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코롤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33번째 줄: 133번째 줄:
  
 
* 2000년 08월 28일 : 9대째 모델 체인지, 스테이션 왜건인 코롤라 필더도 함께 출시, 월간 판매목표는 세단 8,000대, 필더 3,500대로 발표
 
* 2000년 08월 28일 : 9대째 모델 체인지, 스테이션 왜건인 코롤라 필더도 함께 출시, 월간 판매목표는 세단 8,000대, 필더 3,500대로 발표
* 2001년 10월 03일 : 일부 개량, 운전석 와이드 뷰 도어 미러(일부 그레이드 제외)를 새롭게 장비, 또 일부 등급을 제외하고 도금 사용 부위를 확대하거나 와이어리스 도어 잠금 대응 키를 2개 준비하는 등의 개량,  1.8 럭셀을 베이스로 본가죽 시트 등을 표준 장비 한 프리미엄 그레이드의 1.8 럭셀 프리미엄 에디션 및 DVD 보이스 [[내비게이션]]이 장착된 1.8 럭셀 내비게이션 에디션을 추가
+
* 2001년 10월 03일 : 일부 개량, 운전석 와이드 뷰 도어 미러(일부 그레이드 제외)를 새롭게 장비, 또 일부 등급을 제외하고 도금 사용 부위를 확대하거나 와이어리스 도어 잠금 대응 키를 2개 준비하는 등의 개량,  1.8 럭셀을 베이스로 본가죽 시트 등을 표준 장비 한 프리미엄 그레이드의 1.8 럭셀 프리미엄 에디션 및 DVD 보이스 네비가 장착된 1.8 럭셀 네비 에디션을 추가
 
* 2001년 11월 01일 : 특별 사양차 1.3 X 리미티드/1.5 X 리미티드 및 1.5 G 리미티드 발매, X리미티드에는 사이드 프로텍션 몰이, G리미티드에는 도금 사이드 도어 아우터 핸들과 도금 리어 가니시 등을 각각 특별 장착
 
* 2001년 11월 01일 : 특별 사양차 1.3 X 리미티드/1.5 X 리미티드 및 1.5 G 리미티드 발매, X리미티드에는 사이드 프로텍션 몰이, G리미티드에는 도금 사이드 도어 아우터 핸들과 도금 리어 가니시 등을 각각 특별 장착
* 2002년 05월 16일 : 특별 사양차 1.3 X 리미티드/1.5 X 리미티드(개정판)와 1.5 G 리미티드·내비게이션 스페셜을 발매, 1.5G 리미티드 내비스페셜에는 리미티드 장비에 더해 와이드멀티 AV 스테이션II와 6개 스피커 특별 장착
+
* 2002년 05월 16일 : 특별 사양차 1.3 X 리미티드/1.5 X 리미티드(개정판)와 1.5 G 리미티드·네비 스페셜을 발매, 1.5G 리미티드 내비스페셜에는 리미티드 장비에 더해 와이드멀티 AV 스테이션II와 6개 스피커 특별 장착
* 2002년 09월 19일 : 첫 번째 마이너 체인지, 내외장이 약간 변경되어 중기형이 됨, 엔진 개량 등으로 2000년도 배출 가스 기준 75%저감 레벨(U-LEV)을 달성, 이와 동시에 특별 사양 차량인 1.5 G리미티드·내비게이션 스페셜도 신사양으로 발매, 일단 판매를 중지했던 1.5 G리미티드가 오디오리스 사양의 특별 사양차로 재발매, 또한 특별사양차로서 저가판인 X의 장비를 간략화한 비즈니스 그레이드의 1.5 X 어시스터 패키지 출시, 아시스타의 이름은 아시스타 왜건(과거의 비즈니스 왜건)이 판매 종료한 이래의 명칭 부활, 세단, 필더, 랭크스 전 차량의 리어시트 중앙부에 새롭게 헤드레스트가 장착, 세단인 1.8L UXEL 시리즈만 4등식 HID(디스처지) 헤드램프 및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 중기형 필더용과 공통의 대형 프론트 범퍼가 표준 장비 장착, 추가로 같은 등급의 전륜구동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이 기존의 유압식에서 전동식으로 변경
+
* 2002년 09월 19일 : 첫 번째 마이너 체인지, 내외장이 약간 변경되어 중기형이 됨, 엔진 개량 등으로 2000년도 배출 가스 기준 75%저감 레벨(U-LEV)을 달성, 이와 동시에 특별 사양 차량인 1.5 G리미티드·네비 스페셜도 신사양으로 발매, 일단 판매를 중지했던 1.5 G리미티드가 오디오리스 사양의 특별 사양차로 재발매, 또한 특별사양차로서 저가판인 X의 장비를 간략화한 비즈니스 그레이드의 1.5 X 어시스터 패키지 출시, 아시스타의 이름은 아시스타 왜건(과거의 비즈니스 왜건)이 판매 종료한 이래의 명칭 부활, 세단, 필더, 랭크스 전 차량의 리어시트 중앙부에 새롭게 헤드레스트가 장착, 세단인 1.8L UXEL 시리즈만 4등식 HID(디스처지) 헤드램프 및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 중기형 필더용과 공통의 대형 프론트 범퍼가 표준 장비 장착, 추가로 같은 등급의 전륜구동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이 기존의 유압식에서 전동식으로 변경
* 2003년 09월 02일 : 특별 사양차 1.5 X 리미티드 내비게이션 스페셜 및 1.5 G 리미티드·내비게이션 스페셜을 발매, 1.5G 리미티드 내비 스페셜의 경우, 기본적인 특별 장비는 2002년 9월에 발매된 것과 공통
+
* 2003년 09월 02일 : 특별 사양차 1.5 X 리미티드 네비 스페셜 및 1.5 G 리미티드·네비 스페셜을 발매, 1.5G 리미티드 내비 스페셜의 경우, 기본적인 특별 장비는 2002년 9월에 발매된 것과 공통
 
* 2004년 02월 : 2005년 기준 배출가스 50% 저감 '신'을 가솔린 엔진 전 차로 달성(U-LEV)
 
* 2004년 02월 : 2005년 기준 배출가스 50% 저감 '신'을 가솔린 엔진 전 차로 달성(U-LEV)
 
* 2004년 04월 28일 : 두 번째 마이너 체인지, 전차 헤드램프가 4등식화 되어 라디에이터 그릴의 디자인을 제외한 프론트 주위를 필더와 동일, HID 헤드램프 장착 차량에는 오토 레벨링 시스템 추가, 그 외 내장도 변경이 더해져 1.8 럭셀 계의 미터에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가 더해졌다.또 윈드실드 유리는 적외선도 잘려 발수 기능이 있는 앞유리와 전동 격납식 리모컨 컬러드 도어 미러를 전차 표준 장착, 가솔린 엔진 전차가 환경성능을 향상해 2005년 기준 배출가스 50% 저감 레벨(U-LEV) 달성함과 동시에 1.5L의 1NZ-FE 엔진 탑재 전륜 구동차는 2010년도 연비 기준+5%」도 달성, SRS 커튼 쉴드 에어백을 옵션 설정으로 추가, 1NZ-FE는 헤드의 밸브 구동 메카를 기존 직타식에서 롤러 로커암+유압 러시 어저스터로 설계 변경, 전자 스로틀을 채택, 연비, 정숙성을 향상, 자동차 NOx·PM법의 신기준에 적응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3C-E형 2.2L 디젤엔진 장착차가 폐지, 오디오 제조사 옵션도 폐지
 
* 2004년 04월 28일 : 두 번째 마이너 체인지, 전차 헤드램프가 4등식화 되어 라디에이터 그릴의 디자인을 제외한 프론트 주위를 필더와 동일, HID 헤드램프 장착 차량에는 오토 레벨링 시스템 추가, 그 외 내장도 변경이 더해져 1.8 럭셀 계의 미터에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가 더해졌다.또 윈드실드 유리는 적외선도 잘려 발수 기능이 있는 앞유리와 전동 격납식 리모컨 컬러드 도어 미러를 전차 표준 장착, 가솔린 엔진 전차가 환경성능을 향상해 2005년 기준 배출가스 50% 저감 레벨(U-LEV) 달성함과 동시에 1.5L의 1NZ-FE 엔진 탑재 전륜 구동차는 2010년도 연비 기준+5%」도 달성, SRS 커튼 쉴드 에어백을 옵션 설정으로 추가, 1NZ-FE는 헤드의 밸브 구동 메카를 기존 직타식에서 롤러 로커암+유압 러시 어저스터로 설계 변경, 전자 스로틀을 채택, 연비, 정숙성을 향상, 자동차 NOx·PM법의 신기준에 적응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3C-E형 2.2L 디젤엔진 장착차가 폐지, 오디오 제조사 옵션도 폐지
184번째 줄: 184번째 줄:
 
일본에서는 2018년 6월부터 코롤라 스포츠가 세단 왜건에 앞서 오리스의 후계차로 등장했다. 2019년 부터 판매되었다. 본차는 코롤라 3형제 중 유일하게 글로벌 모델과 같은 크기로 일본국내에 판매된다. 늦은 1년 후 2019년 9월 17일에 세단·왜건도 풀 모델 체인지한다.<ref name="풀모델">〈[https://global.toyota/jp/newsroom/toyota/29375724.html TOYOTA、カローラ、カローラ ツーリングをフルモデルチェンジ、同時にカローラ スポーツを一部改良]〉, 《토요타 공식 뉴스》, 2019-09-17</ref> 세단은 국내에서는 13년 만의 서브네임이 없는 코롤라가 부활했다(왜건에서는 투어링이라는 새로운 서브네임이 부여되었다). 그레이드 체계는 가솔린 엔진차·하이브리드차 공통으로 G-X·S·2대 악시오부터 지속된 W×B의 3 그레이드(하이브리드차는 하이브리드 G-X, 하이브리즈, 하이브리드 W×B의 그레이드명칭이 됨)가 되었다. 차량 골격은 글로벌 모델과 같은 GA-C 플랫폼이 주어져 3#화된 반면, 차체는 일본 전용 설계로 되어 있고 전고는 글로벌 모델과 동일하면서 전체 길이는 135mm, 전체 폭은 3545mm(북미 사양과 일부 유럽 사양은 70.1inch=1780mm)씩 각각 짧고, 휠 베이스도 60mm(세단에 한해서는 일부 유럽 사양은 일본 사양과 동일) 짧아졌다. 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도 변경한 것으로 미러 격납시의 차폭은 2대째 악시오와 동등하게 해 최소 회전 반경은 15인치 타이어 장착차로 2대째 악시오와 동등한 5.0m를 실현했다. 또한 3#화를 결단한 배경에는, 5 도어 세단의 3·4대째(30계·50계) 프리우스가 3#이지만 대성공을 거두고 있던 것에 있었다. 외관의 프론트 디자인을 대형 사다리꼴의 로어그릴 프레임과 메시그릴로 통일했다. 헤드램프는 광원이 LED화 되어 라운드가 강한 일자형상을 채용했다. 리어 디자인은 콤비네이션 램프를 수평 기조로 했다. 바디 컬러는 G-X계 그레이드·S계 그레이드는 신규 개발 색상인 셀레스타이트 그레이 메탈릭을 포함한 7색, 'W×B'계 그레이드는 신규 설정 색상인 '스파클링 블랙 펄 크리스탈 샤인'을 포함한 3가지 색상이 전개된다. 내장은 설치패널이 슬림 와이드화되어 A필러를 세형화했다. 'W×B'계 그레이드는 프론트시트를 스포티시트로, 리어시트는 트렁크스루도 가능한 6:4분할가도식이 신규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은 쇄신돼 가솔린, CVT차와 하이브리드차는 배기량을 1.5L에서 1.8L로 올리고, 가솔린·CVT차는 2ZR-FAE형으로, 하이브리드차는 2ZR-FXE형으로 각각 교체했다. 가솔린·수동변속차는 반대로 1.2L로 다운사이징 되어 코롤라 스포츠와 공통의 8NR-FTS형으로 교체되었다. 또 하이브리드차는 2대째 악시오에서는 설정되지 않았던 사륜구동차가 새롭게 추가됐고, 전기식 사륜구동 시스템 E-Four가 탑재됐다. 또 가솔린 수동변속기 차량은 코롤라 스포츠와 같은 자동 블리핑 기능을 갖춘 i-MT가 돼 6단으로 다단화됐다. WLTC(Worldwide harmonized Light duty driving Test Cycle) 모드 주행에 의한 배출가스 및 연료소비율에 대응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차는 2018년 배출가스 기준 75% 저감레벨인정을 취득하였다. 바퀴 둘레에는 그동안 [[렉서스]]에서만 채택되던 회전 시 앞쪽 안쪽에 브레이크를 걸어 핸들링을 향상시키는 액티브 코너링 어시스트(ACA)를 표준 장착했다. 덧붙여 새롭게 렉서스/토요타차에서는 첫 시도가 되는 운전자의 시선의 움직임을 계산한 튜닝을 했다. 또한 이 튜닝은 세단 왜건뿐만 아니라 동시에 마이너체인지된 코롤라 스포츠에서도 적용된다.
 
일본에서는 2018년 6월부터 코롤라 스포츠가 세단 왜건에 앞서 오리스의 후계차로 등장했다. 2019년 부터 판매되었다. 본차는 코롤라 3형제 중 유일하게 글로벌 모델과 같은 크기로 일본국내에 판매된다. 늦은 1년 후 2019년 9월 17일에 세단·왜건도 풀 모델 체인지한다.<ref name="풀모델">〈[https://global.toyota/jp/newsroom/toyota/29375724.html TOYOTA、カローラ、カローラ ツーリングをフルモデルチェンジ、同時にカローラ スポーツを一部改良]〉, 《토요타 공식 뉴스》, 2019-09-17</ref> 세단은 국내에서는 13년 만의 서브네임이 없는 코롤라가 부활했다(왜건에서는 투어링이라는 새로운 서브네임이 부여되었다). 그레이드 체계는 가솔린 엔진차·하이브리드차 공통으로 G-X·S·2대 악시오부터 지속된 W×B의 3 그레이드(하이브리드차는 하이브리드 G-X, 하이브리즈, 하이브리드 W×B의 그레이드명칭이 됨)가 되었다. 차량 골격은 글로벌 모델과 같은 GA-C 플랫폼이 주어져 3#화된 반면, 차체는 일본 전용 설계로 되어 있고 전고는 글로벌 모델과 동일하면서 전체 길이는 135mm, 전체 폭은 3545mm(북미 사양과 일부 유럽 사양은 70.1inch=1780mm)씩 각각 짧고, 휠 베이스도 60mm(세단에 한해서는 일부 유럽 사양은 일본 사양과 동일) 짧아졌다. 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도 변경한 것으로 미러 격납시의 차폭은 2대째 악시오와 동등하게 해 최소 회전 반경은 15인치 타이어 장착차로 2대째 악시오와 동등한 5.0m를 실현했다. 또한 3#화를 결단한 배경에는, 5 도어 세단의 3·4대째(30계·50계) 프리우스가 3#이지만 대성공을 거두고 있던 것에 있었다. 외관의 프론트 디자인을 대형 사다리꼴의 로어그릴 프레임과 메시그릴로 통일했다. 헤드램프는 광원이 LED화 되어 라운드가 강한 일자형상을 채용했다. 리어 디자인은 콤비네이션 램프를 수평 기조로 했다. 바디 컬러는 G-X계 그레이드·S계 그레이드는 신규 개발 색상인 셀레스타이트 그레이 메탈릭을 포함한 7색, 'W×B'계 그레이드는 신규 설정 색상인 '스파클링 블랙 펄 크리스탈 샤인'을 포함한 3가지 색상이 전개된다. 내장은 설치패널이 슬림 와이드화되어 A필러를 세형화했다. 'W×B'계 그레이드는 프론트시트를 스포티시트로, 리어시트는 트렁크스루도 가능한 6:4분할가도식이 신규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은 쇄신돼 가솔린, CVT차와 하이브리드차는 배기량을 1.5L에서 1.8L로 올리고, 가솔린·CVT차는 2ZR-FAE형으로, 하이브리드차는 2ZR-FXE형으로 각각 교체했다. 가솔린·수동변속차는 반대로 1.2L로 다운사이징 되어 코롤라 스포츠와 공통의 8NR-FTS형으로 교체되었다. 또 하이브리드차는 2대째 악시오에서는 설정되지 않았던 사륜구동차가 새롭게 추가됐고, 전기식 사륜구동 시스템 E-Four가 탑재됐다. 또 가솔린 수동변속기 차량은 코롤라 스포츠와 같은 자동 블리핑 기능을 갖춘 i-MT가 돼 6단으로 다단화됐다. WLTC(Worldwide harmonized Light duty driving Test Cycle) 모드 주행에 의한 배출가스 및 연료소비율에 대응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차는 2018년 배출가스 기준 75% 저감레벨인정을 취득하였다. 바퀴 둘레에는 그동안 [[렉서스]]에서만 채택되던 회전 시 앞쪽 안쪽에 브레이크를 걸어 핸들링을 향상시키는 액티브 코너링 어시스트(ACA)를 표준 장착했다. 덧붙여 새롭게 렉서스/토요타차에서는 첫 시도가 되는 운전자의 시선의 움직임을 계산한 튜닝을 했다. 또한 이 튜닝은 세단 왜건뿐만 아니라 동시에 마이너체인지된 코롤라 스포츠에서도 적용된다.
  
게다가 일본 내의 토요타차에서 처음이 되는 디스플레이 오디오가 전차량에 표준 장착되고 있어 스마트 디바이스 오토·애플 카플레이·안드로이드 오토의 대응에 의해서 스마트폰과의 제휴가 가능한 것 외에 엔트리 내비킷 또는 T-커넥트 내비킷 어느 쪽이든 선택하는 것으로 차재용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롤라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차재통신기(DCM)도 표준 장착되어 있어 커넥티드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구형이 된 2대 코롤라 악시오이지만, 중장년자에게 고령자나 법인 수요는 여전히 높기 때문에 그레이드 체계를 쇄신해 판매가 속행되고 있다. 2020년 5월 13일에 특별 사양차 G-X 플러스, 하이브리드 G-X 플러스가 발매되었다.<ref name="플러스">〈[https://global.toyota/jp/newsroom/toyota/32550990.html TOYOTA、カローラならびにカローラ ツーリングに2つの特別仕様車を設定]〉, 《토요타 공식 뉴스》, 2020-05-13</ref> G-X, 하이브리드G-X를 베이스로  메이커 옵션 설정이 되는 인텔리전트 클리어런스 소나와 백 가이드 모니터가 특별 장비되어 리어도어·백 윈도우 유리는 UV 차단 기능이 있는 소프트 프라이버시로 업그레이드했다. 내장은 미터 주위나 스티어링 휠 등에 실버 도장이 되어 레지스터 노브는 새틴 도금 가식으로 했다. 2020년 10월 1일에 일부 개량되었다.<ref name="일부개량">〈[https://global.toyota/jp/newsroom/toyota/33759992.html カローラ ツーリングにツートーンカラーを新設定]〉, 《토요타 공식 뉴스》, 2020-10-01</ref> 하이브리드차 전 차량에 액세서리 콘센트(AC100V·1500W/콘센트 2개/비상시 급전 시스템)의 옵션 설정이 추가되었고 하이브리즈와 하이브리드 G-X는 충전용 USB 단자를 2개 증설해, 3개로 했다. S와 하이브리즈에는 절삭광휘+미디엄 그레이 메탈릭 도장의 17인치 알루미늄 휠이 설정되었다.<ref name="코롤위키"></ref>
+
게다가 일본 내의 토요타차에서 처음이 되는 디스플레이 오디오가 전차량에 표준 장착되고 있어 스마트 디바이스 오토·애플 카플레이·안드로이드 오토의 대응에 의해서 스마트폰과의 제휴가 가능한 것 외에 엔트리 네비킷 또는 T-커넥트 네비킷 어느쪽이든을 선택하는 것으로 차재용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롤라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차재통신기(DCM)도 표준 장착되어 있어 커넥티드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구형이 된 2대 코롤라 악시오이지만, 중장년자에게 고령자나 법인 수요는 여전히 높기 때문에 그레이드 체계를 쇄신해 판매가 속행되고 있다. 2020년 5월 13일에 특별 사양차 G-X 플러스, 하이브리드 G-X 플러스가 발매되었다.<ref name="플러스">〈[https://global.toyota/jp/newsroom/toyota/32550990.html TOYOTA、カローラならびにカローラ ツーリングに2つの特別仕様車を設定]〉, 《토요타 공식 뉴스》, 2020-05-13</ref> G-X, 하이브리드G-X를 베이스로  메이커 옵션 설정이 되는 인텔리전트 클리어런스 소나와 백 가이드 모니터가 특별 장비되어 리어도어·백 윈도우 유리는 UV 차단 기능이 있는 소프트 프라이버시로 업그레이드했다. 내장은 미터 주위나 스티어링 휠 등에 실버 도장이 되어 레지스터 노브는 새틴 도금 가식으로 했다. 2020년 10월 1일에 일부 개량되었다.<ref name="일부개량">〈[https://global.toyota/jp/newsroom/toyota/33759992.html カローラ ツーリングにツートーンカラーを新設定]〉, 《토요타 공식 뉴스》, 2020-10-01</ref> 하이브리드차 전 차량에 액세서리 콘센트(AC100V·1500W/콘센트 2개/비상시 급전 시스템)의 옵션 설정이 추가되었고 하이브리즈와 하이브리드 G-X는 충전용 USB 단자를 2개 증설해, 3개로 했다. S와 하이브리즈에는 절삭광휘+미디엄 그레이 메탈릭 도장의 17인치 알루미늄 휠이 설정되었다.<ref name="코롤위키"></ref>
  
 
==기능==
 
==기능==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