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이목마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5번째 줄: 35번째 줄:
 
*'''첨부파일''' : 대부분의 사람이 이메일에 첨부된 파일에 의해 감염이 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이메일의 첨부 파일은 성인물, 유료 사이트의 계정과 패스워드,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패치 등 사람의 호기심을 끌 만한 것으로 위장하고 있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이러한 형태의 첨부 파일로 인해 시스템에 감염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 못하고 첨부 파일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파일''' : 대부분의 사람이 이메일에 첨부된 파일에 의해 감염이 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이메일의 첨부 파일은 성인물, 유료 사이트의 계정과 패스워드,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패치 등 사람의 호기심을 끌 만한 것으로 위장하고 있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이러한 형태의 첨부 파일로 인해 시스템에 감염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 못하고 첨부 파일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물리적인 접근''' : 이 감염 방식은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이 아닌 로컬에서 일어나는 형태이므로 시스템의 보안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예를 들어, 화장실을 가거나 또는 잠시 쉬기 위해 시스템을 몇 분 정도 어떠한 안전장치 없이 방치하게 될 경우 이 몇 분은 [[해커]]에게 시스템을 트로이목마에 감염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 CD-ROM의 자동 실행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 이 방식은 콤팩트 디스크나 USB를 사용할 때 'Autorun.inf' 파일의 설정을 감염된 파일이나 감염되도록 조작된 프로그램이 설치되도록 변경한다. 그리고는 시스템에 콤팩트 디스크를 CD-ROM에 넣거나 USB를 꽂게 되면 설치 파일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감염된다.
 
*'''물리적인 접근''' : 이 감염 방식은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이 아닌 로컬에서 일어나는 형태이므로 시스템의 보안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예를 들어, 화장실을 가거나 또는 잠시 쉬기 위해 시스템을 몇 분 정도 어떠한 안전장치 없이 방치하게 될 경우 이 몇 분은 [[해커]]에게 시스템을 트로이목마에 감염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 CD-ROM의 자동 실행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 이 방식은 콤팩트 디스크나 USB를 사용할 때 'Autorun.inf' 파일의 설정을 감염된 파일이나 감염되도록 조작된 프로그램이 설치되도록 변경한다. 그리고는 시스템에 콤팩트 디스크를 CD-ROM에 넣거나 USB를 꽂게 되면 설치 파일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감염된다.
*'''소프트웨어의 취약점''' :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지 않거나 패치를 설치하지 않아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이나 버그 등으로 인해 트로이목마에 쉽게 감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래된 버전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해 특정 웹 사이트를 접속하게 될 경우,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만 정상적인 이용이 가능한 것처럼 사용자를 속여 감염된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
*'''소프트웨어의 취약점''' :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지 않거나 패치를 설치하지 않아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이나 버그 등으로 인해 트로이목마에 쉽게 감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래된 버전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해 특정 웹 사이트를 접속하게 될 경우,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만 정상적인 이용이 가능한 것처럼 사용자를 속여 감염된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셰어웨어''' : 가장 손쉽게 시스템을 감염시킬 방법의 하나가 인터넷에서 배포되는 [[셰어웨어]]다. 그리고 이것으로 인해 시스템이 매우 위험해질 수 있어 셰어웨어를 사용하기 전에는 항상 유명 사이트의 공개 자료실에 등록이 되어 있는 것이나, 이것을 공개한 회사의 웹 사이트에서 관련 자료를 찾아보는 것이 좋다.
 
*'''셰어웨어''' : 가장 손쉽게 시스템을 감염시킬 방법의 하나가 인터넷에서 배포되는 [[셰어웨어]]다. 그리고 이것으로 인해 시스템이 매우 위험해질 수 있어 셰어웨어를 사용하기 전에는 항상 유명 사이트의 공개 자료실에 등록이 되어 있는 것이나, 이것을 공개한 회사의 웹 사이트에서 관련 자료를 찾아보는 것이 좋다.
 
*'''관리 목적 공유 폴더 이용''' :2002년 말부터 발견되고 있는 트로이목마 중 IRC(Internet Relay Chat) 관련 프로그램들은 관리 목적으로 공유된 폴더가 존재하는 [[OS]] 로그인 계정의 취약한 암호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별도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찾고 트로이목마를 설치해두는 형태로 발전했다. 이런 종류의 트로이목마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자동으로 [[IP]] 주소 대역을 검색하여 이런 시스템을 찾아 트로이목마를 설치하는 형태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전파 및 설치 방법은 트로이목마에만 국한되지 않고 [[바이러스]]나 [[웜]] 등의 악성 프로그램들도 이용하고 있다.
 
*'''관리 목적 공유 폴더 이용''' :2002년 말부터 발견되고 있는 트로이목마 중 IRC(Internet Relay Chat) 관련 프로그램들은 관리 목적으로 공유된 폴더가 존재하는 [[OS]] 로그인 계정의 취약한 암호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별도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찾고 트로이목마를 설치해두는 형태로 발전했다. 이런 종류의 트로이목마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자동으로 [[IP]] 주소 대역을 검색하여 이런 시스템을 찾아 트로이목마를 설치하는 형태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전파 및 설치 방법은 트로이목마에만 국한되지 않고 [[바이러스]]나 [[웜]] 등의 악성 프로그램들도 이용하고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