쿼크체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쿼크체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쿼크체인'''(QuarkChain)]]
+
'''쿼크체인'''<!--쿼크 체인-->(QuarkChain)은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안정성을 보장하는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쿼크체인은 [[작업증명]](PoW)과 [[지분증명]](PoS)을 혼합한 [[지분작업증명]](PoSW; Proof of Staked Work)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ref>조남욱 기자,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306 쿼크체인, 51% 공격을 방지할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 고안]〉, 《데일리그리드》, 2019-01-22</ref> 쿼크체인의 창시자는 중국의 [[저우치]](Zhou Qi)이고, 한국 대표는 [[김우석]](Jonathan Kim)이다. 쿼크체인에 투자한 주요 크립토펀드에는 중국의 [[펜부시디지털]]<!--펜부시 디지털-->, [[제네시스캐피탈]]<!--제네시스 캐피탈-->, [[롄제벤처]](LinkVC) 등과 한국의 [[해시드]](Hashed) 등이 있다.
[[파일:쿼크체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쿼크체인'''(QuarkChain)]]
 
[[파일:조우치 (쿼크체인).jpg|썸네일|200픽셀|'''[[조우치 (쿼크체인)|조우치]]'''(周期, Zhou Qi)]]
 
 
 
'''쿼크체인'''<!--쿼크 체인-->(QuarkChain)은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안정성을 보장하는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쿼크체인은 [[작업증명]](PoW)과 [[지분증명]](PoS)을 혼합한 [[지분작업증명]](PoSW; Proof of Staked Work)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ref>조남욱 기자,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306 쿼크체인, 51% 공격을 방지할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 고안]〉, 《데일리그리드》, 2019-01-22</ref> 쿼크체인의 창시자는 중국의 '''[[조우치 (쿼크체인)|조우치]]'''(Zhou Qi)이고, 한국 대표는 '''[[김우석]]'''(Jonathan Kim)이다. 쿼크체인에 투자한 주요 크립토펀드에는 중국의 [[펜부시디지털]]<!--펜부시 디지털-->, [[제네시스캐피탈]]<!--제네시스 캐피탈-->, [[링크브이씨]](LinkVC) 등과 한국의 [[해시드]](Hashed) 등이 있다.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배너|쿼크체인이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9 행사에 참가합니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쿼크체인(QuarkChain)이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했습니다.}}
 
  
 
== 개요 ==
 
== 개요 ==
[[쿼크체인]]은 수평 확장성 기술인 [[샤딩]](Sharding)을 활용하여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한다. 쿼크체인은 초당 100만건 이상의 속도를 처리할 수 있는 P2P 거래 시스템을 만든다. 쿼크체인은 두 개의 층으로 구분된 블록체인을 사용한다. 첫 번째 층은 샤딩체인(Sharding Chain)이고, 두 번째 층은 루트체인(Root chain)이다. 샤딩체인에서 일어나는 거래들을 루트체인에서 처리를 하는 방식으로 루트 체인 변화 없이 샤드를 유연성 있게 운영할 수 있다. <ref>로버트 , 〈[https://blog.naver.com/soskr/221457114457 쿼크체인(QKC)]〉, 《네이버 블로그》, 2019-02-02</ref>또한 단일된 블록체인이 아닌 분산된 방식을 지원하는 만큼 하위 체인을 이용해 시스템 용량을 늘리고 필요에 따라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해서 네트워크 처리량을 향상 시키고 슈퍼노드를 여러개로 분권화를 함으로써 보안과 속도를 위해 각 노드마다 슈퍼링크로 운영하면서 서브셋의 유효성만으로 검사함으로써 블록체인 전체를 완벽하게 검증할수 있어 비용을 절감 할 수 있고 샤드가 손상되더라도 교차검증을 통해 모든 블록을 검증할 수 있는 구조로 기존의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ref>슈퍼맨, 〈[https://blog.naver.com/theface112/221312309715 쿼크체인(qkc) 코인 쿵쿵따]〉, 《네이버 블로그》, 2018-07-04</ref>  탈중앙화되고, 보안성이 뛰어나며, 확장 가능한 방식으로 샤딩된 상태의 저장과 트랜잭션 처리를 하위한 쿼크체인의 Boson 합의를 바탕으로 한다.
+
[[쿼크체인]]은 수평 확장성 기술인 [[샤딩]](Sharding)을 활용하여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한다. 쿼크체인은 초당 100만건 이상의 속도를 처리할 수 있는 P2P 거래 시스템을 만든다. 쿼크체인은 두 개의 층으로 구분된 블록체인을 사용한다. 첫 번째 층은 샤딩체인(Sharding Chain)이고, 두 번째 층은 루트체인(Root chain)이다. 샤딩체인에서 일어나느 거래들을 루트체인에서 처리를 하는 방식으로 루트 체인 변화 없이 샤드를 유연성 있게 운영할 수 있다. <ref>로버트 , 〈[https://blog.naver.com/soskr/221457114457 쿼크체인(QKC)]〉, 《네이버 블로그》, 2019-02-02</ref>또한 단일된 블록체인이 아닌 분산된 방식을 지원하는 만큼 하위 체인을 이용해 시스템 용량을 늘리고 필요에 따라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해서 네트워크 처리량을 향상 시키고 슈퍼노드를 여러개로 분권화를 함으로써 보안과 속도를 위해 각 노드마다 슈퍼링크로 운영하면서 서브셋의 유효성만으로 검사함으로써 블록체인 전체를 완벽하게 검증할수 있어 비용을 절감 할 수 있고 샤드가 손상되더라도 교차검증을 통해 모든 블록을 검증할 수 있는 구조로 기존의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ref>슈퍼맨, 〈[https://blog.naver.com/theface112/221312309715 쿼크체인(qkc) 코인 쿵쿵따]〉, 《네이버 블로그》, 2018-07-04</ref>  탈중앙화되고, 보안성이 뛰어나며, 확장 가능한 방식으로 샤딩된 상태의 저장과 트랜잭션 처리를 하위한 쿼크체인의 Boson 합의를 바탕으로 한다.  
  
 
== 등장배경 ==
 
== 등장배경 ==
 
[[블록체인]] 업계는 낮은 초당 트랜잭션 처리량(TPS)로 인해 크게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낮은 초당 트랜잭션 처리량은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넓은 잠재력마저도 제한하곤 한다. 쿼크체인은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중앙화된 확장성 향상 기술 중 대부분은 탈 중앙화된 환경에 적합하지 않아서 단순히 기술을 있다고 바로 적용할 수 없다. 블록체인의 핵심가치인 탈 중앙성과 보안성을 유지한 상태로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블록체인에 가장 적합하고, 블록체인에 잘 통합시켜 탈 중앙화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선정해야 한다. 또한 블록체인은 안정성, 탈중앙화, 확장성이라는 세 부분이 모두 중요하지만 동시에 충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안정성이나 프라이버시를 추가하려면 거래 때마다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는 더 낮은 거래 속도와 더 큰 메모리 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블록체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안정성과  탈중앙화를 하나의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확장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ref name=“백서”>[https://quarkchain.io/wp-content/uploads/2018/11/QUARK-CHAIN-Public-Version-CN-0.3.4.pdf  QuarkChainWhitepaper]", ''QuarkChain'', 2018-05-10</ref>
 
[[블록체인]] 업계는 낮은 초당 트랜잭션 처리량(TPS)로 인해 크게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낮은 초당 트랜잭션 처리량은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넓은 잠재력마저도 제한하곤 한다. 쿼크체인은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중앙화된 확장성 향상 기술 중 대부분은 탈 중앙화된 환경에 적합하지 않아서 단순히 기술을 있다고 바로 적용할 수 없다. 블록체인의 핵심가치인 탈 중앙성과 보안성을 유지한 상태로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블록체인에 가장 적합하고, 블록체인에 잘 통합시켜 탈 중앙화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선정해야 한다. 또한 블록체인은 안정성, 탈중앙화, 확장성이라는 세 부분이 모두 중요하지만 동시에 충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안정성이나 프라이버시를 추가하려면 거래 때마다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는 더 낮은 거래 속도와 더 큰 메모리 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블록체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안정성과  탈중앙화를 하나의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확장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ref name=“백서”>[https://quarkchain.io/wp-content/uploads/2018/11/QUARK-CHAIN-Public-Version-CN-0.3.4.pdf  QuarkChainWhitepaper]", ''QuarkChain'', 2018-05-10</ref>
 
+
== 주요 인물 ==
 
[[파일:김우석.jpg|썸네일|200픽셀|'''[[김우석]]'''(Jonathan Kim) 쿼크체인 한국 대표]]
 
 
 
* '''[[조우치 (쿼크체인)|조우치]]''' : 쿼크체인 창시자이다.
 
* '''[[김우석]]''' : 쿼크체인의 한국 대표이다.
 
 
 
 
== 특징 ==
 
== 특징 ==
 
=== 생태계 ===
 
=== 생태계 ===
26번째 줄: 13번째 줄:
  
 
*가치저장
 
*가치저장
암호화된 화폐의 본질은 가치의 저장이며, 이는 QKC의 가장 중요한 속성이다.<ref name=“백서”></ref>  
+
암호화된 화폐의 본질은 가치의 저장이며, 이는 QKC의 가장 중요한 속성입니다.<ref name=“백서”></ref>  
  
 
*거래통화
 
*거래통화
32번째 줄: 19번째 줄:
  
 
*기여장려
 
*기여장려
경제적인 수단을 이용한 긍정적인 피드백은 시스템의 끊임없는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QKC는 인센티브로 배포하여 커뮤니티가 이 시스템에 지속적으로 기여하도록 격려한다. 쿼크체인 네트워크의 사용자와 QKC 소유자는 적극적인 참여 없이 어떠한 QKC 인센티브도 받지 못한다. QKC는 쿼크체인 네트워크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QKC가 없으면 사용자들이 자원을 소비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없어 QKC는 쿼크체인 네트워크의 전체 생태계에 이점을 준다. <ref name=“백서”></ref>
+
경제적인 수단을 이용한 긍정적인 피드백은 시스템의 끊임없는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QKC는 인센티브로 배포하여 커뮤니티가 이 시스템에 지속적으로 기여하도록 격려한다. 쿼크체인 네트워크의 사용자와 QKC 소유자는 적극적인 참여 없이 어떠한 QKC 인센티브도 받지 못한다. QKC는 쿼크체인 네트워크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QKC가 없으면 사용자들이 자원을 소비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없어 QKC는 쿼크체인 네트워크의 전체 생태계에 이점을 준다. <ref name=“백서”></ref>  
  
 
=== 산업발전 ===
 
=== 산업발전 ===
51번째 줄: 38번째 줄:
  
 
=== 기술 핵심 ===
 
=== 기술 핵심 ===
*다중 분할이 가능한 이중 체인 구조: 쿼크체인은 두 개의 블록체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층은 샤딩체인은 거래 에 사용되며, 두 번째 층은 루트 체인으로 분할된 거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뿌리 사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분할된 계층의 분할 수는 동적으로 증가하여 시스템의 전체적인 물동량을 높일 수 있다. 루트 체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샤딩체인은 작동하여 시스템의 전체전인 유동성을 높인다. <ref name=“백서”></ref>  
+
*다중 분할이 가능한 이중 체인 구조: 쿼크체인은 두 개의 블록 체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층은 샤딩체인은 거래 에 사용되며, 두 번째 층은 루트 체인으로 분할된 거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뿌리 사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분할된 계층의 분할 수는 동적으로 증가하여 시스템의 전체적인 물동량을 높일 수 있다. 루트 체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샤딩체인은 작동하여 시스템의 전체전인 유동성을 높인다. <ref name=“백서”></ref>  
  
 
* 협동 [[마이닝]]으로 안전 보장: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쿼크체인은 게임이론의 틀에 기반하여 채굴자들의 작업을 독려하고 연산력을 합리적으로 할당하는 메커니즘을 설계했는데, 그 중 적어도 해시 파워의 50%는 루트체인에 배치하여 가능한 단합을 막는다.<ref name=“백서”></ref>  
 
* 협동 [[마이닝]]으로 안전 보장: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쿼크체인은 게임이론의 틀에 기반하여 채굴자들의 작업을 독려하고 연산력을 합리적으로 할당하는 메커니즘을 설계했는데, 그 중 적어도 해시 파워의 50%는 루트체인에 배치하여 가능한 단합을 막는다.<ref name=“백서”></ref>  
80번째 줄: 67번째 줄:
  
 
==== 체인체인거래 ====
 
==== 체인체인거래 ====
우리의 설계 아키텍처로 체인을 넘나드는 거래가 간편해졌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뿌리 사슬만을 유지보수하기 때문에 다른 블록체인에서의 거래는 어댑터를 통한 대환 전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다음에는 쿼크체인이 크로스오버를 수행하면서 거래하는 것처럼 거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또 다른 체인을 조각으로 수용하여 크로스 링크를 크로스오버로 만드는 것입니다.
+
우리의 설계 아키텍처로 체인을 넘나드는 거래가 간편해졌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뿌리 사슬만을 유지보수하기 때문에 다른 블록 체인에서의 거래는 어댑터를 통한 대환 전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다음에는 쿼크체인이 크로스오버를 수행하면서 거래하는 것처럼 거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또 다른 체인을 조각으로 수용하여 크로스 링크를 크로스오버로 만드는 것입니다.
  
 
이 설계 아키텍처로, 다른 블록체인으로부터 접근 가능해진 크로스체인 거래는 어댑터에 의한 토큰 변환을 통해 토큰을 변환한 다음 쿼크체인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크로스체인 거래처럼 트랜잭션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된다. 또 다른 방법은 다른 체인을 서브체인으로 수용하여 크로스-샤드 거래가 된다.<ref name=“공식 블로그”></ref>   
 
이 설계 아키텍처로, 다른 블록체인으로부터 접근 가능해진 크로스체인 거래는 어댑터에 의한 토큰 변환을 통해 토큰을 변환한 다음 쿼크체인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크로스체인 거래처럼 트랜잭션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된다. 또 다른 방법은 다른 체인을 서브체인으로 수용하여 크로스-샤드 거래가 된다.<ref name=“공식 블로그”></ref>   
134번째 줄: 121번째 줄:
 
*슈퍼맨, 〈[https://blog.naver.com/theface112/221312309715 쿼크체인(qkc) 코인 쿵쿵따]〉, 《네이버 블로그》, 2018-07-04
 
*슈퍼맨, 〈[https://blog.naver.com/theface112/221312309715 쿼크체인(qkc) 코인 쿵쿵따]〉, 《네이버 블로그》, 2018-07-04
 
*조항준 기자, 〈[http://www.etnews.com/20180914000289 쿼크체인, NH투자증권 등 국내 유수 기업과 MOU 체결]〉, 《전자신문》, 2018-09-14
 
*조항준 기자, 〈[http://www.etnews.com/20180914000289 쿼크체인, NH투자증권 등 국내 유수 기업과 MOU 체결]〉, 《전자신문》, 2018-09-14
* 최규현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7193 아이즈 프로토콜, 쿼크 체인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비아이뉴스]]》, 2019-08-09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조우치 (쿼크체인)|조우치]]
+
* [[저우치]]
 
* [[김우석]]
 
* [[김우석]]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로고 필요}}
 +
{{암호화폐 종류|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