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렛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파워렛저 로고.png|썸네일|200픽셀|'''파워렛저'''(PowerLedger)]]
+
[[파일:파워렛저 로고.png|썸네일|200픽셀|'''파워렛저'''(PowerLedger) 로고]]
[[파일:파워렛저 글자.png|썸네일|300픽셀|'''파워렛저'''(PowerLedger)]]
+
[[파일:파워렛저 글자.png|썸네일|300픽셀|'''파워렛저'''(PowerLedger) 로고]]
 
 
'''파워렛저'''<!--파워레저-->(PowerLedger)는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 산업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파워레저'''라고도 한다. 파워렛저는 P2P 에너지 거래 시스템을 포함한 블록체인 기반 시장관리/가격책정 등 가능한 에너지 플랫폼을 지향한다. 파워레저의 화폐 단위는 '''POWR'''이다. 파워렛저의 공동 창시자 겸 회장은 호주의 [[제마 그린]](Jemma Green) 박사이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파워렛저가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했습니다.}}
 
  
 +
'''파워렛저'''<!--파워레저-->(PowerLedger)는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 산업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파워레저'''라고도 한다. 파워렛저는 P2P 에너지 거래 시스템을 포함한 블록체인 기반 시장관리/가격책정 등 가능한 에너지 플랫폼을 지향한다.
 +
[[파일:파워렛저-01.jpg|썸네일|400픽셀|'''파워렛저'''(PowerLedger)]]
 
==개요==
 
==개요==
[[파일:제마 그린.jpg|썸네일|200픽셀|'''[[제마 그린]]'''(Jemma Green) 파워렛저 창시자 겸 회장]]
 
[[파일:비노드 티와리.jpg|썸네일|200픽셀|'''[[비노드 티와리]]'''(Vinod Tiwari)]]
 
 
 
파워렛저는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유도하며, 개인 간 에너지 거래가 가능하게 한 블록체인 기술이다. 즉,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촉진하고,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안전성의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 에너지 시장이 원활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에너지 소비자와 기업 사이에 중개자 없이 태양광 에너지를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이기도 하다. 파워렛저는 상장 전에 이미 뉴질랜드 최대 에너지 인프라 회사 Vector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토큰 심볼은 POWR이다. 시가총액은 2018년 10월 16일 기준, 753억이며 총 발행량은 10억개이다. ICO는 2017년 9월 8일부터 10월 6일까지 진행되었다.<ref name="파워렛저 백서">〈[https://cdn2.hubspot.net/hubfs/4519667/Documents%20/Power%20Ledger%20Whitepaper.pdf 파워렛저 백서]〉</ref>
 
파워렛저는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유도하며, 개인 간 에너지 거래가 가능하게 한 블록체인 기술이다. 즉,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촉진하고,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안전성의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 에너지 시장이 원활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에너지 소비자와 기업 사이에 중개자 없이 태양광 에너지를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이기도 하다. 파워렛저는 상장 전에 이미 뉴질랜드 최대 에너지 인프라 회사 Vector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토큰 심볼은 POWR이다. 시가총액은 2018년 10월 16일 기준, 753억이며 총 발행량은 10억개이다. ICO는 2017년 9월 8일부터 10월 6일까지 진행되었다.<ref name="파워렛저 백서">〈[https://cdn2.hubspot.net/hubfs/4519667/Documents%20/Power%20Ledger%20Whitepaper.pdf 파워렛저 백서]〉</ref>
 
   
 
   
15번째 줄: 10번째 줄:
 
에너지 시장은 과학의 발전으로 전력 공급 방법이 매우 다양해졌다. 그중에서도 가장 활성화되고 상용화되고 있는 새로운 전력 공급원은 바로 태양에너지이다. 태양에서 방출되는 빛을 전력으로 활용하면서 친환경적이고 실용적이기 때문에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대부분 집이 아파트 형태의 고층 빌딩이라서 태양광을 찾기 어렵지만, 미국, 호주와 같은 해외 주택들은 이미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집이 매우 많다. 이들은 태양광을 이용해 자신의 집에서 전력을 스스로 공급하고 전기를 자급자족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이렇게 에너지 기술은 변해가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도 공기업에서 독점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가격결정권은 소수의 전력회사가 모두 차지하고 있다. 파워렛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비자들을 위한 새로운 시장 구조를 만들기 위해 파워렛저 플랫폼을 개발했다.<ref name="파워렛저(POWR) 개념 및 특징">〈[https://www.moneynet.co.kr/board_lecture/634442 파워렛저(POWR) 개념 및 특징]〉</ref>
 
에너지 시장은 과학의 발전으로 전력 공급 방법이 매우 다양해졌다. 그중에서도 가장 활성화되고 상용화되고 있는 새로운 전력 공급원은 바로 태양에너지이다. 태양에서 방출되는 빛을 전력으로 활용하면서 친환경적이고 실용적이기 때문에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대부분 집이 아파트 형태의 고층 빌딩이라서 태양광을 찾기 어렵지만, 미국, 호주와 같은 해외 주택들은 이미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집이 매우 많다. 이들은 태양광을 이용해 자신의 집에서 전력을 스스로 공급하고 전기를 자급자족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이렇게 에너지 기술은 변해가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도 공기업에서 독점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가격결정권은 소수의 전력회사가 모두 차지하고 있다. 파워렛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비자들을 위한 새로운 시장 구조를 만들기 위해 파워렛저 플랫폼을 개발했다.<ref name="파워렛저(POWR) 개념 및 특징">〈[https://www.moneynet.co.kr/board_lecture/634442 파워렛저(POWR) 개념 및 특징]〉</ref>
 
   
 
   
==특징==
+
==특징==  
[[파일:파워렛저-01.jpg|썸네일|400픽셀|'''파워렛저'''(PowerLedger)]]
 
[[파일:도표.PNG|썸네일|400픽셀|파워렛저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토큰===
 
===토큰===
 
파워렛저에는 두 가지 토큰이 있다. POWR토큰은 파워렛저 생태계에 연료를 공급하는 이더리움 기반 토큰이며 액세스 허용 토큰 역할을 해주므로 응용프로그램 호스트와 소비자 간 거래를 가능하게 해준다. 일종의 인증서 개념이다. 스파크즈(Sparkz)토큰은 파워렛저 플랫폼에서 실질적인 거래에 이용되는 코인이다. 호스트에 액세스를 통해서 POWR토큰을 스파크즈로 토큰으로 변환 할 수 있다. 파워렛저는 기존 에너지 유통 네트워크의 가치를 유지해주며 소비자의 손에 에너지 경제를 관리할 힘을 부여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f name="파워렛저 백서"></ref>
 
파워렛저에는 두 가지 토큰이 있다. POWR토큰은 파워렛저 생태계에 연료를 공급하는 이더리움 기반 토큰이며 액세스 허용 토큰 역할을 해주므로 응용프로그램 호스트와 소비자 간 거래를 가능하게 해준다. 일종의 인증서 개념이다. 스파크즈(Sparkz)토큰은 파워렛저 플랫폼에서 실질적인 거래에 이용되는 코인이다. 호스트에 액세스를 통해서 POWR토큰을 스파크즈로 토큰으로 변환 할 수 있다. 파워렛저는 기존 에너지 유통 네트워크의 가치를 유지해주며 소비자의 손에 에너지 경제를 관리할 힘을 부여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f name="파워렛저 백서"></ref>
 
+
[[파일:도표.PNG|썸네일|400픽셀|파워렛저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지속가능성은 파워렛저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이다. 따라서 작업증명 알고리즘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하이브리드 퍼블릭과 컨소디움 블록체인 접근방식이 채택됐다. 이더리움 퍼블릭 블록체인의 POWR 토큰과 수수료가 있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높은 트랜잭션 양의 P2P 에너지 거래를 처리한다.<ref name="파워렛저 백서"></ref>
 
지속가능성은 파워렛저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이다. 따라서 작업증명 알고리즘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하이브리드 퍼블릭과 컨소디움 블록체인 접근방식이 채택됐다. 이더리움 퍼블릭 블록체인의 POWR 토큰과 수수료가 있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높은 트랜잭션 양의 P2P 에너지 거래를 처리한다.<ref name="파워렛저 백서"></ref>
63번째 줄: 55번째 줄:
 
전송 네트워크 관리에서, 플랫폼은 실시간 측정 테이터, 빅 데이터 수집, 자산 액세스 및 발송 권한, 신속한 트랜잭션 해결 및 네트워크 부하 분산 기능을 제고하여 비체계적 에너지에 대응한다.<ref name="파워렛저 백서"></ref>   
 
전송 네트워크 관리에서, 플랫폼은 실시간 측정 테이터, 빅 데이터 수집, 자산 액세스 및 발송 권한, 신속한 트랜잭션 해결 및 네트워크 부하 분산 기능을 제고하여 비체계적 에너지에 대응한다.<ref name="파워렛저 백서"></ref>   
  
==평가==   
+
==평가(문제점 혹은 강점)==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고, 에너지 분야에서 다량에 특별한 경험을 가진팀이다. 그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과 애플리케이션에 상당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강력한 기술팀이다. 파워렛저가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위에 그들의 플랫폼을 설계하고 있다 하지만 타 블록체인과도 결합할 수 있고 플랫폼은 다양한 시장 간에 상호 운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있어 어떤 환경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이 가능하다. 수많은 이해 관계자들의 참여는 시장의 시너지 효과를 확대하고, 생태계에 도움이 될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운영과 관련되어 이야기한다면 파워렛저는 안정적인 운영을 기반으로 기업의 투명한 정보 공개라는 장점이 있다.<ref name="파워렛저(POWR) 개념 및 특징"></ref>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고, 에너지 분야에서 다량에 특별한 경험을 가진팀이다. 그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과 애플리케이션에 상당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강력한 기술팀이다. 파워렛저가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위에 그들의 플랫폼을 설계하고 있다 하지만 타 블록체인과도 결합할 수 있고 플랫폼은 다양한 시장 간에 상호 운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있어 어떤 환경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이 가능하다. 수많은 이해 관계자들의 참여는 시장의 시너지 효과를 확대하고, 생태계에 도움이 될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운영과 관련되어 이야기한다면 파워렛저는 안정적인 운영을 기반으로 기업의 투명한 정보 공개라는 장점이 있다.<ref name="파워렛저(POWR) 개념 및 특징"></ref>  
  
70번째 줄: 62번째 줄: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파워렛저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powerledger.io/
 
* 파워렛저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powerledger.io/
 +
* 머니넷스탭, 〈[https://www.moneynet.co.kr/board_lecture/634442 파워렛저(POWR) 개념 및 특징]〉, 《머니넷》, 2018-01-24
 
* 〈[https://cdn2.hubspot.net/hubfs/4519667/Documents%20/Power%20Ledger%20Whitepaper.pdf 파워렛저 백서]〉, 《파워렛저》
 
* 〈[https://cdn2.hubspot.net/hubfs/4519667/Documents%20/Power%20Ledger%20Whitepaper.pdf 파워렛저 백서]〉, 《파워렛저》
* 머니넷스탭, 〈[https://www.moneynet.co.kr/board_lecture/634442 파워렛저(POWR) 개념 및 특징]〉, 《머니넷》,  2018-01-24
 
* 임지선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1120600035 (커버스토리)집에서 만든 전기, 이웃끼리 사고팔고…블록체인 믿고 거래한다]〉, 《경향신문》, 2019-01-12
 
 
* 고당도오렌지, 〈[https://blog.naver.com/gameteam1/221261773904 파워렛저(Power Ledger/POWR)코인]〉, 《개인블로그》, 2018-04-26
 
* 고당도오렌지, 〈[https://blog.naver.com/gameteam1/221261773904 파워렛저(Power Ledger/POWR)코인]〉, 《개인블로그》, 2018-04-26
  
== 같이 보기 ==
+
{{토막글}}
* [[제마 그린]]
+
{{암호화폐 종류}}
* [[비노드 티와리]]
+
[[파일:도표.PNG|썸네일|400픽셀|파워렛저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 [[아냐 노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