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코롤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번째 줄: 8번째 줄:
 
1974년 차명별 세계 생산량 1위, 1997년 누적 판매량에서 [[폭스바겐]] [[비틀]]을 제치고 기네스 세계기록을 수립했다.<ref name="기네스">〈[https://gazoo.com/article/daily/160822.html 祝50周年! カローラの歴史を振り返る]〉, 《GAZOO》, 2016-08-22</ref> 2017년 기준 연간 세계 판매 대수 1위를 기록해 토요타가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자동차이자 브랜드다.<ref name="1위">Joann Muller, 〈[https://forbesjapan.com/articles/detail/19289 2017年に世界で最も売れた車トップ20、1位はトヨタ「カローラ」]〉, 《포브스 재팬》, 2018-01-11</ref> 2013년에는 세계 생산 대수 누계 4,000만대 생산을 달성했다. 토요타 창업 이래 생산한 자동차의 4대 중 1대가 코롤라이며 초대 등장 이후 세계에서 10초에 1대씩 코롤라가 생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18년 6월 기준 일본의 소형 대중 승용차의 브랜드로서는 11세대 51년으로 가장 수명이 길고, 동시에 일본 시장에 현존하는 소형 보통 자동차 전체의 브랜드에서 1963년에 등장한 [[마쓰다]] 패밀리아에 이어 2번째 장수 브랜드이다. 기본형의 세단에 가세해 많은 파생차를 껴안고 1969년도부터 2001년도까지 33년간, [[혼다]] [[피트]]에 자리를 내줄 때까지 장기간에 걸쳐 차명별 일본 내 판매 대수 제1위를 유지했다. 토요타의 시장 점유율 1위 확립과 일본의 모터라이제이션 촉진에 공헌해 온 실적은 도요타의 판매 채널(도요타 코롤라점)에 유일하게 이름이 남아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ref name="50주년">森口 将之, 〈[https://toyokeizai.net/articles/-/132633 「カローラ」と「サニー」何が明暗を分けたのか]〉, 《도쿄경제온라인》, 2016-08-24</ref> 프리우스, 아쿠아 등의 경자동차에 밀리기 십상이지만, 항상 월판 베스트 10과 겨루는 안정된 매상을 보이고 있다. 2015년에는 일본내 판매 대수 누계 1,000만 대를 달성했다. 초대부터 일본 국외에서 수출 혹은 녹다운 생산되고 있어 토요타의 급속적인 세계 수출의 원동력이 되었다. 전 세계 16곳에서 생산되어 154개국에서 정규 판매되고 있다. 코롤라가 가장 많이 팔리는 지역은 1위가 중국, 2위가 북미다. 또한 미국이나 중국 남부에서는 젊은층에게 인기있는 스포티 세단의 이미지가 강하고, 브라질이나 타이에서는 고급차 부류에 든다.<ref name="브라질">今井裕治, 〈[https://www.sankei.com/smp/premium/news/161019/prm1610190007-s1.html 米国では日常用、ブラジルでは高級車…カローラは多様なニーズに応え「100年ブランド」へ]〉, 《산경뉴스》, 2016-10-19</ref>
 
1974년 차명별 세계 생산량 1위, 1997년 누적 판매량에서 [[폭스바겐]] [[비틀]]을 제치고 기네스 세계기록을 수립했다.<ref name="기네스">〈[https://gazoo.com/article/daily/160822.html 祝50周年! カローラの歴史を振り返る]〉, 《GAZOO》, 2016-08-22</ref> 2017년 기준 연간 세계 판매 대수 1위를 기록해 토요타가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자동차이자 브랜드다.<ref name="1위">Joann Muller, 〈[https://forbesjapan.com/articles/detail/19289 2017年に世界で最も売れた車トップ20、1位はトヨタ「カローラ」]〉, 《포브스 재팬》, 2018-01-11</ref> 2013년에는 세계 생산 대수 누계 4,000만대 생산을 달성했다. 토요타 창업 이래 생산한 자동차의 4대 중 1대가 코롤라이며 초대 등장 이후 세계에서 10초에 1대씩 코롤라가 생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18년 6월 기준 일본의 소형 대중 승용차의 브랜드로서는 11세대 51년으로 가장 수명이 길고, 동시에 일본 시장에 현존하는 소형 보통 자동차 전체의 브랜드에서 1963년에 등장한 [[마쓰다]] 패밀리아에 이어 2번째 장수 브랜드이다. 기본형의 세단에 가세해 많은 파생차를 껴안고 1969년도부터 2001년도까지 33년간, [[혼다]] [[피트]]에 자리를 내줄 때까지 장기간에 걸쳐 차명별 일본 내 판매 대수 제1위를 유지했다. 토요타의 시장 점유율 1위 확립과 일본의 모터라이제이션 촉진에 공헌해 온 실적은 도요타의 판매 채널(도요타 코롤라점)에 유일하게 이름이 남아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ref name="50주년">森口 将之, 〈[https://toyokeizai.net/articles/-/132633 「カローラ」と「サニー」何が明暗を分けたのか]〉, 《도쿄경제온라인》, 2016-08-24</ref> 프리우스, 아쿠아 등의 경자동차에 밀리기 십상이지만, 항상 월판 베스트 10과 겨루는 안정된 매상을 보이고 있다. 2015년에는 일본내 판매 대수 누계 1,000만 대를 달성했다. 초대부터 일본 국외에서 수출 혹은 녹다운 생산되고 있어 토요타의 급속적인 세계 수출의 원동력이 되었다. 전 세계 16곳에서 생산되어 154개국에서 정규 판매되고 있다. 코롤라가 가장 많이 팔리는 지역은 1위가 중국, 2위가 북미다. 또한 미국이나 중국 남부에서는 젊은층에게 인기있는 스포티 세단의 이미지가 강하고, 브라질이나 타이에서는 고급차 부류에 든다.<ref name="브라질">今井裕治, 〈[https://www.sankei.com/smp/premium/news/161019/prm1610190007-s1.html 米国では日常用、ブラジルでは高級車…カローラは多様なニーズに応え「100年ブランド」へ]〉, 《산경뉴스》, 2016-10-19</ref>
  
또 코롤라 악시오는 기본적으로 일본 내 차량으로 개발되고 있지만 알리온, 프레미오 등과 함께 러시아, 몽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와 미얀마, 방글라데시 등 개발도상국과 오세아니아 지역 등으로 각각 병행 수출되고 있다. 또 중고차도 인기가 높으며 특히 아프가니스탄에서 카불 시내를 달리는 승용차의 90%가 코롤라로 알려져 국민차급 사랑을 받고 있다. 코롤라 캐릭터는 초대 개발 주임이었던 하세가와 다쓰오의 '80점+α 주의'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는 검소함과 낮은 가격을 추구한 퍼블리카의 실패에서 비롯된 교훈이다. 모든 부분에서 그 시대 기준의 80점의 것을 확보하고, 플러스알파로 매력적인 선진적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다. 퍼블리카나 터셀, 코르사 같은 하급 세단보다 한 단계 높은 사치를 얻을 수 있는 코롤라는 서민의 동경이었다. 그런 역사를 가진 코롤라는 브랜드 자체에 절대적인 신뢰와 애착을 가지는 고객들이 많다.<ref name="애착">今井裕治, 〈[https://www.sankei.com/premium/amp/161018/prm1610180006-a.html 「80点以上の合格点」に挑み続けるカローラ 日本品質を世界に広める〝伝道師”]〉, 《산경뉴스》, 2016-10-18</ref> 코어한 자동차 팬들에게는 평범하고 지루한 차라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플로어식 수동변속기를 초대부터 빠짐없이 라인업하고 있으며 모터스포츠에서는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과 영국 투어링카 챔피언십(BTCC), 전일본 그랜드 투어링카 챔피언십(SUPER GT) 등에서 우승한 실적도 갖고 있다. 또 쿠페판인 코롤라 레빈도 저렴하고 개조하기 쉬운 스포츠카로 인기를 끌었다. 차명인 코롤라는 라틴어로 꽃으로 만든 관, 영어로는 화관을 의미한다. 이는 도요타의 주력 세단 크라운(왕관), 코로나(태양관)에 이어 관을 상징하고 알파벳 C로 시작하는 데서 비롯됐다.<ref name="코롤위키">トヨタ・カローラ 위키백과 - https://ja.wikipedia.org/wiki/%E3%83%88%E3%83%A8%E3%82%BF%E3%83%BB%E3%82%AB%E3%83%AD%E3%83%BC%E3%83%A9</ref>
+
또 코롤라 악시오는 기본적으로 일본 내 차량으로 개발되고 있지만 알리온, 프레미오 등과 함께 러시아, 몽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와 미얀마, 방글라데시 등 개발도상국과 오세아니아 지역 등으로 각각 병행 수출되고 있다. 또 중고차도 인기가 높으며 특히 아프가니스탄에서 카불 시내를 달리는 승용차의 90%가 코롤라로 알려져 국민차급 사랑을 받고 있다. 코롤라 캐릭터는 초대 개발 주임이었던 하세가와 다쓰오의 '80점+α 주의'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는 검소함과 낮은 가격을 추구한 퍼블리카의 실패에서 비롯된 교훈이다. 모든 부분에서 그 시대 기준의 80점의 것을 확보하고, 플러스알파로 매력적인 선진적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다. 퍼블리카나 터셀, 코르사 같은 하급 세단보다 한 단계 높은 사치를 얻을 수 있는 코롤라는 서민의 동경이었다. 그런 역사를 가진 코롤라는 브랜드 자체에 절대적인 신뢰와 애착을 가지는 고객들이 많다.<ref name="애착">今井裕治, 〈[https://www.sankei.com/premium/amp/161018/prm1610180006-a.html 「80点以上の合格点」に挑み続けるカローラ 日本品質を世界に広める〝伝道師”]〉, 《산경뉴스》, 2016-10-18</ref> 코어한 자동차 팬들에게는 평범하고 지루한 차라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플로어식 수동변속기를 초대부터 현재까지 빠짐없이 라인업하고 있으며 모터스포츠에서는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과 영국 투어링카 챔피언십(BTCC), 전일본 그랜드 투어링카 챔피언십(SUPER GT) 등에서 우승한 실적도 갖고 있다. 또 쿠페판인 코롤라 레빈도 저렴하고 개조하기 쉬운 스포츠카로 인기를 끌었다. 차명인 코롤라는 라틴어로 꽃으로 만든 관, 영어로는 화관을 의미한다. 이는 도요타의 주력 세단 크라운(왕관), 코로나(태양관)에 이어 관을 상징하고 알파벳 C로 시작하는 데서 비롯됐다.<ref name="코롤위키">トヨタ・カローラ 위키백과 - https://ja.wikipedia.org/wiki/%E3%83%88%E3%83%A8%E3%82%BF%E3%83%BB%E3%82%AB%E3%83%AD%E3%83%BC%E3%83%A9</ref>
  
 
==역사==
 
==역사==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