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릴론곶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파일:크릴론곶.jpg|썸네일|300픽셀|'''크릴론곶''']]
 
[[파일:크릴론곶.jpg|썸네일|300픽셀|'''크릴론곶''']]
  
'''크릴론곶'''<!--크릴론 곶-->(영어: Cape Crillon, 러시아어: Мыс Крильон,  일본어 :西能登呂岬)은 [[러시아]]에서 가장 큰 섬인 [[사할린섬]](영어: Sakhalin Island, 러시아어: Сахалин)남쪽에 있는 곶이다. 곶의 이름은 그것을 발견한 최초의 유럽의 프랑스인 장 프랑수아 드 라 페루(Jean-François de La Pérouse)에 의해 명명되었다.<ref>〈[https://yoda.wiki/wiki/Cape_Crillon 케이프크릴런]〉, 《요다위키》</ref>
+
'''크릴론곶'''<!--크릴론 곶-->(영어: Cape Crillon, 러시아어: Мыс Крильон,  일본어 :西能登呂岬)은 [[러시아]]에서 가장 큰 섬인 [[사할린섬]](영어: Sakhalin Island, 러시아어: Сахалин)남쪽에 있는 곶이다. 곶의 이름은 그것을 발견한 최초의 유럽의 프랑스인 장 프랑수아 드 라 페루(Jean-François de La Pérouse)에 의해 명명되었다.<ref>〈[https://yoda.wiki/wiki/Cape_Crillon 케이프크릴런]〉, 《요다위키》</ref>
  
 
==개요==
 
==개요==
22번째 줄: 22번째 줄:
 
러시아 정부의 전문가 조사와 추정에 따르면, 사할린 터널과 인근 철도의 건설 비용이 20억 달러, 사할린 철도의 개량 비용이 25억 달러, 사할린-홋카이도 터널 자체의 건설 비용이 80억 ~ 100억 달러, 전체 계획에의 투자액은 총 120억 ~ 150억 달러로 추산되었다. 건설에는 7년 가량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다. 러시아 측에서는 푸틴 대통령의 발언 등을 통해 일본과의 화물열차를 통한 물자 수송에 따른 무역 활성화로 사할린주와 러시아 극동의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사할린-홋카이도 터널 계획이 실현될 경우 연간 일본과 유럽 사이에 수송되는 총 컨테이너 개수의 15 ~ 20%를 차지하는 400만 ~ 600만 개의 컨테이너가 수송되고, 일본과 러시아 사이에는 연간 1800만 ~ 2000만 톤의 화물이 수송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수송에서 얻을 수 있는 연간 수익은 30억 ~ 40억 달러로 추산된다. 사할린-홋카이도 터널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바이칼-아무르 철도 인근 지역의 광물, 목재 등 천연자원의 개발과 수출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일본 측에서는 일본 정부나 JR 소속의 홋카이도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 모두 아무런 견해도 표명하지 않고 있으며, 효과 추산 또한 하지 않고 있다.<ref>"[https://en.wikipedia.org/wiki/Sakhalin%E2%80%93Hokkaido_Tunnel Sakhalin–Hokkaido Tunnel]", ''Wikipedia''</ref>
 
러시아 정부의 전문가 조사와 추정에 따르면, 사할린 터널과 인근 철도의 건설 비용이 20억 달러, 사할린 철도의 개량 비용이 25억 달러, 사할린-홋카이도 터널 자체의 건설 비용이 80억 ~ 100억 달러, 전체 계획에의 투자액은 총 120억 ~ 150억 달러로 추산되었다. 건설에는 7년 가량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다. 러시아 측에서는 푸틴 대통령의 발언 등을 통해 일본과의 화물열차를 통한 물자 수송에 따른 무역 활성화로 사할린주와 러시아 극동의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사할린-홋카이도 터널 계획이 실현될 경우 연간 일본과 유럽 사이에 수송되는 총 컨테이너 개수의 15 ~ 20%를 차지하는 400만 ~ 600만 개의 컨테이너가 수송되고, 일본과 러시아 사이에는 연간 1800만 ~ 2000만 톤의 화물이 수송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수송에서 얻을 수 있는 연간 수익은 30억 ~ 40억 달러로 추산된다. 사할린-홋카이도 터널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바이칼-아무르 철도 인근 지역의 광물, 목재 등 천연자원의 개발과 수출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일본 측에서는 일본 정부나 JR 소속의 홋카이도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 모두 아무런 견해도 표명하지 않고 있으며, 효과 추산 또한 하지 않고 있다.<ref>"[https://en.wikipedia.org/wiki/Sakhalin%E2%80%93Hokkaido_Tunnel Sakhalin–Hokkaido Tunnel]", ''Wikipedia''</ref>
  
== 지도 ==
+
==지도==
 
{{지도|크릴론곶}}
 
{{지도|크릴론곶}}
{{다단2
 
|{{라페루즈해협 국가 지도}}
 
|{{홋카이도섬과 남쿠릴열도 국가 지도}}
 
}}
 
 
{{다단2
 
{{다단2
 
|{{사할린섬 행정 지도}}
 
|{{사할린섬 행정 지도}}
61번째 줄: 57번째 줄:
 
* [[홋카이도]]
 
* [[홋카이도]]
 
* [[소야곶]]
 
* [[소야곶]]
* [[라페루즈해협]]
+
* [[라페루즈 해협]]
 
 
{{:북아시아 같이 보기}}
 
  
{{세계의 |검토 필요}}
+
{{세계의 |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