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큐텀 로고.png|썸네일|200픽셀|'''큐텀'''(Qtum)]]
+
[[파일:큐텀 로고.png|썸네일|200픽셀|'''큐텀'''(Qtum) 로고]]
[[파일:큐텀 글자.png|썸네일|300픽셀|'''큐텀'''(Qtum)]]
+
[[파일:큐텀 글자.png|썸네일|300픽셀|'''큐텀'''(Qtum) 로고와 글자]]
[[파일:큐바오네트워크 글자.png|썸네일|300픽셀|'''[[큐바오네트워크]]'''(QbaoNetwork) - 큐텀 기반의 [[암호화폐 지갑]]]]
 
  
'''큐텀'''(QTUM) 또는 '''퀀텀'''(Quantum)은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는 [[암호화폐]]이다. 중국어로는 '''리앙즈리앤'''(量子链, 양자련, 량자련, {{발음|liàng zǐ liàn}})이라고 부른다. 큐텀의 창시자는 [[패트릭 다이]](Patrick Dai)이다. 큐텀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분산형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큐텀은 비트코인의 최대 약점인 느린 처리 속도를 보완하여 빠른 전송 속도를 보장하고,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 기능까지 추가하여 다양한 [[디앱]](DApp) 적용이 가능한 플랫폼이다. 큐텀은 [[지분증명]](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스마트 계약 가치 전송 프로토콜에 기반해 있으며, 세계 최초로 암호화폐 [[인공위성]]을 발사하여 큰 관심을 받기도 했다. 큐텀의 화폐 단위는 '''QTUM'''이다. 큐텀재단은 [[싱가포르]]에 있다. 큐텀의 시가총액은 2018년 9월 기준으로 3억 5000천만 달러, 약 3,900억원으로 27위이다.
+
'''큐텀'''(QTUM) 또는 '''퀀텀'''(Quantum)은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는 [[암호화폐]]이다. 중국어로는 [[리앙즈리앤]](量子链, 양자련, 량자련, {{:liàng}} {{:}} {{:liàn}})이라고 부른다. 큐텀의 창시자는 [[패트릭 다이]](Patrick Dai)이다. 큐텀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분산형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큐텀은 비트코인의 최대 약점인 느린 처리 속도를 보완하여 빠른 전송 속도를 보장하고,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 기능까지 추가하여 다양한 [[디앱]](DApp) 적용이 가능한 플랫폼이다. 큐텀은 [[지분증명]](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스마트 계약 가치 전송 프로토콜에 기반해 있으며, 세계 최초로 암호화폐 [[인공위성]]을 발사하여 큰 관심을 받기도 했다. 큐텀의 화폐 단위는 '''QTUM'''이다. 큐텀재단은 [[싱가포르]]에 있다. 큐텀의 시가총액은 2018년 9월 기준으로 3억 5000천만 달러, 약 3,900억원으로 27위이다.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파일:패트릭 다이.jpg|썸네일|200픽셀|'''[[패트릭 다이]]'''(Patrick Dai) 큐텀 창시자]]
 
[[파일:패트릭 다이.jpg|썸네일|200픽셀|'''[[패트릭 다이]]'''(Patrick Dai) 큐텀 창시자]]
[[파일:종원빈.jpg|썸네일|200픽셀|'''[[종원빈]]'''(钟文斌) 큐텀 CTO]]
 
  
 
큐텀 창시자는 [[패트릭 다이]](Patrick Dai)이다. 그는 [[중국과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준비하던 중 [[비트코인]]을 알게 되어 큰 흥미를 느끼고, 2년만에 박사학위를 포기하고 블록체인 산업에 뛰어들었다. [[블록체인]]을 연구하던 와중에 보상 체계가 갖춰진 [[피투피]](P2P) 시스템이라는 혁신적인 개념을 접하게 되면서, 2012년부터 개발자로 전향해 개발에 주력하여, 큐텀을 개발했다.
 
큐텀 창시자는 [[패트릭 다이]](Patrick Dai)이다. 그는 [[중국과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준비하던 중 [[비트코인]]을 알게 되어 큰 흥미를 느끼고, 2년만에 박사학위를 포기하고 블록체인 산업에 뛰어들었다. [[블록체인]]을 연구하던 와중에 보상 체계가 갖춰진 [[피투피]](P2P) 시스템이라는 혁신적인 개념을 접하게 되면서, 2012년부터 개발자로 전향해 개발에 주력하여, 큐텀을 개발했다.
24번째 줄: 22번째 줄:
 
큐텀은 비트코인의 결제 시스템인 UTXO를 사용한다. [[UTXO]]는 Unspent Transaction Outputs의 약자로서 '''미사용 트랜잭션 출력값'''을 말한다. 비트코인은 이더리움의 '계좌 잔고 모델'(Account Balance Model)과 달리 계정이나 잔고가 없고, 블록체인에 기록된 "소비되지 않은 출력값"을 통해 거래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코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ref>비트웹 편집국,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307 퀀텀(QTUM)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장점을 하나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최적!]〉, 《비트웹》, 2018-01-25</ref> 비트코인은 누군가로부터 받은 금액을 UTXO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A와 B로부터 각각 1비트코인과 3비트코인을 받아 총 4비트코인을 갖게 되었으면, 지갑에는 4비트코인이 한꺼번에 묶여 있지 않고 1비트코인, 3비트코인을 각각 UTXO로 저장한다. 다시 UTXO 안에 있는 금액을 송금할 때는 새로운 UTXO을 생성하기 때문에 기존 UTXO는 파기한다. 예를 들어, 4비트코인이 있는 UTXO에서 2비트코인을 타인에게 송금하면 2비트코인을 송금한 UTXO와 남겨진 2비트코인에 대한 UTXO가 새로 생성된다.<ref name="큐텀 백서">Patrick Dai, Neil Mahi, Jordan Earls, Alex Norta, "[https://qtum.org/user/pages/03.tech/01.white-papers/Qtum%20Whitepaper.pdf Smart-Contract Value-Transfer Protocols on a Distributed Mobile Application Platform]", ''Qtum Whitepaper'', Qtum Foundation.</ref>
 
큐텀은 비트코인의 결제 시스템인 UTXO를 사용한다. [[UTXO]]는 Unspent Transaction Outputs의 약자로서 '''미사용 트랜잭션 출력값'''을 말한다. 비트코인은 이더리움의 '계좌 잔고 모델'(Account Balance Model)과 달리 계정이나 잔고가 없고, 블록체인에 기록된 "소비되지 않은 출력값"을 통해 거래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코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ref>비트웹 편집국,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307 퀀텀(QTUM)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장점을 하나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최적!]〉, 《비트웹》, 2018-01-25</ref> 비트코인은 누군가로부터 받은 금액을 UTXO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A와 B로부터 각각 1비트코인과 3비트코인을 받아 총 4비트코인을 갖게 되었으면, 지갑에는 4비트코인이 한꺼번에 묶여 있지 않고 1비트코인, 3비트코인을 각각 UTXO로 저장한다. 다시 UTXO 안에 있는 금액을 송금할 때는 새로운 UTXO을 생성하기 때문에 기존 UTXO는 파기한다. 예를 들어, 4비트코인이 있는 UTXO에서 2비트코인을 타인에게 송금하면 2비트코인을 송금한 UTXO와 남겨진 2비트코인에 대한 UTXO가 새로 생성된다.<ref name="큐텀 백서">Patrick Dai, Neil Mahi, Jordan Earls, Alex Norta, "[https://qtum.org/user/pages/03.tech/01.white-papers/Qtum%20Whitepaper.pdf Smart-Contract Value-Transfer Protocols on a Distributed Mobile Application Platform]", ''Qtum Whitepaper'', Qtum Foundation.</ref>
  
=== x86 가상머신 ===
+
===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
 
[[파일:70.jpg|썸네일|500픽셀|'''큐텀'''의 구조]]
 
[[파일:70.jpg|썸네일|500픽셀|'''큐텀'''의 구조]]
  
40번째 줄: 38번째 줄:
  
 
이를 통해 큐텀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비해 훨씬 높은 차원의 안전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이런 점은 큐텀이 다양한 시장에 적용될 수 있는 빠르고 유연한 블록체인이 되는 기반이 된다. 큐텀의 궁극적인 목표는 비즈니스 친화적인 블록체인을 추구하고, 퍼블릭 블록체인으로서 금융업, 제조업, 모바일 텔레콤 등을 비롯한 여러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큐텀은 모바일을 지원하고, 방대한 양의 [[사물인터넷]](IoT)에 접속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처럼 큐텀은 다양한 분야와 기관이 블록체인과 쉽게 연계될 수 있도록 돕고, 내부의 토큰을 생성해서 공급망의 관리를 자동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큐텀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비해 훨씬 높은 차원의 안전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이런 점은 큐텀이 다양한 시장에 적용될 수 있는 빠르고 유연한 블록체인이 되는 기반이 된다. 큐텀의 궁극적인 목표는 비즈니스 친화적인 블록체인을 추구하고, 퍼블릭 블록체인으로서 금융업, 제조업, 모바일 텔레콤 등을 비롯한 여러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큐텀은 모바일을 지원하고, 방대한 양의 [[사물인터넷]](IoT)에 접속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처럼 큐텀은 다양한 분야와 기관이 블록체인과 쉽게 연계될 수 있도록 돕고, 내부의 토큰을 생성해서 공급망의 관리를 자동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Qtum 개발 팀은 원래 여러 가상 시스템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지만 Ethereum 가상 시스템은 처음 지원되는 가상 시스템으로 현재 AAL 기능은 EVM에 의해 크게 제한되며 Qtum-x86 가상 시스템은 지원하지 않는다. Qtum-x86 가상 시스템의 대용량 메모리와 효율적인 운영 코드 세트를 사용하면 지능형 계약 분석을 위한 완벽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Ethereum 가상 시스템에서는 불가능하다. 미래에는 AI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지원하여 블록체인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여 잠재적인 오라클이되어 스마트 계약이 현재 네트워크 조건에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실행되도록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데이터에는 완전한 트랜잭션 데이터는 물론 노드 통계 (컨센서스 상관 관계)가 포함될 수 있다. 현재 Ethereum 가상 머신은 각 사용자가 32 바이트 키를 사용하여 32 바이트 데이터를 가리키도록한다. 개발자 관리는 특히 스토리지 공간 분할 및 유지 관리 문제를 고려하면 상당히 복잡 할 수 있다. 따라서 Qtum-x86 가상 시스템에서는 일반 계약에 일반 키 - 값 저장소가 추가됩니다. 이렇게하면 사용자는 1 바이트에서부터 더 긴 키를 사용할 수 있고 동일한 길이의 변수 값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현재 Qtum 개발 팀이 제안한 가스 모델은 데이터베이스 읽기 / 쓰기에 대한 고정 요금을 부과 한 다음 실제로 조작 된 바이트 수를 기준으로 해당 단어를 청구한다.
 
  
 
== 큐텀 디앱 ==
 
== 큐텀 디앱 ==
90번째 줄: 86번째 줄:
  
 
== 로드맵 ==
 
== 로드맵 ==
2019년 : 대량거래 처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라이트닝 네트워크 솔루션이 도입된 클라이언트 큐텀 이클레어를 테스트넷에 도입했다. Q4에는 메인넷을 통합하였으며 새로운 비잔티움 op코드를 지원했다.
 
  
 
== 제휴 ==
 
== 제휴 ==
큐텀은 비트코인의 안정적인 블록체인 위에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큐텀의 특징은 계약 개발자가 계약 작업과 관련된 UTXO 변환 세부 사항을 신경 쓸 필요가 없으며, 이더리움 가상머신 기능을 사용하여 기존의 이더리움 스마트 계양을 개발하고 호환을 할 수 있게 만든 AAL,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은 UTXO가 있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기업과 개발자들을 위한 블록체인을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주며 큐텀과 협력을 맺었다. 구글 클라우드는 블록체인 생태계를 보다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만들 수있도록 도움을 받도록 파트너 쉽을 맺었다.
+
큐텀은 비트코인의 안정적인 블록체인 위에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양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큐텀의 특징은 계약 개발자가 계약 작업과 관련된 UTXO 변환 세부 사항을 신경 쓸 필요가 없으며, 이더리움 가상머신 기능을 사용하여 기존의 이더리움 스마트 계양을 개발하고 호환을 할 수 있게 만든 AAL,
  
 
== 전망 및 평가 ==
 
== 전망 및 평가 ==
큐텀은 중국에서 시작된 만큼 중국 내수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 중국 내 큰 회사들도 큐텀을 지원하고 있어서 시장을 어느 정도 확보했다. 무엇보다 큐텀은 스마트 시대에 걸맞게 주로 모바일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큐텀 기술만의 인프라를 통해 글로벌 국가 간 화폐와 많은 데이터 전송을 도와주며 [[인공위성]]을 통해 오지에까지 인터넷을 공급하여 [[블록체인]]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백업을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ref> 이더랩, 〈[https://blog.naver.com/coincokr/221122393180 퀀텀(큐텀)코인 개발자 (패트릭 다이)를 만나다]〉, 《이더랩 공식 블로그》, 2017-10-22</ref> 큐텀은 이더리움을 뛰어넘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인 [[로저 버]](Roger Ver)는 우리 모두가 주시해야 하는 프로젝트 중 하나라며 호평을 하기도 하였다.
+
 
 +
큐텀은 중국에서 시작된 만큼 중국 내수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 중국 내 큰 회사들도 큐텀을 지원하고 있어서 시장을 어느 정도 확보했다. 무엇보다 큐텀은 스마트 시대에 걸맞게 주로 모바일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큐텀 기술만의 인프라를 통해 글로벌 국가 간 화폐와 많은 데이터 전송을 도와주며 [[인공위성]]을 통해 오지에까지 인터넷을 공급하여 [[블록체인]]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백업을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ref> 이더랩, 〈[https://blog.naver.com/coincokr/221122393180 퀀텀(큐텀)코인 개발자 (패트릭 다이)를 만나다]〉, 《이더랩 공식 블로그》, 2017-10-22</ref>
  
 
{{각주}}
 
{{각주}}
112번째 줄: 108번째 줄:
 
* 코인지식, 〈[https://blog.naver.com/bit_issue/221311763700 가상화폐 Qtum 퀀텀 QTUM 코인소개]〉, 《비트 이슈》, 2018-07-03
 
* 코인지식, 〈[https://blog.naver.com/bit_issue/221311763700 가상화폐 Qtum 퀀텀 QTUM 코인소개]〉, 《비트 이슈》, 2018-07-03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26 퀀텀(QTUM)은 무엇인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결합]〉, 《블록센스》, 2018-06-27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26 퀀텀(QTUM)은 무엇인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결합]〉, 《블록센스》, 2018-06-27
* 최규현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9498 블록체인 플랫폼 퀀텀, 풀노드 인센티브로 노드 확보 노린다]〉, 《[[비아이뉴스]]》, 2019-12-08
 
* 이이삭, 〈[https://www.beginstart.co.kr/24 퀀텀(Quantum) 재단이 바라본 2020년 블록체인]〉, 《비긴스타트》, 2020-03-30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패트릭 다이]]
 
* [[패트릭 다이]]
* [[종원빈]]
 
* [[큐바오네트워크]]
 
 
* [[게이트아이오]]
 
* [[게이트아이오]]
 
* [[에너고]]
 
* [[에너고]]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