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사운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스피커 유닛을 보면 고역을 담당하는 것은 '트위터(Tweeter)', 중역을 담당하는 것은 '[[미드레인지]](Midrange), 저역을 담당하는 것은 '[[우퍼]](Woofer)'라고 부른다. [[카오디오]]에서는 중저역을 동시에 커버하는 '''미드우퍼'''(Mid-Woofer) 유닛을 주로 쓴다. 도어 안쪽에 그릴로 씌워진 커다란 스피커가 바로 이 미드우퍼이다. 이에 비해 작은 크기의 트위터는 대개 양쪽 A필러나 대시보드 양 사이드에 위치한다. 중요한 것은 스테레오 이미지를 위해 이들 스피커 유닛이 좌우에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대로 된 [[카오디오]] [[사운드]]를 즐기기 위해서는 최소한 4채널 이상의 '''파워앰프'''가 필요하다. 패시브 크로스오버 없이 왼쪽 트위터+미드우퍼, 오른쪽 트위터+미드우퍼를 각각 구동하기 위해서다. 추후 서브우퍼를 장착하는 경우를 대비해서라도 처음 시작할 때 멀티채널 앰프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카오디오 업그레이드를 할 때 아주 중요한 팁이다.<ref>KRELL Automotive,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132103&memberNo=43344621 <크렐 오토모티브> 앰프, 우퍼, 트위터, 미드레인지 이게 다 뭐야?]〉, 《네이버 포스트》, 2018-11-20</ref>
 
스피커 유닛을 보면 고역을 담당하는 것은 '트위터(Tweeter)', 중역을 담당하는 것은 '[[미드레인지]](Midrange), 저역을 담당하는 것은 '[[우퍼]](Woofer)'라고 부른다. [[카오디오]]에서는 중저역을 동시에 커버하는 '''미드우퍼'''(Mid-Woofer) 유닛을 주로 쓴다. 도어 안쪽에 그릴로 씌워진 커다란 스피커가 바로 이 미드우퍼이다. 이에 비해 작은 크기의 트위터는 대개 양쪽 A필러나 대시보드 양 사이드에 위치한다. 중요한 것은 스테레오 이미지를 위해 이들 스피커 유닛이 좌우에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대로 된 [[카오디오]] [[사운드]]를 즐기기 위해서는 최소한 4채널 이상의 '''파워앰프'''가 필요하다. 패시브 크로스오버 없이 왼쪽 트위터+미드우퍼, 오른쪽 트위터+미드우퍼를 각각 구동하기 위해서다. 추후 서브우퍼를 장착하는 경우를 대비해서라도 처음 시작할 때 멀티채널 앰프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카오디오 업그레이드를 할 때 아주 중요한 팁이다.<ref>KRELL Automotive,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132103&memberNo=43344621 <크렐 오토모티브> 앰프, 우퍼, 트위터, 미드레인지 이게 다 뭐야?]〉, 《네이버 포스트》, 2018-11-20</ref>
{{:자동차 배너|부품}}
 
  
 
== 정의 ==
 
== 정의 ==
14번째 줄: 13번째 줄:
  
 
== 상세 ==
 
== 상세 ==
[[파일:베릴륨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베릴륨 트위터(​Beryllium Tweeter)]]
+
[[파일:돔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돔 트위터(Dome Tweeter)]]
 +
[[파일:베릴륨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베릴륨 트위터'''(​Beryllium Tweeter)]]
 
[[파일:다이아몬드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다이아몬드 트위터(Diamond Tweeter)]]
 
[[파일:다이아몬드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다이아몬드 트위터(Diamond Tweeter)]]
 
[[파일:혼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혼 트위터(​Horn Tweeter)]]
 
[[파일:혼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혼 트위터(​Horn Tweeter)]]
 
[[파일:리본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리본 트위터(Ribbon Tweeter)]]
 
[[파일:리본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리본 트위터(Ribbon Tweeter)]]
 +
[[파일:콘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콘 트위터(Cone Tweeter)]]
 
[[파일:이온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이온 트위터(​Ion Tweeter)]]
 
[[파일:이온 트위터.png|썸네일|300픽셀|이온 트위터(​Ion Tweeter)]]
 
과거 주로 사용하던 풀레인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유닛이 모든 대역을 재생하였지만, 고음과 저음에 어울리는 구조와 방식의 스피커가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음 영역에 특화된 유닛을 제작한 것이 트위터이다.  
 
과거 주로 사용하던 풀레인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유닛이 모든 대역을 재생하였지만, 고음과 저음에 어울리는 구조와 방식의 스피커가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음 영역에 특화된 유닛을 제작한 것이 트위터이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