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 왕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크리스 왕.jpg|썸네일|300픽셀|'''크리스 왕'''(Chris Wang)]]
 
[[파일:크리스 왕.jpg|썸네일|300픽셀|'''크리스 왕'''(Chris Wang)]]
[[파일:썬더코어 글자.png|썸네일|300픽셀|'''[[썬더코어]]'''(Thunder Core)]]
+
[[파일:썬더코어 글자.jpg|썸네일|300픽셀|'''[[썬더코어]]'''(Thunder Core)]]
  
'''크리스 왕'''(Chris Wang, 1983년 8월 4일)은 빠른 처리 속도를 구현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썬더코어]]'''(Thunder Core)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그는 1983년 [[대만]]에서 출생했다. 그는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했고,<ref>Flatinum,〈[https://needjarvis.tistory.com/379 썬더코어(ThunderCore)]〉,《티스토리》, 2019-05-11</ref> 22세의 나이로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4세에 소셜게임 회사인 [[플레이덤]](Playdom)을 공동 설립했다. 2010년에 플레이덤을 5억 6,300만 달러에 [[디즈니]](Disney)에 매각했다. 이후 7년 동안 [[알리바바그룹]], [[글래스도어]](Glassdoor), [[엣시]](Etsy) 및 [[플립아트]](Flipkart)와 같은 여러 성공적인 신생 기업에 초기 투자했으며, 2017년 퍼블릭 블록체인 회사 [[썬더코어]]를 설립했다.
+
'''크리스 왕'''(Chris Wang)은 빠른 처리 속도를 구현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썬더코어]]'''(Thunder Core)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CEO인 그는 대만인으로 22살에 [[카네기멜론 대학교]](Carnegie Mellon)에서 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그 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컴퓨터 과학 학사 출신이다.<ref>Flatinum,〈[https://needjarvis.tistory.com/379 썬더코어(ThunderCore)]〉,《티스토리》, 2019-05-11</ref>
  
 
== 학력 ==
 
== 학력 ==
12번째 줄: 12번째 줄:
 
* 2010년 ~ 2012년 : 월트 디즈니, 테크 부사장
 
* 2010년 ~ 2012년 : 월트 디즈니, 테크 부사장
 
* 2018년 01월 ~ 현재 : 썬더코어(ThunderCore) CEO & 창립자
 
* 2018년 01월 ~ 현재 : 썬더코어(ThunderCore) CEO & 창립자
 
== 어린 시절 ==
 
크리스 왕은 [[대만]]에서 태어나 13세에 어머니가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의 객원 연구원으로 초청되었을 때 미국으로 이주했다.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컴퓨터공학 학사학위를 취득했다. 그후 22세의 나이로 2년 10개월이라는 기록으로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미국 전국 대회인 컴퓨팅 올림피아드에서 14위에 오른 적이 있다.
 
 
== 경력 ==
 
크리스 왕은 박사학위를 마치고 미국 [[구글]](Google)에서 일을 시작했다. 구글을 그만둔 후 게임회사 [[플레이덤]](Playdom)을 설립했다. [[페이스북]](Facebook)에서  "시간의 정원"과 [[마이스페이스]](MySpace)의 "몹스터스(Mobsters)"를 4개월 동안 개발하여 소셜게임 개발 기업으로 수익을 올렸다. 플레이덤(Playdom)은 2010년 [[디즈니 인터랙티브]](Disney Interactive)에 5억 6,300만 달러에 인수되었다. [[플레이덤]](Playdom)에 있는 동안 크리스(Chris)는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Bloomberg BusinessWeek)에서 30세 미만 중 최고의 젊은 기술 분야 기업가로 선정되었다. 2017년에는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과 호환되는 차세대 플랫폼인 [[썬더코어]] 개방형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 '''썬더토큰'''<!--썬더 토큰, 썬더코어토큰, 썬더코인, TT-->(Thunder Token)은 빠른 처리 속도를 구현한 [[썬더코어]]<!--썬더 코어-->(Thunder Core)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또는 '''썬더코인'''(Thunder Coin)이라고도 하며 창시자는 중국의 '''[[크리스 왕]]'''(Chris Wang)이다. 썬더토큰의 화폐 단위는 '''TT'''이다.
+
* '''썬더토큰'''<!--썬더 토큰, 썬더코어토큰, 썬더코인, TT-->(Thunder Token)은 빠른 처리 속도를 구현한 [[썬더코어]]<!--썬더 코어-->(Thunder Core)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또는 '''썬더코인'''(Thunder Coin)이라고도 하며 창시자는 중국의 '''[[크리스 왕]]'''(Chris Wang)이다. 썬더토큰의 화폐 단위는 '''TT'''이다.{{자세히|썬더토큰}}
 
* 썬더토큰은 빠른 처리 속도를 구현하는 썬더코어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썬더코인은 [[이더리움]]처럼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으며 확장을 해결하려는 플랫폼과 같이 이더리움과 호환가능하며, 확장성을 해결하고, 빠르고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정성을 경제모델이 아닌 수학기반으로 증명하여 블록체인의 신뢰도를 높였다.<ref>Blockchain Garage, 〈[https://blog.naver.com/sniperngw/221285519575 (NOTE) THUNDER TOKEN ICO]〉, 《네이버 블로그》, 2018-05-27</ref> 썬더코인은 [[슬로우 체인]](Slow Chain)이라는 체인 위에 [[패스트 패스]](Fast Path)를 추가했다. 즉, 문제가 없는 상황에는 패스트 패스 위에서 모든 [[트랜잭션]]이 지체없이 처리되고 패스트 패스가 공격을 받는다면 슬로우 체인에서 잘못된 [[트랜잭션]]이 수정되는 방식이다.<ref>설뱃Sirbat, 〈[https://blog.naver.com/cpaprosong77/221285195716 썬더 토큰(Thunder Token), 이더리움과 호환가능한 고성능 플랫폼]〉, 《네이버 블로그》, 2018-05-27</ref>
 
* 썬더토큰은 빠른 처리 속도를 구현하는 썬더코어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썬더코인은 [[이더리움]]처럼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으며 확장을 해결하려는 플랫폼과 같이 이더리움과 호환가능하며, 확장성을 해결하고, 빠르고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정성을 경제모델이 아닌 수학기반으로 증명하여 블록체인의 신뢰도를 높였다.<ref>Blockchain Garage, 〈[https://blog.naver.com/sniperngw/221285519575 (NOTE) THUNDER TOKEN ICO]〉, 《네이버 블로그》, 2018-05-27</ref> 썬더코인은 [[슬로우 체인]](Slow Chain)이라는 체인 위에 [[패스트 패스]](Fast Path)를 추가했다. 즉, 문제가 없는 상황에는 패스트 패스 위에서 모든 [[트랜잭션]]이 지체없이 처리되고 패스트 패스가 공격을 받는다면 슬로우 체인에서 잘못된 [[트랜잭션]]이 수정되는 방식이다.<ref>설뱃Sirbat, 〈[https://blog.naver.com/cpaprosong77/221285195716 썬더 토큰(Thunder Token), 이더리움과 호환가능한 고성능 플랫폼]〉, 《네이버 블로그》, 2018-05-27</ref>
  
34번째 줄: 28번째 줄:
 
* 2019년 02월 : 썬더코어 메인넷 시범 출시
 
* 2019년 02월 : 썬더코어 메인넷 시범 출시
 
* 2019년 05월 : 썬더코어 전체 노드 공개
 
* 2019년 05월 : 썬더코어 전체 노드 공개
 
== 투자 ==
 
* 2011년 주당 6.75달러에 [[알리바바]](Alibaba)를 인수했다. 3년 후, 회사는 주당 68달러에 [[IPO]]를 했다.
 
* 수백만 개의 급여 보고서, 리뷰 및 CEO 평가가 있는 일자리 및 채용 웹사이트 [[글래스도어닷컴]](Glassdoor.com)에 투자했다.
 
* 실내 가정용 사이클링 머신을 생산하는 실리콘밸리 회사인 [[펠로톤 사이클]](Peloton Cycle)에 투자했다.
 
* 2013년 인도의 [[플립아트]](Flipkart)에 투자했다.
 
* [[샌드박스]](Sandbox)에 투자했다. 샌드박스(Sandbox)는 [[크리에이터]]가 [[블록체인]]에서 복셀 자산과 게임 경험을 [[수익화]]할 수 있는 커뮤니티 중심 플랫폼이다.
 
* [[크립토슬램]](cryptoslam)의 초기 투자자이다.
 
  
 
=== 주요 투자자 ===
 
=== 주요 투자자 ===
크리스 왕이 만든 '[썬더토큰]]'의 주요 투자자는 다음과 같다.
+
* [[해시드]](Hashed) : 해시드는 한국의 대표적인 [[벤처캐피탈]](VC)로 썬더토큰이 포트폴리오에 올라가있다.
* [[해시드]](Hashed) : 해시드는 한국의 대표적인 [[벤처캐피탈]](VC)로 썬더토큰이 포트폴리오에 올라가 있다.
 
 
* [[로캐피탈]](Rocapital) : 로캐피탈은 [[제트캐시]], [[비체인]], [[테조스 시아]], [[이더리움]] 등에 투자한 벤처캐피탈이며 썬더토큰에도 투자를 진행했다.
 
* [[로캐피탈]](Rocapital) : 로캐피탈은 [[제트캐시]], [[비체인]], [[테조스 시아]], [[이더리움]] 등에 투자한 벤처캐피탈이며 썬더토큰에도 투자를 진행했다.
 
* [[DFG 캐피탈]] : DFG 캐피탈은 썬더토큰, [[NKN]], [[퀼크체인]], [[웨이키체인]], [[앵커]](Ankr) 등에 투자한 캐피탈이다.
 
* [[DFG 캐피탈]] : DFG 캐피탈은 썬더토큰, [[NKN]], [[퀼크체인]], [[웨이키체인]], [[앵커]](Ankr) 등에 투자한 캐피탈이다.
64번째 줄: 49번째 줄:
 
* 썬더코어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thundercore.com/
 
* 썬더코어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thundercore.com/
 
* 일레인 쉬 트위터 - https://twitter.com/ElaineRShi
 
* 일레인 쉬 트위터 - https://twitter.com/ElaineRShi
 +
* Flatinum,〈[https://needjarvis.tistory.com/379 썬더코어(ThunderCore)]〉,《티스토리》, 2019-05-11
 +
* 래브리, 〈[https://blog.naver.com/inseo-12/221534531403 썬더코어 CEO가 밝히는 썬더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9-05-10
 +
* ChandanMishra, 〈[https://medium.com/thundercore/thundercore-blockchain-roadmap-aaddb8b3d2ca Introducing the ThunderCore Blockchain Roadmap]〉, 《미디엄》, 2019-05-07
 +
* Blockchain Garage, 〈[https://blog.naver.com/sniperngw/221285519575 (NOTE) THUNDER TOKEN ICO]〉, 《네이버 블로그》, 2018-05-27
 
* 설뱃Sirbat, 〈[https://blog.naver.com/cpaprosong77/221285195716 썬더 토큰(Thunder Token), 이더리움과 호환가능한 고성능 플랫폼]〉, 《네이버 블로그》, 2018-05-27
 
* 설뱃Sirbat, 〈[https://blog.naver.com/cpaprosong77/221285195716 썬더 토큰(Thunder Token), 이더리움과 호환가능한 고성능 플랫폼]〉, 《네이버 블로그》, 2018-05-27
* JB, 〈[https://blog.naver.com/bluechoise/221284985874 thundertoken(썬더토큰)ico review]〉,《네이버 블로그》, 2018-05-27
+
* 달려라 서관장,〈[https://blog.naver.com/kangho1488/221302226155 (썬더토큰)Thunder Token 분석정보]〉,《네이버 블로그》, 2018-06-19
* 달려라 서관장, 〈[https://blog.naver.com/kangho1488/221302226155 (썬더토큰)Thunder Token 분석정보]〉,《네이버 블로그》, 2018-06-19
+
* JB,〈[https://blog.naver.com/bluechoise/221284985874 thundertoken(썬더토큰)ico review]〉,《네이버 블로그》, 2018-05-27
* Flatinum, 〈[https://needjarvis.tistory.com/379 썬더코어(ThunderCore)]〉,《티스토리》, 2019-05-11
 
* ChandanMishra, 〈[https://medium.com/thundercore/thundercore-blockchain-roadmap-aaddb8b3d2ca Introducing the ThunderCore Blockchain Roadmap]〉, 《Midium》, 2019-05-07
 
 
* ppump, 〈[https://blog.naver.com/until3078/221534831434 후오비 프라임 라이트의 첫 번째 프로젝트, 썬더코어토큰(TT) 후오비 코리아 상장]〉, 《네이버 블로그》, 2019-05-11
 
* ppump, 〈[https://blog.naver.com/until3078/221534831434 후오비 프라임 라이트의 첫 번째 프로젝트, 썬더코어토큰(TT) 후오비 코리아 상장]〉, 《네이버 블로그》, 2019-05-11
* 코인니스, 〈[https://kr.investing.com/news/cryptocurrency-news/article-414065 썬더코어, 타이페이시 정부 인터넷 투표 시스템에 기술 통합 완료]〉, 《인베스팅닷컴》, 2020-06-03
+
* Blockchain Garage, 〈[https://blog.naver.com/sniperngw/221277330968 (평점 4.6) THUNDER TOKEN]〉, 《네이버 블로그》, 2018-05-16
* 보도자료,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27958 썬더코어와 후오비 에코체인, 크로스체인 브릿지 출시]〉, 《뉴스와이어》, 2021-07-30
+
* ICOROOTS, 〈[https://blog.naver.com/715fas/221536395573 썬더토큰(ThunderCore), 재단 물량 가격 덤핑 논란]〉, 《네이버 블로그》, 2019-05-13
* 보도자료,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32393 썬더코어, 친환경 재생 에너지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 지원]〉, 《뉴스와이어》, 2021-10-18
+
* 소셜세이브 블록체인, 〈[http://socialsave.net/221301581064 썬더토큰 ICO, 천재 개발자들의 확장선 개선 프로젝트]〉, 《네이버 블로그》, 2018-06-18
* 보도자료, 〈[https://www.tokenpost.kr/article-90937 ThunderCore,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혁신을 Web3로 이끌기 위해 리브랜딩 실시]〉, 《토큰포스트》, 2022-04-21
 
* 이선영 기자, 〈[http://www.coinreaders.com/30459 썬더코어(ThunderCore), 리브랜딩 계획 발표…”혁신적인 웹3.0 이끌어 갈것”]〉, 《코인리더스》, 2022-04-22
 
* 박기오, 〈[https://www.tokenpost.kr/article-91508 (인터뷰) '진정한 퍼블릭 체인, 진정한 가치' 실현할 것]〉, 《토큰포스트》, 2022-04-26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