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티티씨 로고.png|썸네일|200픽셀|'''티티씨'''(TTC)]]
+
[[파일:티티씨 로고.png|썸네일|200픽셀|'''티티씨'''(TTC) 로고]]
[[파일:티티씨 글자.png|썸네일|300픽셀|'''티티씨'''(TTC)]]
+
[[파일:티티씨 글자.png|썸네일|300픽셀|'''티티씨'''(TTC) 로고와 글자]]
  
 
'''티티씨'''<!--티티시, 티티씨 프로토콜, TTC 프로토콜, TTC-->(TTC)는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창시자는 [[정현우]] 대표이사이다. 티티씨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양한 [[디앱]]에 사용자들이 만든 다양한 콘텐츠와 동영상을 올리고 기여자에게 보상을 지급한다. 티티씨 플랫폼 기반의 [[디앱]](DApp)으로 중국의 [[타타유에프오]](tataUFO), [[얼라이브]](ALIVE), [[깃닷에코]](git.eco) 등이 있다. 티티씨는 2018년 [[ICO]]를 끝내고 백서 1.0 버전을 완성하였다. 티티씨 프로토콜은 멀티 레벨 [[비잔틴 장애 허용]](BFT) 및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모델을 사용한다. 티티씨에 투자한 기업으로 한국의 [[해시드]], [[㈜네오플라이]]<!--네오플라이--> 등이 있다.<ref>주승호 기자, 〈[http://www.venturesquare.net/762722 티티씨프로토콜, 네오플라이로부터 투자 유치]〉, 《벤처스퀘어》, 2018-04-30</ref> 티티씨의 시가 총액은 2018년 10월 기준으로 2,250만 달러(약 247억원)으로서, 시가 총액 198위의 암호화폐이다.<ref name="TTC 백서">TTC, 〈[https://d1u6eqogwsdivn.cloudfront.net/whitepaper_v1/TTC_Whitepaper_KR.pdf TTC프로토콜: 탈중앙화된 인센티브 기반 소셜 네트워크 프로토콜]〉 V1.0, 티티씨 백서</ref>
 
'''티티씨'''<!--티티시, 티티씨 프로토콜, TTC 프로토콜, TTC-->(TTC)는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창시자는 [[정현우]] 대표이사이다. 티티씨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양한 [[디앱]]에 사용자들이 만든 다양한 콘텐츠와 동영상을 올리고 기여자에게 보상을 지급한다. 티티씨 플랫폼 기반의 [[디앱]](DApp)으로 중국의 [[타타유에프오]](tataUFO), [[얼라이브]](ALIVE), [[깃닷에코]](git.eco) 등이 있다. 티티씨는 2018년 [[ICO]]를 끝내고 백서 1.0 버전을 완성하였다. 티티씨 프로토콜은 멀티 레벨 [[비잔틴 장애 허용]](BFT) 및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모델을 사용한다. 티티씨에 투자한 기업으로 한국의 [[해시드]], [[㈜네오플라이]]<!--네오플라이--> 등이 있다.<ref>주승호 기자, 〈[http://www.venturesquare.net/762722 티티씨프로토콜, 네오플라이로부터 투자 유치]〉, 《벤처스퀘어》, 2018-04-30</ref> 티티씨의 시가 총액은 2018년 10월 기준으로 2,250만 달러(약 247억원)으로서, 시가 총액 198위의 암호화폐이다.<ref name="TTC 백서">TTC, 〈[https://d1u6eqogwsdivn.cloudfront.net/whitepaper_v1/TTC_Whitepaper_KR.pdf TTC프로토콜: 탈중앙화된 인센티브 기반 소셜 네트워크 프로토콜]〉 V1.0, 티티씨 백서</ref>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티티씨(TTC)가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했습니다.}}
+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티티씨(TTC)가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합니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티티씨(TTC)가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했습니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티티씨(TTC)가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했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티티씨코인은 자산 전송과 [[스마트 계약]]의 사용, 리소스 구매 및 기타 여러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범용 지갑인 티티씨커넥트(TTC Connect)는 유저와 티티씨 사이의 간극을 좁혀준다. 유저들은 티티씨 탈중앙화 [[거래소]](TDEX)에서 TTC 코인을 다른 [[토큰]]들과 교환할 수 있으며, 티티씨 플랫폼에 기반을 둔 독립 결제 솔루션인 티티씨페이(TTC Pay)를 활용해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티티씨코인은 자산 전송과 [[스마트 계약]]의 사용, 리소스 구매 및 기타 여러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범용 지갑인 티티씨커넥트(TTC Connect)는 유저와 티티씨 사이의 간극을 좁혀준다. 유저들은 티티씨 탈중앙화 [[거래소]](TDEX)에서 TTC 코인을 다른 [[토큰]]들과 교환할 수 있으며, 티티씨 플랫폼에 기반을 둔 독립 결제 솔루션인 티티씨페이(TTC Pay)를 활용해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에이콘 (ACORN)|에이콘]](ACN)은 티티씨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토큰으로, 탈중앙화된 인센티브 기반 소셜 네트워킹 프로토콜인 [[에이콘 프로토콜]]에서 사용된다. 에이콘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화된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통해 개별 유저들에게 소셜네트워크의 가치를 환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이콘 보상 엔진]](Acorn Rewards Engine)은 소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디앱]]에 기여한 유저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콘텐츠 공유 플랫폼, 온라인 포럼 및 소셜 커머스 등을 포함하여, 모든 유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에이콘 얼라이언스(Acorn Alliance)에 가입할 수 있다.<ref name="백서">티티씨 백서 - https://d1u6eqogwsdivn.cloudfront.net/whitepaper_v2/TTC_Whitepaper_KR.pdf</ref>
+
[[ACN]]은 티티씨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토큰으로, 탈중앙화된 인센티브 기반 소셜 네트워킹 프로토콜인 [[에이콘 프로토콜]]에서 사용된다. 에이콘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화된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통해 개별 유저들에게 소셜네트워크의 가치를 환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이콘 보상 엔진]](Acorn Rewards Engine)은 소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디앱]]에 기여한 유저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콘텐츠 공유 플랫폼, 온라인 포럼 및 소셜 커머스 등을 포함하여, 모든 유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에이콘 얼라이언스(Acorn Alliance)에 가입할 수 있다.<ref name="백서">티티씨 백서 - https://d1u6eqogwsdivn.cloudfront.net/whitepaper_v2/TTC_Whitepaper_KR.pdf</ref>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20번째 줄: 20번째 줄:
 
: 티티씨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그는 부산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컴퓨터와 친하게 지냈다. [[북경대학교]] 경제학원에서 금융학을 공부하고,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주에서 [[ICT]]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이후 [[소프트뱅크벤처스]]에서 애널리스트로 투자 관련 업무를 맡았으며, 2013년 중국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창업해 지금까지 회사를 이끌어오고 있다.<ref name="식스동">식스동, 〈[http://blog.naver.com/up-dongyoung/221474710713 TTC 팀원 알아보자 대표 정현우 그는 누구인가?]〉, 《네이버 블로그》, 2019-02-25</ref> 그는 2009년 [[비트코인]]이라는 개념에 대해 처음 들었다. 당시에는 [[랩탑]]으로도 시간당 50~60여 개의 비트코인을 [[채굴]]할 수 있었는데, 당시 정현우는 사람들이 [[알고리즘]]에 신뢰를 가지기 힘들거라 생각해 더 관심을 갖지는 않았다. 시간이 지나 2014년 소프트뱅크벤처스에서 [[코빗]]이라는 [[암호화폐 거래소]]에 투자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다시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았지만 여전히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엔 너무 어렵다고 생각했다. 이후 2017년 블록체인 투자 열기가 한국을 뒤흔들고 있을 때, 중국에 있었던 정현우는 오히려 한국의 열기와 많이 동떨어져 있었다. 그때 블록체인을 통해 생각보다 많은 것들이 바뀔거란 걸 알게 되었고 제대로 공부하기 시작했다. [[블록체인]] 업계가 90년대 후반의 [[인터넷]] 업계, 2010년 초반의 [[모바일]] 업계와 비슷한 위치에 와 있다고 생각했다.<ref name="메리로즈">메리로즈, 〈[https://blog.naver.com/jaejin7710/221457008964 TTC프로토콜, 생생한 창업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2019-02-06</ref>
 
: 티티씨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그는 부산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컴퓨터와 친하게 지냈다. [[북경대학교]] 경제학원에서 금융학을 공부하고,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주에서 [[ICT]]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이후 [[소프트뱅크벤처스]]에서 애널리스트로 투자 관련 업무를 맡았으며, 2013년 중국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창업해 지금까지 회사를 이끌어오고 있다.<ref name="식스동">식스동, 〈[http://blog.naver.com/up-dongyoung/221474710713 TTC 팀원 알아보자 대표 정현우 그는 누구인가?]〉, 《네이버 블로그》, 2019-02-25</ref> 그는 2009년 [[비트코인]]이라는 개념에 대해 처음 들었다. 당시에는 [[랩탑]]으로도 시간당 50~60여 개의 비트코인을 [[채굴]]할 수 있었는데, 당시 정현우는 사람들이 [[알고리즘]]에 신뢰를 가지기 힘들거라 생각해 더 관심을 갖지는 않았다. 시간이 지나 2014년 소프트뱅크벤처스에서 [[코빗]]이라는 [[암호화폐 거래소]]에 투자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다시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았지만 여전히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엔 너무 어렵다고 생각했다. 이후 2017년 블록체인 투자 열기가 한국을 뒤흔들고 있을 때, 중국에 있었던 정현우는 오히려 한국의 열기와 많이 동떨어져 있었다. 그때 블록체인을 통해 생각보다 많은 것들이 바뀔거란 걸 알게 되었고 제대로 공부하기 시작했다. [[블록체인]] 업계가 90년대 후반의 [[인터넷]] 업계, 2010년 초반의 [[모바일]] 업계와 비슷한 위치에 와 있다고 생각했다.<ref name="메리로즈">메리로즈, 〈[https://blog.naver.com/jaejin7710/221457008964 TTC프로토콜, 생생한 창업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2019-02-06</ref>
  
: 정현우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성장 방식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성장 방식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빠르게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규모의 경제]]를 형성하는 게 중요하다는 점에서이다.<ref name="식스동"></ref> 현대인들이 매일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와 블록체인이 결합했을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거라고도 생각했다.<ref name="메리로즈"></ref> 그는 소셜네트워크 업계에서 이미 수년 간 일해온 터라 이해도 또한 높은 편이었고, [[토큰 이코노미]]를 설계하고 결합하기에도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에 자연스럽게 소셜 네트워크와 블록체인을 접목한 티티씨 프로젝트를 구상하게 되었다.<ref>TTC Foundation, 〈[https://medium.com/ttc%ED%94%84%EB%A1%9C%ED%86%A0%EC%BD%9C-%EA%B3%B5%EC%8B%9D-%EB%B8%94%EB%A1%9C%EA%B7%B8/ttc-%ED%94%8C%EB%9E%AB%ED%8F%BC%EA%B3%BC-%EC%97%90%EC%9D%B4%EC%BD%98-%ED%94%84%EB%A1%9C%ED%86%A0%EC%BD%9C%EC%9D%98-%EB%B6%84%EB%A6%AC-1ae759c33ec0 TTC 블록체인 플랫폼과 에이콘 프로토콜의 분리]〉, 《미디엄》, 2019-03-28</ref>
+
: 티티씨의 이사이다. 정현우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성장 방식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성장 방식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빠르게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규모의 경제]]를 형성하는 게 중요하다는 점에서이다.<ref name="식스동"></ref> 현대인들이 매일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와 블록체인이 결합했을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거라고도 생각했다.<ref name="메리로즈"></ref> 그는 소셜네트워크 업계에서 이미 수년 간 일해온 터라 이해도 또한 높은 편이었고, [[토큰 이코노미]]를 설계하고 결합하기에도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에 자연스럽게 소셜 네트워크와 블록체인을 접목한 티티씨 프로젝트를 구상하게 되었다.<ref>TTC Foundation, 〈[https://medium.com/ttc%ED%94%84%EB%A1%9C%ED%86%A0%EC%BD%9C-%EA%B3%B5%EC%8B%9D-%EB%B8%94%EB%A1%9C%EA%B7%B8/ttc-%ED%94%8C%EB%9E%AB%ED%8F%BC%EA%B3%BC-%EC%97%90%EC%9D%B4%EC%BD%98-%ED%94%84%EB%A1%9C%ED%86%A0%EC%BD%9C%EC%9D%98-%EB%B6%84%EB%A6%AC-1ae759c33ec0 TTC 블록체인 플랫폼과 에이콘 프로토콜의 분리]〉, 《미디엄》, 2019-03-28</ref>
  
 
* '''[[장채선]]'''(Chang Chaisun)
 
* '''[[장채선]]'''(Chang Chaisun)
 
[[파일:장채선.jpg|썸네일|200픽셀|티티씨 '''[[장채선]]''' 이사]]
 
[[파일:장채선.jpg|썸네일|200픽셀|티티씨 '''[[장채선]]''' 이사]]
  
: 티티씨의 이사이다. 장채선은 세네갈에서 30개월 동안 IT 교육 컨설턴트로 일한 후 소프트뱅크벤처스코리아에서 첫 커리어를 시작했다. 이후 매신저앱 [[라인]](LINE)에서 태국 지사 설립부터 연매출 1,000억 원, 직원 200명으로 성장하는 동안 제휴 및 신사업 총괄 업무를 보았고, 이 기간 동안 [[삼성]], [[화웨이]], [[라자다]], [[AIS]], [[디텍]](dtac) 등 업계 1, 2위 기업들과 제휴를 진행하고 라인뮤직, 페이, 스티커, 웹스토어, 이커머스, 웹툰 등 신규 프로젝트를 10개 이상 태국 시장에 론칭했다. 라인페이(LINE Pay) 글로벌 사업 VP직을 맡아 6개월 내 태국 2위 페이먼트 게이트웨이 서비스로 성장시킨 경험이 있다. 이후 레트리카(Retrica)라는 카메라앱 [[스타트업]]에 7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유치 직후 조인하여 COO로 2년여 간 일했다.
+
: 장채선은 세네갈에서 30개월 동안 IT 교육 컨설턴트로 일한 후 소프트뱅크벤처스코리아에서 첫 커리어를 시작했다. 이후 매신저앱 [[라인]](LINE)에서 태국 지사 설립부터 연매출 1,000억 원, 직원 200명으로 성장하는 동안 제휴 및 신사업 총괄 업무를 보았고, 이 기간 동안 [[삼성]], [[화웨이]], [[라자다]], [[AIS]], [[디텍]](dtac) 등 업계 1, 2위 기업들과 제휴를 진행하고 라인뮤직, 페이, 스티커, 웹스토어, 이커머스, 웹툰 등 신규 프로젝트를 10개 이상 태국 시장에 론칭했다. 라인페이(LINE Pay) 글로벌 사업 VP직을 맡아 6개월 내 태국 2위 페이먼트 게이트웨이 서비스로 성장시킨 경험이 있다. 이후 레트리카(Retrica)라는 카메라앱 [[스타트업]]에 7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유치 직후 조인하여 COO로 2년여 간 일했다.
  
 
: 장채선은 2018년 1월, 정현우에게 [[ICO]]라는 단어에 대해 처음으로 설명을 들었다. 레트리카 COO로 일하던 때였고, 레트리카 자체 ICO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에 대해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결국 레트리카에서는 자체 ICO를 진행하지 않았지만, 2011년 소프트뱅크벤처스에 있었을 때 느꼈던 모바일 초창기 때의 에너지와 기회가 느껴져 블록체인 업계에 뛰어들기로 결정했다. 솔직히 티씨씨에 조인하던 시점에 그는 알고 있던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거의 없었다. 스캠이 너무 많았던 시기이고, 풀고자 하는 문제라던가 연봉, 어드바이저 목록 보다는 실제로 믿을 수 있는 사람과 같이 해야겠다는 생각이 훨씬 더 컸다. 그래서 레트리카를 나오기로 결심한 순간에 정현우가 같이 해보자고 제안을 했고, 큰 고민 없이 결정했다.<ref>Olivia Song, 〈[https://medium.com/ttc%ED%94%84%EB%A1%9C%ED%86%A0%EC%BD%9C-%EA%B3%B5%EC%8B%9D-%EB%B8%94%EB%A1%9C%EA%B7%B8/%EC%95%88%EB%85%95%ED%95%98%EC%84%B8%EC%9A%94-ttc%ED%94%84%EB%A1%9C%ED%86%A0%EC%BD%9C-%EB%A7%88%EC%BC%80%ED%8C%85-%EB%A7%A4%EB%8B%88%EC%A0%80-%EC%98%AC%EB%A6%AC%EB%B9%84%EC%95%84%EC%9E%85%EB%8B%88%EB%8B%A4-3498e2dea9a Meet the Team #2: 장채선 이사]〉, 《미디엄》, 2019-01-15</ref>
 
: 장채선은 2018년 1월, 정현우에게 [[ICO]]라는 단어에 대해 처음으로 설명을 들었다. 레트리카 COO로 일하던 때였고, 레트리카 자체 ICO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에 대해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결국 레트리카에서는 자체 ICO를 진행하지 않았지만, 2011년 소프트뱅크벤처스에 있었을 때 느꼈던 모바일 초창기 때의 에너지와 기회가 느껴져 블록체인 업계에 뛰어들기로 결정했다. 솔직히 티씨씨에 조인하던 시점에 그는 알고 있던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거의 없었다. 스캠이 너무 많았던 시기이고, 풀고자 하는 문제라던가 연봉, 어드바이저 목록 보다는 실제로 믿을 수 있는 사람과 같이 해야겠다는 생각이 훨씬 더 컸다. 그래서 레트리카를 나오기로 결심한 순간에 정현우가 같이 해보자고 제안을 했고, 큰 고민 없이 결정했다.<ref>Olivia Song, 〈[https://medium.com/ttc%ED%94%84%EB%A1%9C%ED%86%A0%EC%BD%9C-%EA%B3%B5%EC%8B%9D-%EB%B8%94%EB%A1%9C%EA%B7%B8/%EC%95%88%EB%85%95%ED%95%98%EC%84%B8%EC%9A%94-ttc%ED%94%84%EB%A1%9C%ED%86%A0%EC%BD%9C-%EB%A7%88%EC%BC%80%ED%8C%85-%EB%A7%A4%EB%8B%88%EC%A0%80-%EC%98%AC%EB%A6%AC%EB%B9%84%EC%95%84%EC%9E%85%EB%8B%88%EB%8B%A4-3498e2dea9a Meet the Team #2: 장채선 이사]〉, 《미디엄》, 2019-01-15</ref>
37번째 줄: 37번째 줄:
  
 
* '''낮은 트랜잭션 속도'''
 
* '''낮은 트랜잭션 속도'''
: 본질적으로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이다. 블록체인의 주요 기능은 [[데이터]]를 기록하고 전송하는 것이다. 초당 트랜잭션 수([[TPS]])는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데 쓰이는 용어이다. [[비트코인]]은 10 TPS의 속도로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반면에, [[이더리움]]은 15 TPS의 속도로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 일부 극단적인 사례에 의하면, 비트코인 트랜잭션이 승인될 때까지 몇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었다.
+
: 본질적으로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이다. 블록체인의 주요 기능은 [[데이터]]를 기록하고 전송하는 것이다. [[초당 트랜잭션 수]](TPS)는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데 쓰이는 용어이다. [[비트코인]]은 10 TPS의 속도로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반면에, [[이더리움]]은 15 TPS의 속도로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 일부 극단적인 사례에 의하면, 비트코인 트랜잭션이 승인될 때까지 몇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었다.
  
 
: TPS 확장은 블록체인 산업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 덕분에 효율적인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더 높은 TPS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이 발명되었다. 블록체인 기술의 더욱더 폭넓은 상용화를 위하여 만들어진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은 피크 용량에서 최대 1,000 TPS에 도달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채택되고 있다. TPS를 향상하기 위한 기술의 발전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블록체인 네트워크들은 경쟁 관계에 있는 중앙화된 네트워크에 비하면 여전히 한참 느린 편이다.<ref name="백서"></ref>
 
: TPS 확장은 블록체인 산업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 덕분에 효율적인 의사결정 시스템을 통해 더 높은 TPS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이 발명되었다. 블록체인 기술의 더욱더 폭넓은 상용화를 위하여 만들어진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은 피크 용량에서 최대 1,000 TPS에 도달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채택되고 있다. TPS를 향상하기 위한 기술의 발전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블록체인 네트워크들은 경쟁 관계에 있는 중앙화된 네트워크에 비하면 여전히 한참 느린 편이다.<ref name="백서"></ref>
148번째 줄: 148번째 줄:
  
 
===결제 솔루션===
 
===결제 솔루션===
 +
[[파일:티티씨페이를 적용한 디앱의 시연.PNG|400픽셀|썸네일|티티씨페이(TTC Pay)를 적용한 디앱의 시연]]
 +
 
* '''티티씨페이'''(TTC Pay)
 
* '''티티씨페이'''(TTC Pay)
: 티티씨페이는 TTC 코인을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는 독립적인 결제 솔루션이다.<ref name="코인파이"></ref> 티티씨페이 [[소프트웨어개발킷]](SDK)을 결합하여 누구라도 간단히 티티씨페이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티티씨페이는 상거래 서비스에 통합성과 편리성을 제공한다. 제품 설명과 같은 관련 정보는 지불이 이루어지는 동안 전달된다. TTC코인 지불은 [[QR코드]]를 스캔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편리한 사용자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개발자들은 또한 TTC 코인을 디앱에서 지불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더 많은 사용자들을 유치하는데 도움이 된다. 티티씨페이는 TTC 코인의 자매적인 사용 용도를 증가시킨다. 점점 더 많은 사용자들이 TTC 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받아들일수록 티티씨 생태계는 확장된다. 결과적으로 디앱 개발자와 최종 사용자 모두에게 이익을 주는 역동적인 생태계가 만들어질 수 있다.
+
: 티티씨페이는 TTC 코인을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는 독립적인 결제 솔루션이다.<ref name="코인파이"></ref> 티티씨페이 [[소프트웨어개발킷]](SDK)을 결합하여 누구라도 간단히 티티씨페이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티티씨페이는 상거래 서비스에 통합성과 편리성을 제공한다. 제품 설명과 같은 관련 정보는 지불이 이루어지는 동안 전달된다. TTC코인 지불은 [[QR코드]]를 스캔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편리한 사용자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
 
 +
: 개발자들은 또한 TTC 코인을 디앱에서 지불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더 많은 사용자들을 유치하는데 도움이 된다. 티티씨페이는 TTC 코인의 자매적인 사용 용도를 증가시킨다. 점점 더 많은 사용자들이 TTC 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받아들일수록 티티씨 에코시스템은 확장된다. 결과적으로 디앱 개발자와 최종 사용자 모두에게 이익을 주는 역동적인 생태계가 만들어질 수 있다.
  
 
* '''티티씨커넥트'''(TTC Connect)
 
* '''티티씨커넥트'''(TTC Connect)
: 사용자는 티티씨커넥트에서 자산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싱글사인온(single sigh -on, SSO) 기능을 사용하면, 티티씨 생태계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다. 티티씨커넥트는 사용자와 티티씨 플랫폼 사이의 간격을 이어준다. 티티씨커넥트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ref name="백서"></ref>
+
: 사용자는 티티씨커넥트에서 자산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싱글사인온(single sigh -on, SSO) 기능을 사용하면, 티티씨 에코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다. 티티씨커넥트는 사용자와 티티씨 플랫폼 사이의 간격을 이어준다. 티티씨커넥트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ref name="백서"></ref>
  
 
:* 여러 디앱 간 보상 동기화
 
:* 여러 디앱 간 보상 동기화
160번째 줄: 164번째 줄:
  
 
==토큰 이코노미==
 
==토큰 이코노미==
티티씨 플랫폼의 네이티브 토큰인 TTC 코인은 티티씨 생태계에서 보편적인 통화의 역할을 하며 자산 이전이나, 스마트 계약 설치, 이용 및 슬레이브 네트워크를 위한 가스의 구매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티티씨 플랫폼에서 토큰은 티티씨 플랫폼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새로운 서비스와 참여하는 사용자가 있을 때마다 티티씨 생태계를 확장한다.<ref name="백서"></ref>
+
티티씨 플랫폼의 네이티브 토큰인 TTC 코인은 티티씨 에코시스템에서 보편적인 통화의 역할을 하며 자산 이전이나, 스마트 계약 설치, 이용 및 슬레이브 네트워크를 위한 가스의 구매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티티씨 플랫폼에서 토큰은 티티씨 플랫폼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새로운 서비스와 참여하는 사용자가 있을 때마다 티티씨 에코시스템을 확장한다.<ref name="백서"></ref>
  
 
* '''TTC 코인 할당'''
 
* '''TTC 코인 할당'''
: 총 10억 개의 [[ERC-20]] 표준을 준수하는 TTC 임시 토큰이 초기에 토큰 세일, 생태계 구축, [[티티씨재단]] 운영, 컨센서스 채굴, 팀 구성원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 레거시 유저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 및 바운티 프로그램을 위해 발행되었다. 초기에 발행된 TTC 임시 토큰은 ERC-20 표준을 준수하는 [[암호화]] [[토큰]]이었다. 티티씨 플랫폼 [[메인넷]]의 출시와 관련하여, 이러한 초기 ERC-20 표준을 준수하는 TTC 임시 토큰은 다음 기준에 따라 티티씨 표준을 준수하는 TTC 코인으로 교체가 가능해진다.<ref name="백서"></ref>
+
: 총 10억 개의 [[ERC-20]] 표준을 준수하는 TTC 임시 토큰이 초기에 토큰 세일, 생태계 구축, 티티씨 재단 운영, 컨센서스 채굴, 팀 구성원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 레거시 유저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 및 바운티 프로그램을 위해 발행되었다. 초기에 발행된 TTC 임시 토큰은 ERC-20 표준을 준수하는 [[암호화]] [[토큰]]이었다. 티티씨 플랫폼 [[메인넷]]의 출시와 관련하여, 이러한 초기 ERC-20 표준을 준수하는 TTC 임시 토큰은 다음 기준에 따라 티티씨 표준을 준수하는 TTC 코인으로 교체가 가능해진다.<ref name="백서"></ref>
  
 
# 하나의 ERC-20 표준을 준수하는 TTC 임시 토큰
 
# 하나의 ERC-20 표준을 준수하는 TTC 임시 토큰
# 하나의 TTC 네이티브 코인 및 TTC 표준의 10개의 에이콘
+
# 하나의 TTC 네이티브 코인 및 TTC 표준의 10개의 [[ACN]]
  
 
: 토큰 스왑 출시의 시점을 포함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예정대로 발표될 것이다. TTC 코인의 할당은 다음과 같다.
 
: 토큰 스왑 출시의 시점을 포함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예정대로 발표될 것이다. TTC 코인의 할당은 다음과 같다.
  
# TTC 임시 토큰의 총 발행량 중 25%는 TTC 임시 토큰 세일을 통해 배분되었으며, 각각의 토큰은 토큰 스왑 출시와 관련하여 하나의 TTC 코인 및 10개의 에이콘으로 스왑이 가능하다.
+
# TTC 임시 토큰의 총 발행량 중 25%는 TTC 임시 토큰 세일을 통해 배분되었으며, 각각의 토큰은 토큰 스왑 출시와 관련하여 하나의 TTC 코인 및 10개의 ACN으로 스왑이 가능하다.
 
# (토큰 스왑 출시 전 TTC 임시 토큰이었던)TTC 코인의 총 발행량의 20%는 생태계 구축에 사용된다.
 
# (토큰 스왑 출시 전 TTC 임시 토큰이었던)TTC 코인의 총 발행량의 20%는 생태계 구축에 사용된다.
# (토큰 스왑 출시 전 TTC 임시 토큰이었던)TTC 코인의 총 발행량의 20%는 티티씨재단에 의해 더욱 활성화되고 접근성이 개선된 생태계의 개발에 사용된다.
+
# (토큰 스왑 출시 전 TTC 임시 토큰이었던)TTC 코인의 총 발행량의 20%는 티티씨 재단에 의해 더욱 활성화되고 접근성이 개선된 에코시스템의 개발에 사용된다.
 
# (토큰 스왑 출시 전 TTC 임시 토큰이었던)TTC 코인의 총 발행량의 25%는 대표 및 유권자에게 배분될 컨센서스 채굴 기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 (토큰 스왑 출시 전 TTC 임시 토큰이었던)TTC 코인의 총 발행량의 25%는 대표 및 유권자에게 배분될 컨센서스 채굴 기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 (토큰 스왑 출시 전 TTC 임시 토큰이었던)TTC 코인 발행량의 8%는 팀 구성원 및 고문을 위해 비축된다.
 
# (토큰 스왑 출시 전 TTC 임시 토큰이었던)TTC 코인 발행량의 8%는 팀 구성원 및 고문을 위해 비축된다.
207번째 줄: 211번째 줄:
 
<youtube>FEtyx58b-4w</youtube>
 
<youtube>FEtyx58b-4w</youtube>
 
<youtube>CY_9SJWYt9g</youtube>
 
<youtube>CY_9SJWYt9g</youtube>
 
;[해시넷] 티티씨 장채선 이사 인터뷰
 
<youtube>rGFIRydjoVk</youtube>
 
  
 
{{각주}}
 
{{각주}}
225번째 줄: 226번째 줄:
 
* [[정현우]]
 
* [[정현우]]
 
* [[장채선]]
 
* [[장채선]]
* [[에이콘 (ACORN)|에이콘]]
 
* [[티티씨재단]]
 
 
* [[SNS]]
 
* [[SNS]]
 
* [[타타유에프오]]
 
* [[타타유에프오]]
 
* [[네오플라이]]
 
* [[네오플라이]]
*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암호화폐 종류|좋은글}}
 
{{암호화폐 종류|좋은글}}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체인 플랫폼}}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