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벤처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클릭벤처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클릭벤처스'''(Click Ventures)]]
+
[[파일:클릭벤처스 로고와 글자.png|썸네일|300픽셀|'''클릭벤처스'''(Click Ventures)로고와 글자]]
[[파일:클릭벤처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클릭벤처스'''(Click Ventures)]]
+
'''클릭벤처스'''(Click Ventures)는 2015년에 중국 홍콩에 설립된 [[벤처]] 캐피탈 회사이다. 현재 주로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기술분야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다.<ref name="홈">"[https://www.linkedin.com/in/carmanchan/ Carman Chan]", 《领英》 </ref>회사 설립자는 [[카만 챈]](Carman Chan)이다. 그의 중문 이름은 첸하이리(陈海丽, 진해려, Chen haili, {{ 발음|陈海丽}})이다.
 
 
'''클릭벤처스'''(Click Ventures)는 2015년에 중국 홍콩에 설립된 [[벤처캐피탈]] 회사이다. 현재 주로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기술분야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다.<ref name="홈">"[https://www.linkedin.com/in/carmanchan/ Carman Chan]", 《领英》</ref> 회사 설립자는 '''[[천하이리]]'''(陈海丽, Carman Chan)이다.
 
  
 
== 회사 개요 ==
 
== 회사 개요 ==
클릭벤처스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포트폴리오 기업을 지원하는 전략적 투자 기업으로 활동한다.<ref name="홈"></ref> 회사는 소셜 네트워킹, 음악, 연구, 음식, 크라우드 펀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 상거래 산업에 중점을 둔다.<ref> "[https://www.bloomberg.com/profile/person/20175388 Carman Chan, CLICK VENTURES Ltd]", ''Bloomberg Markets''</ref>카만 챈의 경영 하에 클릭벤처스는 전 세계 창업투자의 선두주자로 성장했다. 클릭벤처스 산하 2개의 시드펀드는 국제기관 '프레킨'(Preqin )으로부터 글로벌  Top 5 Performing Seed Fund (Vintage Year 2003-2015) 및 Top 4 Venture Capital Fund to Watch로 선정되었다.<ref>Carman Chan, 〈[https://www.18hall.com/click-ventures%e5%a7%8b%e5%89%b5%e4%ba%bacarman%e5%90%91%e6%8b%be%e6%8d%8c%e5%a0%82%e8%ae%80%e8%80%85%e5%88%86%e4%ba%ab%e5%89%b5%e6%8a%95%e5%bf%83%e5%be%97/ Click Ventures始創人Carman Chan向拾捌堂讀者分享創投心得]〉, 《拾捌堂》, 2018-10-30</ref>
+
클릭벤처스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포트폴리오 기업을 지원하는 전략적 투자 기업으로 활동한다.<ref name="홈">"[https://www.linkedin.com/in/carmanchan/ Carman Chan]", 《领英》 </ref> 회사는 소셜 네트워킹, 음악, 연구, 음식, 크라우드 펀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 상거래 산업에 중점을 둔다.<ref> "[https://www.bloomberg.com/profile/person/20175388 Carman Chan, CLICK VENTURES Ltd]", ''Bloomberg Markets''</ref>카만 챈의 경영 하에 클릭벤처스는 전 세계 창업투자의 선두주자로 성장했다. 클릭벤처스 산하 2개의 시드펀드는 국제기관 '프레킨'(Preqin )으로부터 글로벌  Top 5 Performing Seed Fund (Vintage Year 2003-2015) 및 Top 4 Venture Capital Fund to Watch로 선정되었다.<ref>Carman Chan, 〈[https://www.18hall.com/click-ventures%e5%a7%8b%e5%89%b5%e4%ba%bacarman%e5%90%91%e6%8b%be%e6%8d%8c%e5%a0%82%e8%ae%80%e8%80%85%e5%88%86%e4%ba%ab%e5%89%b5%e6%8a%95%e5%bf%83%e5%be%97/ Click Ventures始創人Carman Chan向拾捌堂讀者分享創投心得]〉, 《拾捌堂》, 2018-10-30</ref>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파일:천하이리.jpg|썸네일|200픽셀|'''[[천하이리]]'''(陈海丽, Carman Chan) 클릭벤처스(Click Ventures) 창시자]]
+
[[파일:카만 챈.jpg|200픽셀|섬네일|오른쪽|클릭벤처스(Click Ventures)의 창시자 '''카만 챈''' ]]
[[파일:레오 치우.jpg|썸네일|200픽셀|'''[[레오 치우]]''' 클릭벤처스(Click Ventures)의 최고기술파트너]]
+
[[파일:레오 치우.jpg|200픽셀|섬네일|오른쪽|클릭벤처스(Click Ventures)의 최고기술파트너 '''레오 치우''' ]]
 
+
* 카만 챈(Carman Chan) - 클릭벤처스 설립자 겸 경영파트너
* 천하이리(陈海丽, Carman Chan) - 클릭벤처스 설립자 겸 경영파트너
+
카만 챈(Carman Chan)[[홍콩과학기술대학]]에서 이론수학 학사 학위, 통계 및 확률학의 석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대학교 시절부터 창업에 대한 꿈을 추구하였다. 카만 챈은 영국의 [[임페리얼 컬리지]](Imperial College)의 박사 장학금을 거절하고 인터넷 창업 기업가 길을 택했다. 카만 챈의 첫 인터넷 창업 사업으로는 Englishstreet.com이다. 이는  
천하이리(Carman Chan)[[홍콩과기대학]]에서 이론수학 학사 학위, 통계 및 확률학의 석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대학교 시절부터 창업에 대한 꿈을 추구하였다. 카만 챈은 영국의 [[임페리얼 칼리지]](Imperial College)의 박사 장학금을 거절하고 인터넷 창업 기업가 길을 택했다. 카만 챈의 첫 인터넷 창업 사업으로는 잉글리시스트리트(Englishstreet.com)이다. 이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의 창업 성공 사례로 소개되기도 했다. 그 이후 Englishstreet.com은 홍콩에서 상장되었고 [[홍콩경제일보]]에 의해 인수되었다.  
+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의 창업 성공 사례로 소개되기도 했다. 그 이후 Englishstreet.com은 홍콩에서 상장되었고 홍콩경제일보에 의해 인수되었다.  
 
 
카만 챈은 다년간의 성공적인 창업, 과학기술 칼럼 작성 및 보상률에 관한 전 세계 선두의 창안 경험을 가진 과학계 베테랑 투자자이다. 런던의 PHD 제안을 포기한 후 세 개의 벤처회사를 만들었다. 두 개의 벤처기업을 매각하고 한 개의 벤처기업을 대만 회사와 합병하여 2013년 말에 [[엔젤투자]](天使投资)회사를 설립하였다. 또한 인터넷에 관한 잡지와 신문에 8년동안 칼럼을 쓰기도 했다. 뇌와 관련된 연구와 학습 기술에 관심이 있고 이러한 주제에 관한 책을 썼으며 베스트셀러 목록에도 올랐다. 지금까지 그녀는 전 세계를 돌며 컨퍼런스에서 연설하는 것 외에 10개국 40여 개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
카만 챈은 다년간의 성공적인 창업, 과학기술 칼럼 작성 및 보상률에 관한 전 세계 선두의 창안 경험을 가진 과학계 베테랑 투자자이다. 런던의 PHD 제안을 포기한 후 세 개의 벤처회사를 만들었다. 두 개의 벤처기업을 매각하고 한 개의 벤처기업을 대만 회사와 합병하여 2013년 말에 [[엔젤투자]](天使投资)회사를 설립하였다. 또한 인터넷에 관한 잡지와 신문에 8년동안 칼럼을 쓰기도 했다. 뇌와 관련된 연구와 학습 기술에 관심이 있고 이러한 주제에 관한 책을 썼으며 베스트셀러 목록에도 올랐다. 지금까지 그녀는 전 세계를 돌며 컨퍼런스에서 연설하는 것 외에 10개국 40여 개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ref>〈[http://wiki.hash.kr/index.php/%EC%B9%B4%EB%A7%8C_%EC%B1%88#.EC.9D.B8.EB.AC.BC.EC.86.8C.EA.B0.9C 카만 챈]〉, 《해시넷》 </ref>
 
* [[레오 치우]](Leo chiu) - 클릭벤처스 최고 기술 파트너
 
* [[레오 치우]](Leo chiu) - 클릭벤처스 최고 기술 파트너
 
레오 치우는 스마트 시티 컨소시엄(Smart City Consortium) 투자위원회 부회장이며 실무전문가이자 기술에 정통한 기업가이다. 홍콩에서 중등 교육을 마친 후 [[스탠포드대학]]에 진학하여 STEM 분야의 전문 분야 중 하나인 경영 과학 및 기술 (일명 운영 연구 및 엔지니어링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후  Morgan Stanley New York 지사에서 일했었으며 스탠포드로 돌아와 [[실리콘 밸리]]에서 STEM 경력을 쌓기도 했다.
 
레오 치우는 스마트 시티 컨소시엄(Smart City Consortium) 투자위원회 부회장이며 실무전문가이자 기술에 정통한 기업가이다. 홍콩에서 중등 교육을 마친 후 [[스탠포드대학]]에 진학하여 STEM 분야의 전문 분야 중 하나인 경영 과학 및 기술 (일명 운영 연구 및 엔지니어링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후  Morgan Stanley New York 지사에서 일했었으며 스탠포드로 돌아와 [[실리콘 밸리]]에서 STEM 경력을 쌓기도 했다.
21번째 줄: 18번째 줄:
 
레오 치우는 빅 데이터/AI 신생 기업 중 핵심 기부자 역할을 하여 IPO 또는 M&A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1억달러 이상의 시장 가치를 평가했다. 현재 블록체인, AI 및 빅 데이터 관련 벤처에 중점을 둔 Spike Ventures (Stanford University Alumni의 벤처 자금)의 벤처 파트너, 어드바이져이다. 한편 그는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한 혁신 기업가, 대중 연설자 및 강사로서 대표적인 미디어를 주제로 하면서 중국 대만 지역의 청소년과 청년들을 지도하고 있다.<ref> "[https://www.weare121.com/121techinvestment-hk/speaker/leo-chiu/ Leo Chiu]", ''121 Tech Investment - Hong Kong'' </ref>
 
레오 치우는 빅 데이터/AI 신생 기업 중 핵심 기부자 역할을 하여 IPO 또는 M&A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1억달러 이상의 시장 가치를 평가했다. 현재 블록체인, AI 및 빅 데이터 관련 벤처에 중점을 둔 Spike Ventures (Stanford University Alumni의 벤처 자금)의 벤처 파트너, 어드바이져이다. 한편 그는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한 혁신 기업가, 대중 연설자 및 강사로서 대표적인 미디어를 주제로 하면서 중국 대만 지역의 청소년과 청년들을 지도하고 있다.<ref> "[https://www.weare121.com/121techinvestment-hk/speaker/leo-chiu/ Leo Chiu]", ''121 Tech Investment - Hong Kong'' </ref>
  
== 투자 상황 ==
+
== 투자상황 ==
홍콩은 근년래 스타트업 기업들이 대거 탄생함에 따라 많은 투자자들이 나타나 쌍방간의 신속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클릭벤처스는 초기 발전단계의 스타트업 기업의 투자를 위주로 한다. 산하에 2개의 [[시드]](Seed)단계의 투자회사가 있고 A라운드 융자금 유치 투자회사 하나가 있다.  
+
홍콩은 근년래 스타트업 기업들이 대거 탄생함에 따라 많은 투자자들이 나타나 쌍방간의 신속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클릭벤처스는 초기 발전단계의 스타트업 기업의 투자를 위주로 한다. 산하에 2개의 [[시드]](Seed)단계의 투자회사가 있고 A라운드 융자금 유치 투자회사 하나가 있다. 클릭벤처스는 주요하게 실리콘 밸리, 뉴욕, 홍콩 등 40여개 기업에 투자를 하였다. 홍콩에 투자한 기업으로는 oddup、Origami Labs、LYNK 및 EventXtra 등이 있다.
 
 
클릭벤처스는 주요하게 실리콘 밸리, 뉴욕, 홍콩 등 40여개 기업에 투자를 하였다. 홍콩에 투자한 기업으로는 oddup、Origami Labs、LYNK 및 EventXtra 등이 있다. 클릭벤처스가 투자한 모든 기업 중 4개의 사례가 실패하였고 나머지는 다 성공을 이룩하였다. 또 최고의 투자보상율이 투자액의 40여배를 도달하기도 했다.
 
  
 
글로벌 최대의 뮤직 서비스 업체인 [[스포티파이]](Spotify)는 클릭벤처스가 투자한 기업의 하나이다. 사용자가 요금을 지불하면 자료실 내의 모든 뮤직을 들을 수 있다. 2018년 9월까지만해도 Spotify는 78개 시장에서 운영을 해왔으며 총 2억명의 사용자, 8,700만명의 요금 지불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ref> Smart ED編輯部, 〈[https://www.edigest.hk/article/91922/%e5%89%b5%e6%a5%ad/%e5%89%b5%e6%a5%ad%e6%b7%98%e9%87%91-%e5%88%9d%e5%89%b5%e4%bc%81%e6%a5%ad-start-up-%e5%89%b5%e6%a5%ad%e6%8a%95%e8%b3%87%e5%9f%ba%e9%87%91-%e8%9e%8d%e8%b3%87-%e7%a8%ae%e5%ad%90-%e6%9c%9f%e6%ac%8a/ 創業投資基金曾獲逾40倍回報 掌舵人教路 Start Up融資秘笈]〉, 《ED经济一周》, 2019-03-01</ref>
 
글로벌 최대의 뮤직 서비스 업체인 [[스포티파이]](Spotify)는 클릭벤처스가 투자한 기업의 하나이다. 사용자가 요금을 지불하면 자료실 내의 모든 뮤직을 들을 수 있다. 2018년 9월까지만해도 Spotify는 78개 시장에서 운영을 해왔으며 총 2억명의 사용자, 8,700만명의 요금 지불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ref> Smart ED編輯部, 〈[https://www.edigest.hk/article/91922/%e5%89%b5%e6%a5%ad/%e5%89%b5%e6%a5%ad%e6%b7%98%e9%87%91-%e5%88%9d%e5%89%b5%e4%bc%81%e6%a5%ad-start-up-%e5%89%b5%e6%a5%ad%e6%8a%95%e8%b3%87%e5%9f%ba%e9%87%91-%e8%9e%8d%e8%b3%87-%e7%a8%ae%e5%ad%90-%e6%9c%9f%e6%ac%8a/ 創業投資基金曾獲逾40倍回報 掌舵人教路 Start Up融資秘笈]〉, 《ED经济一周》, 2019-03-01</ref>
34번째 줄: 29번째 줄:
 
[[체인 2020]](CHAIN 2020)은 2020년 1월 15일 홍콩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블록체인 교육 콘퍼런스이다. 이번 행사는 10,000명 이상의 참가자가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블록체인 교육을 주제로 진행된다. 세계와 아태지역 블록체인 커뮤니티를 연결하고, 블록체인 대중 보급과 블록체인과 사회의 융합발전을 촉진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부능 비즈니스, 과학기술과 사회 부능(赋能)을 추진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체인 2020]](CHAIN 2020)은 2020년 1월 15일 홍콩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블록체인 교육 콘퍼런스이다. 이번 행사는 10,000명 이상의 참가자가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블록체인 교육을 주제로 진행된다. 세계와 아태지역 블록체인 커뮤니티를 연결하고, 블록체인 대중 보급과 블록체인과 사회의 융합발전을 촉진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부능 비즈니스, 과학기술과 사회 부능(赋能)을 추진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체인2020 행사는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조직되어 블록체인 기술 및 암호화폐 사용에 대한 지역 인구의 관심을 끌고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및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진행된다. 이 행사의 주최자는 일련의 회의가 기술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다양한 사회 및 비즈니스 활동 영역으로의 진출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체인2020 행사는 아시아 지역의 블록체인을 홍보하는 일련의 교육 콘퍼런스로, 중국 내 및 글로벌 규모의 핵심 참가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행사 주최자는 아시아의 블록체인 이니셔티브를 옹호하고 비즈니스, 과학, 사회 진보를 위한 기술의 대량 채택을 지원한다. 이번 행사에서 카만 챈은 블록체인 교육에 치중한 '자본과 돈의 미래'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
체인2020 행사는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조직되어 블록체인 기술 및 암호화폐 사용에 대한 지역 인구의 관심을 끌고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및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진행된다. 이 행사의 주최자는 일련의 회의가 기술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다양한 사회 및 비즈니스 활동 영역으로의 진출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
체인2020 행사는 아시아 지역의 블록체인을 홍보하는 일련의 교육 콘퍼런스로, 중국 내 및 글로벌 규모의 핵심 참가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행사 주최자는 아시아의 블록체인 이니셔티브를 옹호하고 비즈니스, 과학, 사회 진보를 위한 기술의 대량 채택을 지원한다. 이번 행사에서 카만 챈은 블록체인 교육에 치중한 '자본과 돈의 미래'라는 주제로 발표했다.<ref>〈[http://wiki.hash.kr/index.php/%EC%B2%B4%EC%9D%B8_2020 체인2020]〉, 《해시넷》 </ref>
  
{{각주}}  
+
{{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51번째 줄: 47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천하이리]]
+
* [[스타트업]]
* [[홍콩과기대학]]
+
* [[벤처]]
 +
* [[카만 챈]]
 +
* [[홍콩과학기술대학]]
 +
* [[임페리얼 컬리지]]
 +
* [[엔젤투자]]
 
* [[레오 치우]]
 
* [[레오 치우]]
 +
* [[스탠포드대학]]
 +
* [[실리콘 밸리]]
 +
* [[시드]]
 
* [[스포티파이]]
 
* [[스포티파이]]
 
* [[체인 2020]]
 
* [[체인 2020]]
  
 +
{{로고 필요}}
 
{{블록체인 투자업체|검토 필요}}
 
{{블록체인 투자업체|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