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톰 리.jpg|썸네일|300픽셀|'''톰 리'''(Tom Lee)]]
+
'''톰 리'''(Thomas Lee)는 미국의 투자 전문 업체인 펀드스트랫 글로벌 어드바이져스의 공동창업자이자 수석 애널리스트이며, 암호화폐에 대한 낙관론자이다.
[[파일:펀드스트랫 글자.png|썸네일|300픽셀|'''[[펀드스트랫]]'''(Fundstrat)]]
 
 
 
'''톰 리'''(Tom Lee) 또는 '''토마스 리'''(Thomas Lee)는 미국의 투자 전문 업체인 '''[[펀드스트랫]]'''(Fundstrat)의 공동창업자이자 수석 애널리스트이다. 톰 리는 대표적인 [[암호화폐]]에 대한 낙관론자이다.
 
  
 
==개요==
 
==개요==
톰 리(Thomas Lee)는 2014년 기준으로 [[펀드스트랫]]의 관리 파트너이자 연구 책임자이다. 그는 25년 넘게 주식 거래 경험을 쌓은 뛰어난 월 스트리트 전략가이다. 전문분야로는 시장 전략, 중소기업 전략 그리고 텔레콤 서비스가 있다.
+
톰 리(Thomas Lee)는 펀드스트랫의 현재 관리 파트너이자 연구 책임자이다. 그는 25년 넘게 주식 거래 경험을 쌓은 뛰어난 월 스트리트 전략가이다. 전문분야로는 시장 전략, 중소기업 전략 그리고 텔레콤 서비스가 있다.
  
==약력==
+
==학력==
* 1987년 ~ 1991년 :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재무 및 회계 전공
+
* 1987년~1991년 : 왓튼대학교 재무 및 회계약 전공 BSE
* 1994년 ~ 1997년 : 오펜하이머(Oppenheimer & Co) VP
 
* 1997년 ~ 1999년 : 살로몬 스미스 바니(Salomon Smith Barney) MD
 
* 1999년 ~ 2014년 : [[JP모건]](JPMorgan) 관리 파트너
 
* 2014년 ~ 현재 : [[펀드스트랫]] 글로벌 어드바이저스(Fundstrat Global Advisors) 관리파트너 및 연구책임자
 
  
==주요활동==
+
==경력==
===BMI 개발===
+
* 1994년~1997년 : Oppenheimer $ Co. 부사장
BMI란 ‘Bitcoin Misery Index’의 줄임말이다. 톰 리(Thomas Lee)는 [[비트코인]]의 변동성 지수에서 역발상을 하여 [[비트코인]] 고통지수(BMI)를 개발했다. 이 고통지수(BMI)를 통해 최적의 매수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고통지수(BMI)는 0에서 100사이의 값을 가지며 척도를 50으로 기준점을 잡는다. 가격의 변동이 심할수록 지수는 0에 가까워지고 투자자가 느끼는 스트레스가 높아진다. 지수가 20 이하를 터치하면 바이 시그널(Buy Signal) 확률이 올라가고 반대로 셀 시그널(Sell Signal)이 높을수록 유효한 신호로 여길 수 있다. 실제로 비트코인 가격변화 그래프의 매칭한 결과 고통지수(BMI)를 통해 사고, 파는 게 유효했다.<ref>tk0319, 〈[https://steemit.com/kr/@tk0319/vix#@tk0319/re-virus707-re-tk0319-vix-1526714403405t1172ff81-d1e8-4bef-b250-fd395d3bcaf1uid-20180519t081318040z 변동성 지수(VIX)를 이용한 고통 최소화 존버]〉, 《스팀잇》, 2018-05-18</ref>
 
  
===암호화폐 예측===
+
* 1997년~1999년 : Salomon Smith Barney 전문이사
톰 리(Thomas Lee)는 최근 각종 여러 매체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해 전망을 하였다. 그는 [[암호화폐]]의 최초의 코인인 [[비트코인]]이 2020년에 새로운 고점을 갱신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비트코인]]의 온체인 거래량(on-chain transactional volumes)과 최근 50일 단기 이동평균선이 200일 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골든 크로스(Golden Cross) 현상, 장외거래(OTC) 증가 등 여러 사례를 뽑으며, 향후 [[비트코인]]이 새로운 최고가를 찍을 거라 예상하였다. 그는 장외거래를 통한 설문조사로 브로커들의 활동량이 60~70% 증가하고 고객당 거래량이 급격히 늘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암호화폐]]의 기술인 [[블록체인]]에서 거래량이 계속해서 증가한다는 점과 소위 큰손의 움직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도 [[암호화폐]]의 시장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분석하였다.<ref>박병화 기자, 〈[http://www.coinreaders.com/4037 월가의 톰 리 "비트코인, 2020년에 새로운 최고가 기록할 것"]〉, 《코인리더스》, 2019-04-26</ref>
 
  
===예측성공 사례===
+
* 1999년~2014년 : JPMorgan 관리 파트너
톰 리(Thomas Lee)는 2017년 미국의 경제방송인 CNBC 인터뷰에서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2017년 연말까지 시세의 최고점을 찍는다고 예측하였다. 그 후 2017년 12월에 [[비트코인]]의 시세는 최고점인 2만 달러 대까지 빠르게 상승하면서 톰 리(Thomas Lee)의 예측이 성공했다.
 
  
===예측실패 사례===
+
* 2014년~현재 : Fundstrat Global Advisors 관리파트너, 연구책임자
[[암호화폐]]의 낙관론자인 톰 리(Thomas Lee)의 예측 실패 사례도 몇 가지가 있다. 톰 리(Thomas Lee)는 2018년 초 “[[비트코인]]은 올해 25,0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예상과는 달라 “[[비트코인]]이 연말에 14,000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기존보다 하락시켜 전망을 수정하였다.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의 [[비트코인]]의 시세는 5000달러에서 7000달러 사이에 머물렀다. 다음 사례로는 2018년에 최대 [[블록체인]] 이벤트인 ‘컨센서스 2018’행사인 5월 14~16일까지 행사 동안과 그 이후 [[암호화폐]]가 상승할 것이라고 5월 초에 예측하였다.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행사 동안 [[암호화폐]]의 시장이 10%나 하락하고 말았다.<ref>Daniel Lee, 〈[https://www.coinpress.co.kr/2018/05/21/5148/ 펀드스트랫 톰리, ‘컨센서스 2018’ 상승 랠리 예측 실패]〉, 《코인프레스》, 2018-05-21</ref> 그는 계속해서 여러 매체를 통해 2018년도에 대해 예측을 했으며, 연말에는 평균 6000~9000달러로 지속해서 예측했지만, 2018년 12월 말 기준으로 3800달러에 그치며 예측은 실패하였다.<ref>김수찬 기자, 〈[https://www.hkbnews.com/article/view/2860 (FOCUS) 암호화폐 전문가들은 거짓말쟁이?…빗나간 비트코인 전망]〉, 《한국블록체인뉴스》, 2019-05-02</ref>
+
 
 +
==주요활동==
 +
===암호화폐 예측===
 +
톰 리(Thomas Lee)는 최근 각종 여러 매체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해 전망을 하였다. 그는 암호화폐의 최초의 코인인 비트코인이 2020년에 새로운 고점을 갱신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비트코인의 온체인 거래량(on-chain transactional volumes)과 최근 50일 단기 이동평균선이 200일 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골든 크로스(Golden Cross) 현상, OTC(장외거래) 증가 등 여러 사례를 뽑으며, 향후 비트코인이 새로운 최고가를 찍을 거라 예상하였다. 그는 장외거래를 통한 설문조사로 브로커들의 활동량이 60~70% 증가하고 고객당 거래량이 급격히 늘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암호화폐의 기술인 블록체인에서 거래량이 계속해서 증가한다는 점과 소위 큰손의 움직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도 암호화폐의 시장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분석하였다.<ref>박병화 기자, 〈[http://www.coinreaders.com/4037 월가의 톰 리 "비트코인, 2020년에 새로운 최고가 기록할 것"]〉, 《코인리더스》, 2019-04-26</ref>
  
 
{{각주}}
 
{{각주}}
31번째 줄: 24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톰 리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thomas-lee-98756b6/
 
* 톰 리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thomas-lee-98756b6/
* 톰 리 트위터 - https://twitter.com/fundstrat/
 
* 펀드스트랫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fundstrat.com/
 
* 박병화 기자, 〈[http://www.coinreaders.com/669 비트코인고통지수 나왔다…"지금은 비트코인 매수 적기"]〉, 《코인리더스》, 2018-03-10
 
* tk0319, 〈[https://steemit.com/kr/@tk0319/vix#@tk0319/re-virus707-re-tk0319-vix-1526714403405t1172ff81-d1e8-4bef-b250-fd395d3bcaf1uid-20180519t081318040z 변동성 지수(VIX)를 이용한 고통 최소화 존버]〉, 《스팀잇》, 2018-05-18
 
* Daniel Lee, 〈[https://www.coinpress.co.kr/2018/05/21/5148/ 펀드스트랫 톰리, ‘컨센서스 2018’ 상승 랠리 예측 실패]〉, 《코인프레스》, 2018-05-21
 
* 김진배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44825 (인터뷰) 톰 리 “암호화폐, 지금이 매수하기 좋은 타이밍”]〉, 《블록미디어》, 2018-09-12
 
* 김산하 기자,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812147617g '비트코인 강세론자' 톰 리, 결국 "당분간 가격 예측 않겠다"]〉, 《한국경제》, 2018-12-14
 
* Daniel Lee, 〈[https://www.coinpress.co.kr/2018/12/23/13048/ 올해 비트코인 가격 예측에 실패한 유명인사 5인]〉, 《코인프레스》, 2018-12-23
 
 
* 박병화 기자, 〈[http://www.coinreaders.com/4037 월가의 톰 리 "비트코인, 2020년에 새로운 최고가 기록할 것"]〉, 《코인리더스》, 2019-04-26
 
* 박병화 기자, 〈[http://www.coinreaders.com/4037 월가의 톰 리 "비트코인, 2020년에 새로운 최고가 기록할 것"]〉, 《코인리더스》, 2019-04-26
 
* 박재형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7229 비트코인 2020년 최고치 전망 요인들 – 펀드스트랫 톰 리]〉, 《블록미디어》, 2019-04-30
 
* 박재형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7229 비트코인 2020년 최고치 전망 요인들 – 펀드스트랫 톰 리]〉, 《블록미디어》, 2019-04-30
 
* 추현우 기자, 〈[https://blockpost.com/market/39395/ (글로벌포스트)“2020년 암호화폐 최고가 갱신할 것”전망]〉, 《더블록포스트》, 2019-04-30
 
* 추현우 기자, 〈[https://blockpost.com/market/39395/ (글로벌포스트)“2020년 암호화폐 최고가 갱신할 것”전망]〉, 《더블록포스트》, 2019-04-30
* 김수찬 기자, 〈[https://www.hkbnews.com/article/view/2860 (FOCUS) 암호화폐 전문가들은 거짓말쟁이?…빗나간 비트코인 전망]〉, 《한국블록체인뉴스》, 2019-05-01
 
 
== 같이 보기 ==
 
* [[펀드스트랫]]
 
* [[존 바이]]
 
*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19]]
 
  
 
{{암호화폐 투자자|검토 필요}}
 
{{암호화폐 투자자|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