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클라우드'''(cloud)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란 [[데이터]], [[소프트웨어]] 및 다양한 컴퓨터 자원 등을 기존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PC]]나 [[스마트폰]] 같은 하드웨어에 두지 않고, 이것 중 필요한 것들만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클라우드에 저장한 자료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간단히 공유, 조작할 수 있다. 영어로 cloud는 말 그대로 '구름'을 뜻하는데, 세세한 부분이 관찰되지 않는 외부 인터넷 접속 영역의 시스템 [[아키텍처]]로 구름 모양을 이용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사용자는 이 구름 속 시스템의 내부적인 구조를 알지 못하더라도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컴퓨팅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이를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라고도 한다.
 
'''클라우드'''(cloud)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란 [[데이터]], [[소프트웨어]] 및 다양한 컴퓨터 자원 등을 기존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PC]]나 [[스마트폰]] 같은 하드웨어에 두지 않고, 이것 중 필요한 것들만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클라우드에 저장한 자료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간단히 공유, 조작할 수 있다. 영어로 cloud는 말 그대로 '구름'을 뜻하는데, 세세한 부분이 관찰되지 않는 외부 인터넷 접속 영역의 시스템 [[아키텍처]]로 구름 모양을 이용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사용자는 이 구름 속 시스템의 내부적인 구조를 알지 못하더라도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컴퓨팅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이를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라고도 한다.
  
{{:인터넷 배너|호스팅}}
+
== 역사 ==
  
== 역사 ==
 
 
* 1960년대 시분할의 초기 개념이 [[원격작업입력]](RJE; remote job entry)을 통해 대중화되었다. 이런 개념은 [[IBM]]과 [[DEC]]와 같은 대형 업체들과 대부분 연계되었다. 이 시기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은 1965년 미국의 컴퓨터 학자인 [[존 매카시]]가 "컴퓨팅 환경은 공공 시설을 쓰는 것과도 같을 것"이라는 개념을 제시한 데에서 유래하였다.<ref>이휘성, 〈[https://smarterplanetkr.wordpress.com/2010/11/02/%ED%9C%98%EC%84%B1%EC%9D%98-%EC%8A%A4%EB%A7%88%ED%8A%B8%EB%A0%88%ED%84%B0-%ED%81%B4%EB%9D%BC%EC%9A%B0%EB%93%9C-%EC%BB%B4%ED%93%A8%ED%8C%85-%E2%80%93-%EC%86%90%EC%97%90-%EC%9E%A1%ED%9E%88%EB%8A%94/ (이휘성의 똑똑한 세상 이야기) 클라우드 컴퓨팅 – 손에 잡히는 구름 이야기]〉, 《한국 IBM 스마터 플래닛 블로그》, 2010-11-02</ref> 이후 1970년대 초에 멀틱스(GE 하드웨어), 케임브리지 CTSS와 최초 유닉스 포트(DEC 하드웨어)와 같은 플랫폼에서 완전한 시분할 솔루션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1960년대 시분할의 초기 개념이 [[원격작업입력]](RJE; remote job entry)을 통해 대중화되었다. 이런 개념은 [[IBM]]과 [[DEC]]와 같은 대형 업체들과 대부분 연계되었다. 이 시기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은 1965년 미국의 컴퓨터 학자인 [[존 매카시]]가 "컴퓨팅 환경은 공공 시설을 쓰는 것과도 같을 것"이라는 개념을 제시한 데에서 유래하였다.<ref>이휘성, 〈[https://smarterplanetkr.wordpress.com/2010/11/02/%ED%9C%98%EC%84%B1%EC%9D%98-%EC%8A%A4%EB%A7%88%ED%8A%B8%EB%A0%88%ED%84%B0-%ED%81%B4%EB%9D%BC%EC%9A%B0%EB%93%9C-%EC%BB%B4%ED%93%A8%ED%8C%85-%E2%80%93-%EC%86%90%EC%97%90-%EC%9E%A1%ED%9E%88%EB%8A%94/ (이휘성의 똑똑한 세상 이야기) 클라우드 컴퓨팅 – 손에 잡히는 구름 이야기]〉, 《한국 IBM 스마터 플래닛 블로그》, 2010-11-02</ref> 이후 1970년대 초에 멀틱스(GE 하드웨어), 케임브리지 CTSS와 최초 유닉스 포트(DEC 하드웨어)와 같은 플랫폼에서 완전한 시분할 솔루션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30번째 줄: 29번째 줄:
  
 
== 활용 사례 ==
 
== 활용 사례 ==
 +
 +
===G-클라우드===
 +
*'''등장배경'''
 +
G-Cloud에서 G는 Government, Global를 의미하며, 정부통합전산센터 클라우드의 고유명칭이다. G-클라우드란 스마트 전자정부 서비스를 위해 행정기관의 IT자원 수요를 모아 정보자원을 통합하여 일괄구축, 공동활용하고, 필요한 만큼 신속하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는 정보 기술의 트렌드 변화와, 기존 IT 인프라 운용체계의 한계, 참여와 소통 기반의 서비스 환경 다변화,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전자정부 서비스 요구가 증대하면서 등장하게 되었다. <ref>〈[file:///C:/Users/634/Downloads/2017_G-cloud.pdf]〉,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PDF》</ref>
  
 
=== 클라우드 서비스 ===
 
=== 클라우드 서비스 ===
61번째 줄: 64번째 줄:
 
|align=center valign=top|<imagemap>파일:시아코인 로고.png|100픽셀
 
|align=center valign=top|<imagemap>파일:시아코인 로고.png|100픽셀
 
  default [[시아코인]]</imagemap>'''[[시아코인]]'''
 
  default [[시아코인]]</imagemap>'''[[시아코인]]'''
|align=center valign=top|<imagemap>파일:에이콘 (AICON) 로고.png|100픽셀
 
default [[에이콘 (AICON)]]</imagemap>'''[[에이콘 (AICON)]]'''
 
 
|align=center valign=top|<imagemap>파일:유토큰 로고.png|100픽셀
 
|align=center valign=top|<imagemap>파일:유토큰 로고.png|100픽셀
 
  default [[유토큰]]</imagemap>'''[[유토큰]]'''
 
  default [[유토큰]]</imagemap>'''[[유토큰]]'''
78번째 줄: 79번째 줄:
 
* '''[[스토리지코인]]'''(Storjcoin) :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남는 [[하드디스크]] 공간을 활용해 [[파일]]을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는 분산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 '''[[스토리지코인]]'''(Storjcoin) :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남는 [[하드디스크]] 공간을 활용해 [[파일]]을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는 분산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 '''[[시아코인]]'''(Siacoin) :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 '''[[시아코인]]'''(Siacoin) :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 '''[[에이콘 (AICON)]]''' : 블록체인 기술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하여 빅데이터 인공지능 분석을 제공하는 암호화폐이다.
 
 
 
 
* '''[[유토큰]]'''(You Token) : 가정용 소형 데이터 저장장치인 [[유비박스]](Ubbey Box)를 연결하여 만든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 '''[[유토큰]]'''(You Token) : 가정용 소형 데이터 저장장치인 [[유비박스]](Ubbey Box)를 연결하여 만든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 '''[[파일코인]]'''(Filecoin) : [[IPFS]] 기술을 사용하여 탈중앙화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암호화폐이다.
 
* '''[[파일코인]]'''(Filecoin) : [[IPFS]] 기술을 사용하여 탈중앙화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암호화폐이다.
91번째 줄: 89번째 줄:
 
클라우드 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업체로는 아이슬란드에서 채굴장을 운영하는 [[제네시스 마이닝]](Genesis Mining), 영국 스코틀랜드에 있는 [[해시플레어]](HashFlare), 중국 비트메인의 투자를 받은 [[비아비티씨]](ViaBTC), 한국의 [[희망해시]](Hopehash) 등이 있다.
 
클라우드 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업체로는 아이슬란드에서 채굴장을 운영하는 [[제네시스 마이닝]](Genesis Mining), 영국 스코틀랜드에 있는 [[해시플레어]](HashFlare), 중국 비트메인의 투자를 받은 [[비아비티씨]](ViaBTC), 한국의 [[희망해시]](Hopehash) 등이 있다.
  
==관련기업==
+
==해외기업==
===국내기업===
 
* '''[[㈜케이티]]''' : 케이티 클라우드(KT Cloud)는 ㈜케이티가 제공하는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로, 2018년 기준 국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금융 분야에서는 삼성증권㈜, ㈜하나은행, 농협 등이 속해 있고, 의료 분야에서 국립암센터가 있으며, 게임 분야에서는㈜넥슨 등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어 있다. <ref>케이티 클라우드 공식 홈페이지 - https://cloud.kt.com/portal/ktcloudportal.ucloudbiz.customersuccessstories.html#</ref>
 
  
* '''[[네이버㈜]]'''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AVER Cloud Platform)은 네이버㈜가 제공하는 기업용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IaaS]], [[PaaS]], [[SaaS]] 서비스 모두 제공되는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이에 고객 사례는 및 모바일 분야로 네이버, 타다 등, 금융 분야로 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 삼성카드, 한화생명 등 다양한 분야로 사용되고 있다. <ref>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ncloud.com/intro/cases</ref>
+
* '''[[아마존 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닷컴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국내 고객으로는 [[중고나라]]<ref>〈[https://aws.amazon.com/ko/solutions/case-studies/joonggonara/ 아마존 웹 서비스 사례연구-중고나라]〉 ,《아마존 웹서비스》</ref>, [[케이비에스]](KBS)<ref>〈[https://aws.amazon.com/ko/solutions/case-studies/kbs/ 아마존 서비스 사례연구-케이비에스]〉 ,《아마존 웹서비스》</ref> 등이 있다. 해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아마존 웹서비스 사용을 많이 한다. 페이민트는 국내 최초로 아마존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국내 핀테크 기업이다. 또한 카카오 에듀테크 계열사 야나두도 아마존 웹서비스에서 운용하는 동기부여 플랫폼 '유캔두'를 출시한다고 한다.<ref>최진홍 기자,〈[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164 야나두, AWS와 만나다]〉,《이코노믹 리뷰》, 2020-07-02</ref>
  
* '''[[엔에이치엔]]'''(NHN) : 클라우드 플랫폼인 토스트(TOAST)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금융·공공, 일반·교육, [[전자상거래]], 게임 분야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로는 KB금융그룹, 씨제이엔터테이먼트㈜, ㈜위메프, ㈜이엔피게임즈(ENP GAMES) 등이 있다.<ref>〈[https://www.toast.com/kr/customer-stories 토스트 각 분야 별 사례]〉, 《토스트 홈페이지》</ref>
+
* '''[[애저]]'''(Azure)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IaaS와 PaaS를 모두 포함하는 서비스이다. IaaS 시장에서 선두 주자인 아마존 웹 서비스와 경쟁하고 있다. 애저의 국내 고객으로 [[에스에스지닷컴]](SSG.COM)이 있는데, 애저의 PaaS 기반 AI 플랫폼을 구축하여 제공한다.<ref>〈[https://azure.microsoft.com/ko-kr/case-studie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성공 사례]〉,《마이크로소프트 애저》</ref>
  
* '''[[㈜더존비즈온]]'''(Douzone) : 아이큐브클라우드에디션(iCUBE Cloud Edition)은 ㈜더존비즈온 사의 실시간 협업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전사적 자원 관리([[ERP]])클라우드 서비스이다. 2018년 12월 기준 아이큐브클라우드에디션을 도입한 기업의 수는 16,031개이며, 실무자 수는 192,439명이다. 업종별 도입현황 중 서비스, 기타 부문이 많이 차지하고 있다.<ref>DOUZONE 공식 홈페이지 - http://www.douzone.com/product/cloud/cloud04_icube_03</ref>
+
* '''[[알리바바클라우드]]'''(Alibaba Cloud)[[알리바바]](ALIBABA) 자체 전자 상거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아시아 IaaS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동남아, 중동 지역으로 국내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유통할 예정인 [[주식회사 판도로티비]](㈜판도라TV)와, 중국과 한국 여행객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스마트 세금 환급 시스템을 소개한 [[주식회사 어니언텍]] 두 서비스는 알리바바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례가 있다.<ref>지디넷코리아 남혁우 기자,〈[https://zdnet.co.kr/view/?no=20191210174225 알리바바 클라우드, 국내 중소기업 아시아 진출 지원]〉,《지디넷코리아》, 2019-12-10</ref>
  
===해외기업===
+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구글]](Google)과 동일한 인프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이다. 국내서도 사용을 하는데, [[기아자동차㈜]](KIA MOTORS)는 [[구글클라우드]](Google Cloud)[[기아 오너스 매뉴얼 앱]](Owner's Manual App)을 개발한 사례가 있다.<ref>동아닷컴 김민범 기자,〈[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618/101568660/2 기아차, 구글 AI 기반 ‘車 사용설명서 앱’ 개발]〉,《동아닷컴》, 2020-06-19</ref>
* '''[[아마존]]'''(Amazon) : [[아마존 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닷컴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아마존 웹 서비스의 국내 고객으로는 중고나라<ref>최정두 중고나라 CPO, [https://aws.amazon.com/ko/solutions/case-studies/joonggonara/ 중고나라, AWS발판으로 신규 시장 진출 속도 가속]〉, 《아마존 웹서비스》</ref>, 케이비에스(KBS)<ref>KBS 디지털미디어국 선영진 부장, 〈[https://aws.amazon.com/ko/solutions/case-studies/kbs/ AWS 고객사례 : KBS]〉, 《아마존 웹서비스》</ref> 등이 있다. 해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아마존 웹서비스 사용을 많이 한다. 페이민트㈜(Paymint)는 국내 최초로 아마존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국내 [[핀테크]] 기업이다. 또한 ㈜카카오 에듀테크 계열사 야나두도 아마존 웹서비스에서 운용하는 동기부여 플랫폼인 유캔두를 출시했다.<ref>최진홍 기자,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164 야나두, AWS와 만나다]〉, 《이코노믹 리뷰》, 2020-07-02</ref>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애저]](Azure)는 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IaaS와 PaaS를 모두 포함하는 서비스이다. IaaS 시장에서 선두 주자인 아마존 웹 서비스와 경쟁하고 있다. 애저의 국내 고객으로 에스에스지닷컴(SSG.COM)이 있는데, 애저의 PaaS 기반 인공지능 플랫폼을 구축하여 제공한다.<ref>〈[https://azure.microsoft.com/ko-kr/case-studie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성공 사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ref>
+
* '''[[IBM 클라우딩 컴퓨팅]]'''(IBM cloud computing)[[아이비엠]](IBM)이 제공하는 비즈니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다. [[아이비엠 클라우드]](IBM Cloud)의 국내 성공 사례 중 [[삼성에스디에스㈜]](삼성SDS㈜)이 생체인증 솔루션을 아이비엠 클라우드로 개발하여 구현한 사례가 있으며, 아이비엠 클라우드를 통해 SaaS 형태로 [[케롤]](KEROL)을 제공한 [[에스케이 주식회사 씨앤시]](SK 주식회사 C&C)가 있다.<ref>IBM Korea_Cloud,〈[https://www.slideshare.net/JuliaLim3/ibm-cloud-87345807 아이비엠 클라우드 고객 사례집]〉,《슬라이드셰어》 , 2018-02-19</ref>
  
* '''[[알리바바]]'''(Alibaba) : [[알리바바클라우드]](Alibaba Cloud)는 알리바바의 자체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아시아 IaaS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동남아, 중동 지역으로 국내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유통할 예정인 [[㈜판도라TV]], 중국과 한국 여행객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스마트 세금 환급 시스템을 소개한 [[㈜어니언텍]] 두 서비스는 알리바바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례가 있다.<ref>지디넷코리아 남혁우 기자, 〈[https://zdnet.co.kr/view/?no=20191210174225 알리바바 클라우드, 국내 중소기업 아시아 진출 지원]〉, 《지디넷코리아》, 2019-12-10</ref>
+
==국내기업==
 +
* '''[[케이티 클라우드]](KT Cloud)'''[[㈜케이티]](㈜KT)에서 제공하는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로, 2018년 기준 국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금융 분야에서는 [[삼성증권㈜]], [[㈜하나은행]], [[농협]] 등이 속해 있고, 의료 분야에서 국립암센터가 있으며, 게임 분야에서는 [[㈜넥슨]](NEXON) 등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어 있다. <ref>〈[https://cloud.kt.com/portal/ktcloudportal.ucloudbiz.customersuccessstories.html# 케이티 클라우드 각 분야 사례]〉, 《케이티 클라우드》</ref>
 +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AVER Cloud Platform)은 [[네이버㈜]](NAVER㈜)에서 제공하는 기업용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IaaS]], [[PaaS]], [[SaaS]] 서비스 모두 제공되는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이에 고객 사례는 웹 및 모바일 분야로 네이버, [[타다]](TADA)<ref> 〈[https://tadatada.com/ ]〉, 《타다 홈페이지》</ref> 등, 금융 분야로 [[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 [[삼성카드]](SAMSUNGCARD), [[한화생명]] 등 다양한 분야로 사용되고 있다.
  
* '''[[구글]]'''(Google)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은 구글과 동일한 인프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이다. 국내서도 사용을 하는데, [[기아자동차㈜]]는 구글 클라우드와 기아 오너스 매뉴얼 앱(Owner's Manual App)을 개발한 사례가 있다.<ref>김민범 기자,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618/101568660/2 기아차, 구글 AI 기반 ‘車 사용설명서 앱’ 개발]〉, 《동아닷컴》, 2020-06-19</ref>
+
* '''[[토스트]]'''(TOAST)[[엔에이치엔]](NHN)클라우드 플랫폼이다. 이는 금융/공공, 일반/교육, 커머스, 게임 분야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로는 [[KB금융그룹]], [[씨제이엔터테이먼트㈜]](CJ E&M㈜), [[㈜위메프]], [[㈜이엔피게임즈]](ENP GAMES) 등이 있다.<ref>〈[https://www.toast.com/kr/customer-stories 토스트 각 분야 별 사례]〉, 《토스트 홈페이지》</ref>
  
* '''[[아이비엠]]'''(IBM) : [[IBM 클라우딩 컴퓨팅]](IBM cloud computing)은 아이비엠이 제공하는 비즈니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다. 아이비엠 클라우드의 국내 성공 사례 중 [[삼성SDS㈜]]이 생체인증 솔루션을 아이비엠 클라우드로 개발하여 구현한 사례가 있으며, 아이비엠 클라우드를 통해 SaaS 형태로 [[케롤]](Kerol)을 제공한 SK주식회사C&C가 있다.<ref>IBM Korea_Cloud, 〈[https://www.slideshare.net/JuliaLim3/ibm-cloud-87345807 아이비엠 클라우드 고객 사례집]〉, 《슬라이드셰어》, 2018-02-19</ref>
+
* '''[[아이큐브클라우드에디션]]'''(iCUBE Cloud Edition)[[㈜더존비즈온]](DOUZON)사의 실시간 협업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인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2018년 12월 기준 아이큐브 고객의 도입기업 수는 16,031 이며, 실무자 수는 192,439 이다. 업종별 도입현황 중 서비스, 기타 부문이 많이 차지하고 있다.<ref> , 〈[http://www.douzone.com/product/cloud/cloud04_icube_03 아이큐브클라우드에디션 도입현황]〉, 《DOUZONE 홈페이지》</ref>
  
 
== 문제점과 대안 ==
 
== 문제점과 대안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