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3번째 줄: 73번째 줄:
 
*2021년 8월 19일, [[제주]] 한 공사장에서 일하던 20대 근로자가 고소작업차 크레인에서 떨어진 바구니에 머리와 어깨 등을 맞아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낙하물은 건물 등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쓰이는 고소작업차에 매달린 작업 바구니로 확인됐다. 당시 현장에서는 공사를 마무리하는 자재 정리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고소작업차 운전자가 전주를 연결하던 철근 와이어를 미처 보지 못해 크레인 붐대가 꺾어지며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붐대는 크레인에서 팔 역할을 하는 철골 구조물이다.<ref> 박효주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82010064629735 제주 공사장 20대 근로자…크레인 낙하물 맞고 의식 불명]〉, 《머니투데이》, 2021-08-20 </ref>
 
*2021년 8월 19일, [[제주]] 한 공사장에서 일하던 20대 근로자가 고소작업차 크레인에서 떨어진 바구니에 머리와 어깨 등을 맞아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낙하물은 건물 등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쓰이는 고소작업차에 매달린 작업 바구니로 확인됐다. 당시 현장에서는 공사를 마무리하는 자재 정리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고소작업차 운전자가 전주를 연결하던 철근 와이어를 미처 보지 못해 크레인 붐대가 꺾어지며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붐대는 크레인에서 팔 역할을 하는 철골 구조물이다.<ref> 박효주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82010064629735 제주 공사장 20대 근로자…크레인 낙하물 맞고 의식 불명]〉, 《머니투데이》, 2021-08-20 </ref>
  
 +
== 사건 ==
 +
*
 +
*
 
== 현황 ==
 
== 현황 ==
 
2021년 국내 건설공사 현장의 타워크레인 설치 대수는 전년보다 약 500대 증가한 3,500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1년 기준 최근 5년 내 최고치 설치 대수다. [[국토교통부]]는 타워크레인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 절차 준수와 철저한 장비 관리 및 관리·감독 강화지침을 건설 공사 현장에 지시한다고 2021년 7월 22일 밝혔다.<ref> 조용훈 기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61451 올해 타워크레인 3500대 설치 전망…국토부 "건설현장 안전점검 실시"]〉, 《뉴스토마토》, 2021-07-22 </ref> 2021년 6월 25일, [[중국]] 정저우에서 [[5G]] 타워크레인 원격제어시스템의 시범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줌라이언]](Zoomlion)은 허난 텔레콤(Henan Telecom)의 첨단 5G 기술의 도움을 받아 자사의 무인 타워크레인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원격 및 지능적으로 설치하는 이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지능적인 원격 제어를 지원하며, 이는 높은 고도나 지상에서의 사전 작동을 대체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타워크레인 원격 지능형 호이스팅의 간극을 좁히고, 타워크레인 복원을 도모하며, 건설 방식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며, 개인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노동 강도를 낮췄다. 이 시스템은 네 가지 첨단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전방위 영상 감시 시스템, 타워크레인 후크의 시각화된 지능형 추적 시스템, 디지털 타워크레인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충돌 방지 및 지능형 배치 시스템이다. 줌라이언은 자사의 제품 4.0A 전략을 바탕으로 타워크레인, 크레인, 펌프 트럭과 굴착기에 5G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하고, 자사의 생산 라인과 지능형 공장을 지능적으로 업그레이드했다. 향후 5G 업체들과 끊임없이 협력하며 자사의 디지털 변혁과 업그레이딩에 박차를 가하고, 이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 공장을 건설하며, 자사 제품의 지능적인 업그레이드를 더욱 촉진할 계획이다.<ref> 〈[https://www.hankyung.com/newswire/article/3477567_KO77567_9 Zoomlion, 5G 타워크레인 원격 지능형 제어시스템의 시범 선보여 -- 시스템 적용한 자사의 첫 국제 호이스팅 과제 완료]〉, 《한경닷컴》, 2021-08-18 </ref>
 
2021년 국내 건설공사 현장의 타워크레인 설치 대수는 전년보다 약 500대 증가한 3,500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1년 기준 최근 5년 내 최고치 설치 대수다. [[국토교통부]]는 타워크레인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 절차 준수와 철저한 장비 관리 및 관리·감독 강화지침을 건설 공사 현장에 지시한다고 2021년 7월 22일 밝혔다.<ref> 조용훈 기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061451 올해 타워크레인 3500대 설치 전망…국토부 "건설현장 안전점검 실시"]〉, 《뉴스토마토》, 2021-07-22 </ref> 2021년 6월 25일, [[중국]] 정저우에서 [[5G]] 타워크레인 원격제어시스템의 시범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줌라이언]](Zoomlion)은 허난 텔레콤(Henan Telecom)의 첨단 5G 기술의 도움을 받아 자사의 무인 타워크레인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원격 및 지능적으로 설치하는 이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지능적인 원격 제어를 지원하며, 이는 높은 고도나 지상에서의 사전 작동을 대체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타워크레인 원격 지능형 호이스팅의 간극을 좁히고, 타워크레인 복원을 도모하며, 건설 방식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며, 개인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노동 강도를 낮췄다. 이 시스템은 네 가지 첨단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전방위 영상 감시 시스템, 타워크레인 후크의 시각화된 지능형 추적 시스템, 디지털 타워크레인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충돌 방지 및 지능형 배치 시스템이다. 줌라이언은 자사의 제품 4.0A 전략을 바탕으로 타워크레인, 크레인, 펌프 트럭과 굴착기에 5G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하고, 자사의 생산 라인과 지능형 공장을 지능적으로 업그레이드했다. 향후 5G 업체들과 끊임없이 협력하며 자사의 디지털 변혁과 업그레이딩에 박차를 가하고, 이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 공장을 건설하며, 자사 제품의 지능적인 업그레이드를 더욱 촉진할 계획이다.<ref> 〈[https://www.hankyung.com/newswire/article/3477567_KO77567_9 Zoomlion, 5G 타워크레인 원격 지능형 제어시스템의 시범 선보여 -- 시스템 적용한 자사의 첫 국제 호이스팅 과제 완료]〉, 《한경닷컴》, 2021-08-18 </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