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넷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0번째 줄: 20번째 줄:
 
플랫폼 내 토큰인 YEED가 없어도 테스트넷을 이용할 수 있다. 테스트넷 유저들에게 테스트 YEED를 부여해 실제 YEED가 없는 상태에서도 트랜잭션 발생이 가능하다. YEED 없이 트랜잭션을 진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며, 이를 스마트 컨트랙트로 진행되도록 한다. 거래소에서 실제 YEED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서비스의 이용자는 테스트넷을 사용하기 위해 수수료를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유저가 스스로 거버넌스를 만들 수 있다. 이 점은 블록체인의 독립성을 보장한다. 거버넌스의 독립은 상위 체인에 종속되지 않고 자신만의 독립적인 네트워크와 데이터 등을 보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이그드라시의 위임권한증명(DPoA) 정신을 실현하는 기반이 된다. 자신이 원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자신만의 블록체인을 구상할 수 있다는 의미다.
 
플랫폼 내 토큰인 YEED가 없어도 테스트넷을 이용할 수 있다. 테스트넷 유저들에게 테스트 YEED를 부여해 실제 YEED가 없는 상태에서도 트랜잭션 발생이 가능하다. YEED 없이 트랜잭션을 진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며, 이를 스마트 컨트랙트로 진행되도록 한다. 거래소에서 실제 YEED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서비스의 이용자는 테스트넷을 사용하기 위해 수수료를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유저가 스스로 거버넌스를 만들 수 있다. 이 점은 블록체인의 독립성을 보장한다. 거버넌스의 독립은 상위 체인에 종속되지 않고 자신만의 독립적인 네트워크와 데이터 등을 보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이그드라시의 위임권한증명(DPoA) 정신을 실현하는 기반이 된다. 자신이 원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자신만의 블록체인을 구상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그드라시 테스트넷은 자바 언어를 사용한다. 자바는 라이브러리가 풍부해 다양한 사례를 참고할 수 있고, 풍부한 개발을 가능하도록 한다. 디버깅도 가능하다. 프로그램을 바로 돌려보며 수정하며 더욱 정교한 블록체인을 만들 수 있다. 물론 복잡한 연산도 가능하다.
 
이그드라시 테스트넷은 자바 언어를 사용한다. 자바는 라이브러리가 풍부해 다양한 사례를 참고할 수 있고, 풍부한 개발을 가능하도록 한다. 디버깅도 가능하다. 프로그램을 바로 돌려보며 수정하며 더욱 정교한 블록체인을 만들 수 있다. 물론 복잡한 연산도 가능하다.
테스트넷의 프록시 구조는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트랜잭션을 받아 밸리데이터 노드에게 전파하는 원리에 따른다. 요청에 대해 원격 서버에 접속해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다. 불필요하게 외부와의 연결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병목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프록시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서버상의 자원을 찾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중계하는 서버를 말한다.<ref> 심두보 기자, 〈[https://decenter.kr/NewsView/1VLNIIE1X3/GZ03 이그드라시 테스트넷 특징 ]〉, 《디센터》, 2019-07-11</ref>
+
테스트넷의 프록시 구조는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트랜잭션을 받아 밸리데이터 노드에게 전파하는 원리에 따른다. 요청에 대해 원격 서버에 접속해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다. 불필요하게 외부와의 연결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병목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프록시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서버상의 자원을 찾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중계하는 서버를 말한다.<ref> 심두보 기자, 〈[https://decenter.kr/NewsView/1VLNIIE1X3/GZ03 이그드라시 테스트넷 특징 ]〉, 2019-07-11, 《디센터》</ref>
  
 
===클레이튼 테스트넷===
 
===클레이튼 테스트넷===
블록체인 계정의 이용자 편의성을 강화했다는 점이다. 그라운드X 측은 “일반적인 블록체인 계정은 난수화된 긴 문자열로 이뤄져 있어 이용자가 기억하기 어려웠다”며 “클레이튼은 이용자가 이메일 주소나 아이디와 같이 익숙한 형태로 계정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처리속도와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거래 타입(Transaction Types)’과 ‘서비스 체인(Service Chain)’ 기능을 더한 것도 특징이다. 그라운드X 측 설명에 따르면 거래 타입은 획일적 처리로 인해 느렸던 기존 블록체인 거래 연산을 효과적으로 병렬화하기 위한 기능이다.<ref>정인선 기자, 〈[https://www.coindeskkorea.com/%EA%B7%B8%EB%9D%BC%EC%9A%B4%EB%93%9Cx%EA%B0%80-%ED%81%B4%EB%A0%88%EC%9D%B4%ED%8A%BC-%ED%8D%BC%EB%B8%94%EB%A6%AD-%ED%85%8C%EC%8A%A4%ED%8A%B8%EB%84%B7%EC%9D%84-%EA%B3%B5%EA%B0%9C%ED%96%88%EB%8B%A4/ 클레이튼 테스트넷 특징]〉, 《코인데스크코리아》, 2019-03-29</ref>
+
블록체인 계정의 이용자 편의성을 강화했다는 점이다. 그라운드X 측은 “일반적인 블록체인 계정은 난수화된 긴 문자열로 이뤄져 있어 이용자가 기억하기 어려웠다”며 “클레이튼은 이용자가 이메일 주소나 아이디와 같이 익숙한 형태로 계정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처리속도와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거래 타입(Transaction Types)’과 ‘서비스 체인(Service Chain)’ 기능을 더한 것도 특징이다. 그라운드X 측 설명에 따르면 거래 타입은 획일적 처리로 인해 느렸던 기존 블록체인 거래 연산을 효과적으로 병렬화하기 위한 기능이다.<ref> 정인선 기자, 〈[https://www.coindeskkorea.com/%EA%B7%B8%EB%9D%BC%EC%9A%B4%EB%93%9Cx%EA%B0%80-%ED%81%B4%EB%A0%88%EC%9D%B4%ED%8A%BC-%ED%8D%BC%EB%B8%94%EB%A6%AD-%ED%85%8C%EC%8A%A4%ED%8A%B8%EB%84%B7%EC%9D%84-%EA%B3%B5%EA%B0%9C%ED%96%88%EB%8B%A4/ 클레이튼 테스트넷 특징]〉, 《코인데스크코리아》, 2019-03-29</ref>
  
 
===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엑스블록시스템즈(대표 김승기)는 최근 자체 기술력을 통해 개발 중인 엑스블록체인(X.Blockchain)의 소스코드(Source Code)를 업데이트하고 테스트넷을 공개했다.
 
엑스블록시스템즈(대표 김승기)는 최근 자체 기술력을 통해 개발 중인 엑스블록체인(X.Blockchain)의 소스코드(Source Code)를 업데이트하고 테스트넷을 공개했다.
 
엑스블록체인(X.blockchain) 기반의 탈중앙화 된 전자문서 플랫폼으로 주요 특징으로는 각각의 서비스 전용의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운영이 가능하다. 서비스별로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함으로써, 불필요한 블록의 동기화와 유지를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만의 데이터로 구성된 완전한 블록체인 구성이 가능하다.
 
엑스블록체인(X.blockchain) 기반의 탈중앙화 된 전자문서 플랫폼으로 주요 특징으로는 각각의 서비스 전용의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운영이 가능하다. 서비스별로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함으로써, 불필요한 블록의 동기화와 유지를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만의 데이터로 구성된 완전한 블록체인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는 블록체인상의 독자적인 노드 운영이 가능하다. 프라이빗네트워크(Private Network: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독자적인 노드들로 구성)와 퍼블릭 네트워크(Public Network: 오픈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누구나 노드참여가 가능하게 구성)로 하이브리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ref>전동엽 기자, 〈[http://www.elec4.co.kr/article/articleView.asp?idx=22696 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특징]〉, 《elec4》, 2019-03-05</ref>
+
또한, 각각의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는 블록체인상의 독자적인 노드 운영이 가능하다. 프라이빗네트워크(Private Network: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독자적인 노드들로 구성)와 퍼블릭 네트워크(Public Network: 오픈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누구나 노드참여가 가능하게 구성)로 하이브리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ref>전동엽 기자, 〈[http://www.elec4.co.kr/article/articleView.asp?idx=22696 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특징]〉, 2019-03-05, 《elec4》</ref>
 
엑스블록체인에서는 처음 문서를 만들면 메인 블록을 생성하고 이후 발생하는 수정 사항은 메인 블록에 연결된 서브 블록에 기록한다. 동기화되는 블록을 줄여 블록체인의 비대화와 비효율성을 낮추고 합의 알고리즘에 필요한 컴퓨팅 파워를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엑스블록체인에서는 처음 문서를 만들면 메인 블록을 생성하고 이후 발생하는 수정 사항은 메인 블록에 연결된 서브 블록에 기록한다. 동기화되는 블록을 줄여 블록체인의 비대화와 비효율성을 낮추고 합의 알고리즘에 필요한 컴퓨팅 파워를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엑스블록체인을 이용하면 디앱별로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다. 메인 블록만 동기화하면 되기 때문에 해당 디앱의 데이터만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블록체인상에 독자적인 노드 운영도 가능하다. 덕분에 필요에 따라 프라이빗, 퍼블릭 블록체인을 각각 구현할 수 있으며 두 가지를 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ref>한만혁 기자, 〈[http://www.blockchainnews.co.kr/news/view.php?idx=3209 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블록체인뉴스》, 2018-12-05</ref>
+
엑스블록체인을 이용하면 디앱별로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다. 메인 블록만 동기화하면 되기 때문에 해당 디앱의 데이터만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블록체인상에 독자적인 노드 운영도 가능하다. 덕분에 필요에 따라 프라이빗, 퍼블릭 블록체인을 각각 구현할 수 있으며 두 가지를 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ref>한만혁 기자, 〈[http://www.blockchainnews.co.kr/news/view.php?idx=3209 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2018-12-05, 《블록체인뉴스》</ref>
  
 
===바이낸스 덱스 테스트넷===
 
===바이낸스 덱스 테스트넷===
 
별도의 운영주체가 없이 사용자들이 자율적으로 거래를 진행하고, 블록체인에 기반해 외부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로부터 자유롭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별도의 운영주체가 없이 사용자들이 자율적으로 거래를 진행하고, 블록체인에 기반해 외부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로부터 자유롭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쉽게말해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가 본사의 판매정책과 정찰가격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대리점’이라면, 덱스는 다양한 유저들이 각자의 필요에 맞추어 물건을 사고파는 ‘11번가’나 ‘옥션’같은 오픈마켓에 가깝다.<ref>권승원 기자, 〈[https://bondavinci.com/article/view/647 바이낸스 덱스 테스트넷]〉, 《본다빈치》, 2019-06-05</ref>
+
쉽게말해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가 본사의 판매정책과 정찰가격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대리점’이라면, 덱스는 다양한 유저들이 각자의 필요에 맞추어 물건을 사고파는 ‘11번가’나 ‘옥션’같은 오픈마켓에 가깝다.<ref>권승원 기자, 〈[https://bondavinci.com/article/view/647 바이낸스 덱스 테스트넷]〉, 2019-06-05, 《본다빈치》</ref>
  
 
{{각주}}
 
{{각주}}
49번째 줄: 49번째 줄:
 
* [[베타넷]]
 
* [[베타넷]]
  
{{블록체인 기술|검토 필요}}
+
{{블록체인 기술|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