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클라마칸사막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타클라마칸사막 순환 철도.jpg|썸네일|300픽셀|'''타클라마칸사막 순환 철도''']]
 
[[파일:타클라마칸사막 순환 철도.jpg|썸네일|300픽셀|'''타클라마칸사막 순환 철도''']]
  
'''타클라마칸사막'''<!--타클라마칸 사막-->(위구르어: تەكلىماكان قۇملۇقى, 영어: Taklamakan Desert) 또는 '''타커라마간 사막'''(중국어 간체자: 塔克拉玛干沙漠, {{발음|塔克拉玛干沙漠}} )은 [[중앙아시아]]의 [[사막]]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장위구르자치구]]에 있으며, 이 사막 이름은 위구르어로 "들어가면 나올 수 없다"를 뜻한다. 중국어로는 음차해서 '타커라마간'이라 한다. 남쪽으로는 [[쿤룬산맥]](곤륜산 또는 곤륜산맥), 남서쪽으로는 [[파미르고원]], 서쪽과 북쪽으로는 [[톈산산맥]](천산 또는 천산 산맥)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3%80%ED%81%B4%EB%9D%BC%EB%A7%88%EC%B9%B8_%EC%82%AC%EB%A7%89 타클라마칸 사막]〉, 《위키백과》</ref>
+
'''타클라마칸사막'''(위구르어: تەكلىماكان قۇملۇقى, 영어: Taklamakan Desert) 또는 '''타커라마간 사막'''(중국어 간체자: 塔克拉玛干沙漠, {{발음|塔克拉玛干沙漠}} )은 [[중앙아시아]]의 [[사막]]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으며, 이 사막 이름은 위구르어로 "들어가면 나올 수 없다"를 뜻한다. 중국어로는 음차해서 타커라마간이라 한다. 남쪽으로는 [[쿤룬 산맥]](곤륜산 또는 곤륜산맥), 남서쪽으로는 [[파미르고원]], 서쪽과 북쪽으로는 톈산 산맥(천산 또는 천산 산맥)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3%80%ED%81%B4%EB%9D%BC%EB%A7%88%EC%B9%B8_%EC%82%AC%EB%A7%89 타클라마칸 사막]〉, 《위키백과》</ref>
  
 
==개요==
 
==개요==
타클라마칸사막은 극지방을 제외한 사막 중에서 15번째의 크기이다. 길이는 1,000km, 폭은 400km면적은 33만 7천km²으로, 한반도의 1.5배 규모다. 타클라마칸사막은 신장의 타림분지(塔里木盆地)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중국 최대이며 세계 제2대 유동사막(流动沙漠)으로 북부와 남부 가장자리에 비단길이 있다. 타클라마칸사막(아래 지도에서 오른쪽 가운데에 있는 넓은 지역)은 [[타림분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타클라마칸사막과 [[타림분지]]의 북부에는 [[톈산산맥]]이 있어 이 두 지역의 북쪽 경계를 이루고 있다. 타클라마칸사막의 동쪽에는 비단길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던 둔황이 있다. 남쪽에는 타클라마칸사막의 남쪽 경계를 이루는 [[쿤룬산맥]]이 있으며, 쿤룬산맥의 남쪽에 [[티베트고원]](아래 지도에서 흰색 및 회색으로 나타나는 부분으로 쿤룬산맥은 [[티베트고원]]의 북쪽 경계를 이룬다), 카라코람 산맥, [[히말라야산맥]]이 차례로 있다. 타클라마칸 사막의 남서쪽에는 파미르 고원과 힌두쿠시 산맥이 있다. 이들 지명들 중 카라코람 산맥과 힌두쿠시 산맥은 히말라야산맥의 일부이다. 지도에서 노란색의 선은 실크로드를 나타낸다. 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단길은 타클라마칸사막의 북부 경계를 통해 이어진 북쪽 비단길과 남부 경계를 통해 이어진 남쪽 비단길 두 가지가 있었다. 타클라마칸 사막의 동쪽의 투루판(吐鲁番, 토로번) 분지는 해수면에 비해 154m나 낮아 지구상에서 가장 덥고 낮은 지역 중의 하나이다. 이곳은 거의 비가 내리지 않으며 기온은 연속 40℃내외에 머물기도 한다. 근래에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건설한 타림 사막 고속도로는 남쪽 비단길의 허톈(지도에서 "호탄")과 북쪽 비단길의 룬타이 현(룬타이 현은 지도에서 "쿠를라"라고 표시된 쿠얼러 시의 서쪽과 접한다)을 연결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52126&cid=43792&categoryId=51740 타클라마칸사막]〉, 《네이버 지식백과》</ref>
+
타클라마칸사막은 극지방을 제외한 사막 중에서 15번째의 크기이다. 길이는 1,000km, 폭은 400km면적은 33만 7천km²으로, 한반도의 1.5배 규모다. 타클라마칸사막은 신장의 타림분지(塔里木盆地)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중국 최대이며 세계 제2대 유동사막(流动沙漠)으로 북부와 남부 가장자리에 비단길이 있다. 타클라마칸사막(아래 지도에서 오른쪽 가운데에 있는 넓은 지역)은 타림 분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타클라마칸사막과 타림 분지의 북부에는 톈산 산맥이 있어 이 두 지역의 북쪽 경계를 이루고 있다. 타클라마칸사막의 동쪽에는 비단길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던 둔황이 있다. 남쪽에는 타클라마칸사막의 남쪽 경계를 이루는 쿤룬 산맥이 있으며, 쿤룬 산맥의 남쪽에 [[티베트 고원]](아래 지도에서 흰색 및 회색으로 나타나는 부분으로 쿤룬 산맥은 티베트 고원의 북쪽 경계를 이룬다), 카라코람 산맥, [[히말라야 산맥]]이 차례로 있다. 타클라마칸 사막의 남서쪽에는 파미르 고원과 힌두쿠시 산맥이 있다. 이들 지명들 중 카라코람 산맥과 힌두쿠시 산맥은 히말라야 산맥의 일부이다. 지도에서 노란색의 선은 실크로드를 나타낸다. 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단길은 타클라마칸사막의 북부 경계를 통해 이어진 북쪽 비단길과 남부 경계를 통해 이어진 남쪽 비단길 두 가지가 있었다. 타클라마칸 사막의 동쪽의 투루판(吐鲁番, 토로번) 분지는 해수면에 비해 154m나 낮아 지구상에서 가장 덥고 낮은 지역 중의 하나이다. 이곳은 거의 비가 내리지 않으며 기온은 연속 40℃내외에 머물기도 한다. 근래에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건설한 타림 사막 고속도로는 남쪽 비단길의 허톈(지도에서 "호탄")과 북쪽 비단길의 룬타이 현(룬타이 현은 지도에서 "쿠를라"라고 표시된 쿠얼러 시의 서쪽과 접한다)을 연결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52126&cid=43792&categoryId=51740 타클라마칸사막]〉, 《네이버 지식백과》</ref>
 +
[[파일:타클라마칸사막은 지도의 오른쪽 가운데에 있는 넓은 지역이다.jpg|썸네일|800픽셀|가운데|타클라마칸사막은 지도의 오른쪽 가운데에 있는 넓은 지역이다.]]
  
 
==기후==
 
==기후==
14번째 줄: 15번째 줄:
  
 
==실크로드==
 
==실크로드==
지금은 허허벌판이지만 과거에는 실크로드를 잇는 동서 간 교통로의 중심지였기에 수많은 크고 작은 도시국가와 군소왕국들이 사막위에 군림하였다. 실크로드는 크게 5가지 루트가 있고 북부 초원을 가르지르는 길과 인도를 거쳐 가는 바닷길을 제외한 육로는 3개가 남는데, 그 중 텐샨 산맥 북부를 거쳐가는 길(턘샨 북로)을 제외하면 나머지 2개의 루트가 이 타클라마칸사막(타림분지)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오아시스]] 도시들을 선으로 잇는 길이다. 특히 상술한 톈샨 남로와 쿤룬 북로는 한-당 시대 1천 년을 넘는 기간 동안 동서 문명의 결절점 역할을 했기 때문에 교역의 중심에서 번영을 누리기도 하였으나 이후 해양 교역로가 발달하면서 동서 교통로가 단절되어 가면서 서서히 몰락하였다. 때론 중국, 때론 유목민, 때로는 [[아랍]], 때로는 티베트의 영향을 받으며 수많은 문화가 융화된 곳이기도 하며, 폐허뿐인 여러 유적들이 과거의 영광을 뒤로 하고 버려져 있다.
+
지금은 허허벌판이지만 과거에는 실크로드를 잇는 동서 간 교통로의 중심지였기에 수많은 크고 작은 도시국가와 군소왕국들이 사막위에 군림하였다. 실크로드는 크게 5가지 루트가 있고 북부 초원을 가르지르는 길과 인도를 거쳐 가는 바닷길을 제외한 육로는 3개가 남는데, 그 중 텐샨 산맥 북부를 거쳐가는 길(턘샨 북로)을 제외하면 나머지 2개의 루트가 이 타클라마칸 사막(타림 분지)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오아시스 도시들을 선으로 잇는 길이다. 특히 상술한 톈샨 남로와 쿤룬 북로는 한-당 시대 1천 년을 넘는 기간 동안 동서 문명의 결절점 역할을 했기 때문에 교역의 중심에서 번영을 누리기도 하였으나 이후 해양 교역로가 발달하면서 동서 교통로가 단절되어 가면서 서서히 몰락하였다. 때론 중국, 때론 유목민, 때로는 [[아랍]], 때로는 티베트의 영향을 받으며 수많은 문화가 융화된 곳이기도 하며, 폐허뿐인 여러 유적들이 과거의 영광을 뒤로 하고 버려져 있다.
  
 
사막화되면서 실크로드 문명이 소멸했는데, 마르코 폴로가 이곳을 지나면서 동방견문록에 현재 기준에서 보면 허황되어 보이기까지 하는 설을 많이 풀었고, 이 때문에 중세부터 이곳은 서양에 신비감을 불러일으켰다. 서구의 학자들이 큰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바닷속에 빠져버린 아틀란티스처럼 실크로드 문명들은 불어오는 모래바람과 함께 순식간에 소멸 되었다라고 묘사되었으며, 이는 탐험가들과 역사학자들을 고무시켰다. 18~19세기는 사실상 지구의 고봉들과 양 극지방이 인간에게 완전히 정복당한 때였고 아직 신비에 싸여 있는 타클라마칸은 이러한 탐험가들과 역사학자들에게 매력적인 탐험지였다. 수많은 탐험대가 모래 속에 묻혀있을 고대도시와 유물들을 바라고 이 지역을 방문했고 측량을 하고 탐사작업을 벌였다. 가장 유명한 사람이 스웨덴 탐험가 스벤 헤딘(1865-1952)이다.
 
사막화되면서 실크로드 문명이 소멸했는데, 마르코 폴로가 이곳을 지나면서 동방견문록에 현재 기준에서 보면 허황되어 보이기까지 하는 설을 많이 풀었고, 이 때문에 중세부터 이곳은 서양에 신비감을 불러일으켰다. 서구의 학자들이 큰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바닷속에 빠져버린 아틀란티스처럼 실크로드 문명들은 불어오는 모래바람과 함께 순식간에 소멸 되었다라고 묘사되었으며, 이는 탐험가들과 역사학자들을 고무시켰다. 18~19세기는 사실상 지구의 고봉들과 양 극지방이 인간에게 완전히 정복당한 때였고 아직 신비에 싸여 있는 타클라마칸은 이러한 탐험가들과 역사학자들에게 매력적인 탐험지였다. 수많은 탐험대가 모래 속에 묻혀있을 고대도시와 유물들을 바라고 이 지역을 방문했고 측량을 하고 탐사작업을 벌였다. 가장 유명한 사람이 스웨덴 탐험가 스벤 헤딘(1865-1952)이다.
28번째 줄: 29번째 줄:
 
* 2022년 6월 16일부터 중국이 세계 최초로 사막 순환 [[철도]]를 완성해 운영에 들어간다. 중국은 낙후지역의 개발과 민족적 단결, 국방력 강화가 기대된다고 밝혔지만, 다량의 물류·문화 유입에 따른 신장(新疆) 지역의 한족화(漢化)도 가속화할 전망이다. 관영 신화(新華)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신장위구르 자치구 허톈(和田)시와 뤄창(若羌)시를 잇는 825㎞ 구간의 순환 노선이 이날 완공, 운영된다. 22개 역을 순회하는 이 노선의 개통으로 신장 지역은 타클라마칸사막을 둘러싸고 총연장 2712㎞의 사막 순환 철도가 완성됐다고 중국 당국은 전했다. 중국 국가철로국은 사막 지역을 순환하는 철도는 전 세계에서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특히 허톈∼뤄창 철도 구간의 65%인 534㎞가 강한 모래바람이 부는 전형적인 사막 지역을 통과한다.<ref>박준우 특파원,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061601031239274001 세계 첫 사막순환 철도 中, 타클라마칸서 개통]〉, 《문화일보》, 2022-06-16</ref>
 
* 2022년 6월 16일부터 중국이 세계 최초로 사막 순환 [[철도]]를 완성해 운영에 들어간다. 중국은 낙후지역의 개발과 민족적 단결, 국방력 강화가 기대된다고 밝혔지만, 다량의 물류·문화 유입에 따른 신장(新疆) 지역의 한족화(漢化)도 가속화할 전망이다. 관영 신화(新華)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신장위구르 자치구 허톈(和田)시와 뤄창(若羌)시를 잇는 825㎞ 구간의 순환 노선이 이날 완공, 운영된다. 22개 역을 순회하는 이 노선의 개통으로 신장 지역은 타클라마칸사막을 둘러싸고 총연장 2712㎞의 사막 순환 철도가 완성됐다고 중국 당국은 전했다. 중국 국가철로국은 사막 지역을 순환하는 철도는 전 세계에서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특히 허톈∼뤄창 철도 구간의 65%인 534㎞가 강한 모래바람이 부는 전형적인 사막 지역을 통과한다.<ref>박준우 특파원,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061601031239274001 세계 첫 사막순환 철도 中, 타클라마칸서 개통]〉, 《문화일보》, 2022-06-16</ref>
  
* 2022년 6월 4일 중국에서 가장 큰 사막이며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유동사막(모래가 움직이는 사막)인 타클라마칸 사막을 가로지르는 타림사막 도로(전체 길이 522㎞)가 제로탄소 도로로 탈바꿈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지난 보도했다. 사막도로를 관장하는 페트로차이나 타림(Tarim)유전기지에 따르면 도로 옆 446㎞ 방풍림을 유지하기 위해 파야 했던 109개 우물 가운데 88개 우물 펌프를 경유로 가동하던 것을 태양광 에너지로 바꾸기로 하고 2022년 연초 공사에 착공해 2일 완공했다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 페트로 차이나는 이번 공사 완공으로 연간 경유 소비 1000t, 이산화탄소 배출 3410t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사막 도로가 제로탄소 도로로 탈바꿈한 것은 2030년 탄소피크, 206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모범 사례라고 설명했다. 타클라마칸 사막은 동서가 1000㎞, 남북이 400㎞인 중국 최대 사막으로, 사막을 관통하는 타림사막도로는 1995년 완공했다. 사막도로 완공으로 [[신장위구르자치구]] 수도인 [[우루무치]]에서 [[호탄]]까지 거리를 500㎞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모래가 도로를 덮는 것을 막기 위해 방풍림을 심었고, 이것을 유지하기 위해 다시 도로 주변에 우물을 파야 했다고 신화통신은 설명했다.<ref>홍인표 기자, 〈[http://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676 중국 타클라마칸 사막 횡단 타림사막도로, 제로탄소 도로로 탈바꿈]〉, 《초이스경제》, 2022-06-05</ref>
+
* 2022년 6월 4일 중국에서 가장 큰 사막이며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유동사막(모래가 움직이는 사막)인 타클라마칸 사막을 가로지르는 타림사막 도로(전체 길이 522㎞)가 제로탄소 도로로 탈바꿈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지난 보도했다. 사막도로를 관장하는 페트로차이나 타림(Tarim)유전기지에 따르면 도로 옆 446㎞ 방풍림을 유지하기 위해 파야 했던 109개 우물 가운데 88개 우물 펌프를 경유로 가동하던 것을 태양광 에너지로 바꾸기로 하고 2022년 연초 공사에 착공해 2일 완공했다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 페트로 차이나는 이번 공사 완공으로 연간 경유 소비 1000t, 이산화탄소 배출 3410t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사막 도로가 제로탄소 도로로 탈바꿈한 것은 2030년 탄소피크, 206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모범 사례라고 설명했다. 타클라마칸 사막은 동서가 1000㎞, 남북이 400㎞인 중국 최대 사막으로, 사막을 관통하는 타림사막도로는 1995년 완공했다. 사막도로 완공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수도인 우루무치에서 호탄까지 거리를 500㎞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모래가 도로를 덮는 것을 막기 위해 방풍림을 심었고, 이것을 유지하기 위해 다시 도로 주변에 우물을 파야 했다고 신화통신은 설명했다.<ref>홍인표 기자, 〈[http://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676 중국 타클라마칸 사막 횡단 타림사막도로, 제로탄소 도로로 탈바꿈]〉, 《초이스경제》, 2022-06-05</ref>
  
== 지도 ==
+
==지도==
[[파일:타클라마칸사막은 지도의 오른쪽 가운데에 있는 넓은 지역이다.jpg|썸네일|800픽셀|가운데|타클라마칸사막은 지도의 오른쪽 가운데에 있는 넓은 지역이다.]]
 
{{타클라마칸사막 행정 지도|800}}
 
 
{{지도|타클라마칸사막}}
 
{{지도|타클라마칸사막}}
{{다단2
 
|{{파미르고원 주변 산맥 지도}}
 
|{{신장위구르자치구 행정 지도}}
 
}}
 
{{다단2
 
|{{중국 행정 지도}}
 
|{{동아시아 국가 지도}}
 
}}
 
  
 
==동영상==
 
==동영상==
59번째 줄: 50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중앙아시아]]
+
* [[가공]]
* [[사막]]
 
* [[중화인민공화국]]
 
* [[신장위구르자치구]]
 
* [[쿤룬산맥]]
 
* [[파미르고원]]
 
* [[티베트고원]]
 
* [[히말라야산맥]]
 
* [[시베리아]]
 
* [[아랍]]
 
* [[모래]]
 
* [[유럽]]
 
* [[독일]]
 
* [[CCTV]]
 
* [[KBS]]
 
 
 
{{:동아시아 같이 보기}}
 
  
 
{{세계지리|검토 필요}}
 
{{세계지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