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당액티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개요==
 
==개요==
크레마뇽은 콘텐츠 창작자([[크리에이터]])를 위한 1인 미디어 마켓 플랫폼으로서, 모든 참여자가 1인 미디어 시장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 공존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수익 실현인데, 수익 실현 없이는 안정된 창작활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크레마뇽은 투자자, 크리에이터, 팬, 참여자 모두를 보호하는 목표로 [[토큰 이코노미]]를 크레당액티브, [[크레당코인]], [[크레당토큰]]의 세 가지 타입의 [[암호화폐]]로 운영하고자 한다.<ref name="시놉시스">크레마뇽 시놉시스 - https://cremanon.io/assets_pc/pdf/cremanon_synopsis.pdf</ref> {{자세히|크레당코인}} {{자세히|크레당토큰}}
+
크레마뇽은 콘텐츠 창작자([[크리에이터]])를 위한 1인 미디어 마켓 플랫폼으로서, 모든 참여자가 1인 미디어 시장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 공존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수익 실현인데, 수익 실현 없이는 안정된 창작활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크레마뇽은 투자자, 크리에이터, 팬, 참여자 모두를 보호하는 목표로 토큰 이코노미를 크레당코인, 크레당토큰, 크레딩액티비티의 세 가지 타입의 암호화폐로 운영하고자 한다.<ref name="시놉시스">크레마뇽 시놉시스 - https://cremanon.io/assets_pc/pdf/cremanon_synopsis.pdf</ref>
  
 
그중 크레당액티브는 콘텐츠 등록 및 콘텐츠 큐레이팅을 하는 경우 생기는 토큰을 말하며, 크레당액티브는 회원들이 업로드 하는 콘텐츠에 대한 보상으로 주어지는 토큰이다. 따라서 회원들이 콘텐츠와 관련된 작업을 하는 경우 활동성에 대한 대가로 크레당액티브가 주어진다. 크리에이터와 팬은 자신이 보유한 크레당액티브를 크레당토큰으로 동결을 요청할 수 있다. 동결을 요청하는 경우, 요청이 있는 날로부터 3일 이내에 동결 처리된다. 동결금액은 50,000CRA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50,000CRA 이상의 금액에 한하며, 1회 동결요청 금액은 자신이 보유한 크레당액티브 중 동결할 수 있는 금액의 50%를 한도로 한다.
 
그중 크레당액티브는 콘텐츠 등록 및 콘텐츠 큐레이팅을 하는 경우 생기는 토큰을 말하며, 크레당액티브는 회원들이 업로드 하는 콘텐츠에 대한 보상으로 주어지는 토큰이다. 따라서 회원들이 콘텐츠와 관련된 작업을 하는 경우 활동성에 대한 대가로 크레당액티브가 주어진다. 크리에이터와 팬은 자신이 보유한 크레당액티브를 크레당토큰으로 동결을 요청할 수 있다. 동결을 요청하는 경우, 요청이 있는 날로부터 3일 이내에 동결 처리된다. 동결금액은 50,000CRA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50,000CRA 이상의 금액에 한하며, 1회 동결요청 금액은 자신이 보유한 크레당액티브 중 동결할 수 있는 금액의 50%를 한도로 한다.
  
크리에이터와 팬은 크레당액티브의 동결요청을 한 후 동결요청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재차 동결요청을 할 수 없다. 크리에이터 또는 팬은 [[법정화폐]]를 크레당토큰으로 구매 후, 구매금액의 100%를 크레당액티브로 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법정화폐 구매금액은 연간 1억 원을 한도로 하고, 매월 1천만 원 한도 및 1회 1천만 원 한도로 크레당토큰을 구매 후 크레당액티브로 활성화 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는 굿즈, 제품 또는 콘텐츠의 구매 비용으로 획득하는 크레당토큰의 100%를 크레당액티브로 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크레당토큰의 활성화 금액은 연간 1억 CRT를 한도로 하고, 매월 1천만 CRT 한도 및 1회 1천만 CRT 한도로 크레당토큰을 크레당액티브로 활성화 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 또는 팬은 자신이 보유한 크레당액티브를 크레당코인으로 응결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율은 CRA : CRC = 1 : 10의 비율로 응결된다. 다만, 응결되는 크레당액티브는 자신이 보유한 크레당액티브의 50%를 초과할 수 없다.<ref name="백서">크레마뇽 백서 - https://cremanon.io/assets_pc/pdf/cremanon_white_paper.pdf</ref>
+
크리에이터와 팬은 크레당액티브의 동결요청을 한 후 동결요청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재차 동결요청을 할 수 없다. 크리에이터 또는 팬은 법정화폐를 크레당토큰으로 구매 후, 구매금액의 100%를 크레당액티브로 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법정화폐 구매금액은 연간 1억 원을 한도로 하고, 매월 1천만 원 한도 및 1회 1천만 원 한도로 크레당토큰을 구매 후 크레당액티브로 활성화 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는 굿즈, 제품 또는 콘텐츠의 구매 비용으로 획득하는 크레당토큰의 100%를 크레당액티브로 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크레당토큰의 활성화 금액은 연간 1억 CRT를 한도로 하고, 매월 1천만 CRT 한도 및 1회 1천만 CRT 한도로 크레당토큰을 크레당액티브로 활성화 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 또는 팬은 자신이 보유한 크레당액티브를 크레당코인으로 응결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율은 CRA : CRC = 1 : 10의 비율로 응결된다. 다만, 응결되는 크레당액티브는 자신이 보유한 크레당액티브의 50%를 초과할 수 없다.<ref name="백서">크레마뇽 백서 - https://cremanon.io/assets_pc/pdf/cremanon_white_paper.pdf</ref>
  
 
==특징==
 
==특징==
16번째 줄: 16번째 줄:
 
[[파일:크레마뇽 생태계.PNG|300픽셀|썸네일|크레마뇽 생태계]]
 
[[파일:크레마뇽 생태계.PNG|300픽셀|썸네일|크레마뇽 생태계]]
  
탈중앙화된 생태계는 바람직한 참여자의 행동을 장려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하며 각 이해관계자의 참여 가치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경쟁 시스템 및 [[거버넌스]]를 통해 유지된다. 크레마뇽 생태계의 참여자는 크리에이터, 팬, 큐레이터 폴리스, 얼라이언스로 분류된다. 각 이해관계자는 각각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기여에 대한 보상을 받는다. 크리에이터와 팬은 생태계 시스템의 주요 참여자로써 크레당토큰을 사용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 및 소비하면서 가치를 창출한다. 크리에이터와 팬은 콘텐츠의 업로드, 상품 구매 및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으로 크레당액티브를 받을 수 있다. 한 개인은 크리에이터와 팬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모든 업종에 걸쳐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으면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고, 또한 다른 크리에이터의 굿즈를 구매하거나 후원을 할 수 있는 팬이 될 수 있다. 큐레이터 폴리스는 일정량 이상의 크레당액티브를 보유한 생태계 정화 조직으로 클린 생태계 운영을 목표로 한다. 크리에이터만이 자격 조건이 있으며, 자발적 또는 관련 분야의 전문 지식이 있는 크리에이터가 운영을 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받는다. 얼라이언스는 크레마뇽에서 분화된 독립 생태계로써 크레마뇽의 크레당코인 기반으로 독립적인 토큰 이코노미를 운영하는 미니 생태계이다. 부모 생태계인 크레마뇽과 함께 [[마스터 노드]]를 구성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크레마뇽 생태계의 발전을 도모한다.
+
탈중앙화된 생태계는 바람직한 참여자의 행동을 장려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하며 각 이해관계자의 참여 가치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경쟁 시스템 및 [[거버넌스]]를 통해 유지된다. 크레마뇽 생태계의 참여자는 크리에이터, 팬, 큐레이터 폴리스, 얼라이언스로 분류된다. 각 이해관계자는 각각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기여에 대한 보상을 받는다. 크리에이터와 팬은 생태계 시스템의 주요 참여자로써 크레당토큰을 사용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 및 소비하면서 가치를 창출한다. 크리에이터와 팬은 콘텐츠의 업로드, 상품 구매 및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으로 크레당액티브를 받을 수 있다. 한 개인은 크리에이터와 팬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모든 업종에 걸쳐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으면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고, 또한 다른 크리에이터의 굿즈를 구매하거나 후원을 할 수 있는 팬이 될 수 있다. 큐레이터 폴리스는 일정량 이상의 크레당액티브를 보유한 생태계 정화 조직으로 클린 생태계 운영을 목표로 한다. 크리에이터만이 자격 조건이 있으며, 자발적 또는 관련 분야의 전문 지식이 있는 크리에이터가 운영을 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받는다. 얼라이언스는 크레마뇽에서 분화된 독립 생태계로써 크레마뇽의 크레당코인 기반으로 독립적인 토큰 이코노미를 운영하는 미니 생태계이다. 부모 생태계인 크레마뇽과 함께 마스터 노드를 구성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크레마뇽 생태계의 발전을 도모한다.
  
 
크레마뇽 위원회는 크레마뇽 생태계의 이해관계자 간에 공정한 경쟁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생태계를 관리한다. 초기 위원회는 크레마뇽 내부에서 구성되며, 이후 참여하는 마스터 노드, 즉 일정량 이상의 크레당코인을 보유한 얼라이언스 또는 투자자로 구성될 것이다. 크레마뇽 위원회는 큐레이터 폴리스와 함께 생태계 내의 정책을 결정할 것이다. 크레마뇽 생태계는 미니 생태계가 모여서 이루어진 연합 생태계 전체를 지칭한다. 마치 그리스의 도시 국가처럼 참여한 얼라이언스의 독립 생태계들이 서로 연결되어 크레당코인이라는 공통 화폐를 [[기축통화]]로 하고 있다. 이는 생태계 자체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토큰 이코노미가 소수 집단에 중앙화되는 것을 막고자 복수의 미니 생태계로 분산시킨 결과이다.
 
크레마뇽 위원회는 크레마뇽 생태계의 이해관계자 간에 공정한 경쟁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생태계를 관리한다. 초기 위원회는 크레마뇽 내부에서 구성되며, 이후 참여하는 마스터 노드, 즉 일정량 이상의 크레당코인을 보유한 얼라이언스 또는 투자자로 구성될 것이다. 크레마뇽 위원회는 큐레이터 폴리스와 함께 생태계 내의 정책을 결정할 것이다. 크레마뇽 생태계는 미니 생태계가 모여서 이루어진 연합 생태계 전체를 지칭한다. 마치 그리스의 도시 국가처럼 참여한 얼라이언스의 독립 생태계들이 서로 연결되어 크레당코인이라는 공통 화폐를 [[기축통화]]로 하고 있다. 이는 생태계 자체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토큰 이코노미가 소수 집단에 중앙화되는 것을 막고자 복수의 미니 생태계로 분산시킨 결과이다.
34번째 줄: 34번째 줄:
  
 
===토큰 이코노미===
 
===토큰 이코노미===
* '''크레마뇽 토큰 발행 이유'''
+
* '''토큰 발행 이유'''
 
[[파일:크레마뇽 토큰 이코노미.PNG|500픽셀|썸네일|크레마뇽 토큰 설계 구조]]
 
[[파일:크레마뇽 토큰 이코노미.PNG|500픽셀|썸네일|크레마뇽 토큰 설계 구조]]
  
42번째 줄: 42번째 줄:
  
 
* '''토큰화의 필요성'''
 
* '''토큰화의 필요성'''
: 크레마뇽은 1인 미디어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크리에이터의 1인 마켓과 크리에이터, 또는 기업과의 협업에 따른 콜라보 마켓으로 이루어진 1인 미디어 마켓 플랫폼이다. 크레마뇽 안에서는 미디어 콘텐츠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저작권]] 및 불법 복제로부터 보호받기 위해서는 많은 팬의 부담 없는 소액 후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크리에이터에 의해 제작된 굿즈와 크리에이터들의 콜라보 제품에 대해 [[피투피]]로 실시간 결제 후 정산 및 분배가 가능해야 한다.
+
: 크레마뇽은 1인 미디어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크리에이터의 1인 마켓과 크리에이터, 또는 기업과의 협업에 따른 콜라보 마켓으로 이루어진 1인 미디어 마켓 플랫폼이다. 크레마뇽 안에서는 미디어 콘텐츠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저작권 및 불법 복제로부터 보호받기 위해서는 많은 팬의 부담 없는 소액 후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크리에이터에 의해 제작된 굿즈와 크리에이터들의 콜라보 제품에 대해 피투피로 실시간 결제 후 정산 및 분배가 가능해야 한다.
  
: 또한 크리에이터의 이름으로 토큰을 발행하여 토큰 [[크라우드 펀딩]]에 의해 일정 요건을 갖춘 어떠한 크리에이터도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 있게 하며, 그로 인한 이익을 참여한 팬들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크레마뇽에서 모든 회원이 실시간 정산을 받을 수 있어야 하고, 회원이 기부와 후원을 한 경우 기부 또는 후원 금액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투명하게 파악을 하기 위해서 [[스마트 계약]] 기반의 [[프로그래밍]]화된 [[토큰화]]가 반드시 필요하다.<ref name="백서"></ref>
+
: 또한 크리에이터의 이름으로 토큰을 발행하여 토큰 [[크라우드 펀딩]]에 의해 일정 요건을 갖춘 어떠한 크리에이터도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 있게 하며, 그로 인한 이익을 참여한 팬들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크레마뇽에서 모든 회원이 실시간 정산을 받을 수 있어야 하고, 회원이 기부와 후원을 한 경우 기부 또는 후원 금액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투명하게 파악을 하기 위해서 스마트 계약 기반의 [[프로그래밍]]화된 [[토큰화]]가 반드시 필요하다.<ref name="백서"></ref>
  
 
* '''토큰의 수혜자'''
 
* '''토큰의 수혜자'''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