 창출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2017년 청각장애인 우버 기사가 승객과 필담을 하고 있는 영상을 보고나서 이다. 미국에는 6,000명의 청각장애인이 우버 기사로 활동하고 있다. 당시 영상 속 기사는 수첩을 꺼내 승객과 소통했지만 송 대표는 이 문제를 태블릿PC로 풀었다.
  
 
송 대표는 무작정 택시회사들을 찾아갔고, 반년 넘게 250곳 중 220곳 이상을 방문했지만 하나같이 반응은 싸늘했다. 하지만 한 회사가 돕겠다고 나섰다. 노력끝에 앱 개발을 마무리했지만, 마지막 단계에서 택시회사가 청각장애인 기사 채용을 거부하며 물거품이 되었다. 그러던 중 청각장애인 기사가 연락이 왔고, 2018년 6월 경주에서 첫 운행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 후로 비즈니스의 지속 가능성을 생각하던 코액터스는 고요한M을 런칭한다. 직접 택시를 구매하고 운전기사를 정규직으로 고용하기 시작했다.
 
송 대표는 무작정 택시회사들을 찾아갔고, 반년 넘게 250곳 중 220곳 이상을 방문했지만 하나같이 반응은 싸늘했다. 하지만 한 회사가 돕겠다고 나섰다. 노력끝에 앱 개발을 마무리했지만, 마지막 단계에서 택시회사가 청각장애인 기사 채용을 거부하며 물거품이 되었다. 그러던 중 청각장애인 기사가 연락이 왔고, 2018년 6월 경주에서 첫 운행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 후로 비즈니스의 지속 가능성을 생각하던 코액터스는 고요한M을 런칭한다. 직접 택시를 구매하고 운전기사를 정규직으로 고용하기 시작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