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블록체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퍼블릭 블록체인.png|썸네일|400픽셀|'''[[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이란 누구든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말한다. '''공공 블록체인''' 또는 '''개방형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이 없이 누구든지 인터넷에 연결된 PC, 노트북, 스마트폰, 서버컴퓨터, [[채굴기]] 등 다양한 컴퓨터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이란 누구든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말한다. '''공공 블록체인''', '''개방형 블록체인''', '''무허가형 블록체인'''(permissionless blockchain)이라고 한다.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이 없이 누구든지 [[인터넷]]에 연결된 PC, 노트북, 스마트폰, 서버컴퓨터, [[채굴기]] 등 다양한 컴퓨터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 특징 ==
 
== 특징 ==
13번째 줄: 11번째 줄:
 
== 문제점 ==
 
== 문제점 ==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인 [[네오]](NEO)를 창시한 [[다홍페이]](Da Hongfei)는 퍼블릭 블록체인이 당면한 문제점을 8대 과제로 정리했다.<ref>방은주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21151549 네오 CEO "블록체인은 인터넷 이상 기술"]〉, 《지디넷코리아》, 2018-07-21</ref>
+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인 [[네오]](NEO)를 창시한 [[다 홍페이]](Da Hongfei)는 퍼블릭 블록체인이 당면한 문제점을 8대 과제로 정리했다.<ref>방은주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21151549 네오 CEO "블록체인은 인터넷 이상 기술"]〉, 《지디넷코리아》, 2018-07-21</ref>
  
 
* '''확장성 제한'''(limited scalability) : 퍼블릭 블록체인은 사용자가 많지 않았던 초기와 달리,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확장성]] 문제가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경우 블록 1개의 크기가 1MB로 정해져 있는데, 10분간 이루어지는 거래를 최대 2,000건 정도만 기록할 수 있다. 만약 10분 사이에 2,000건 이상의 거래가 발생할 경우, 해당 거래내역이 1MB 안에 기록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앞으로 퍼블릭 블록체인 사용자들이 더 많아질 경우, 블록 사이즈 제한에 따른 확장성 문제로 인해, 거래 지연 현상은 더욱 심화될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세그윗]](SegWit)도 진행했고, 블록 사이즈를 8MB 이상으로 늘린 [[비트코인캐시]]를 만들기도 했으나, 일시적 해결책일 뿐이며, 확장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확장성 제한'''(limited scalability) : 퍼블릭 블록체인은 사용자가 많지 않았던 초기와 달리,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확장성]] 문제가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경우 블록 1개의 크기가 1MB로 정해져 있는데, 10분간 이루어지는 거래를 최대 2,000건 정도만 기록할 수 있다. 만약 10분 사이에 2,000건 이상의 거래가 발생할 경우, 해당 거래내역이 1MB 안에 기록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앞으로 퍼블릭 블록체인 사용자들이 더 많아질 경우, 블록 사이즈 제한에 따른 확장성 문제로 인해, 거래 지연 현상은 더욱 심화될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세그윗]](SegWit)도 진행했고, 블록 사이즈를 8MB 이상으로 늘린 [[비트코인캐시]]를 만들기도 했으나, 일시적 해결책일 뿐이며, 확장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21번째 줄: 19번째 줄:
 
* '''지속적이지 않은 합의 메커니즘'''(unsustainable consensus mechanism) : 블록체인에서 거래를 확정짓기 위해서는 다수의 참여자들이 동의할 수 있는 [[합의 알고리즘]]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비트코인 등 [[작업증명]](PoW)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은 [[채굴]] 경쟁에 따른 막대한 전기 낭비와 환경 파괴를 유발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작업증명 방식의 대안으로, [[지분증명]](PoS), [[위임지분증명]](DPoS), [[중요도증명]](PoI) 등 다양한 대안이 출현하고 있으나,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공정하고 합리적인 합의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는다.
 
* '''지속적이지 않은 합의 메커니즘'''(unsustainable consensus mechanism) : 블록체인에서 거래를 확정짓기 위해서는 다수의 참여자들이 동의할 수 있는 [[합의 알고리즘]]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비트코인 등 [[작업증명]](PoW)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은 [[채굴]] 경쟁에 따른 막대한 전기 낭비와 환경 파괴를 유발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작업증명 방식의 대안으로, [[지분증명]](PoS), [[위임지분증명]](DPoS), [[중요도증명]](PoI) 등 다양한 대안이 출현하고 있으나,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공정하고 합리적인 합의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는다.
 
* '''거버넌스 및 표준 취약'''(lack of government and standard) : 블록체인 커뮤니티에서 공동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거버넌스]] 체계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해당 암호화폐의 창시자 개인이 절대적 권위를 가진 경우도 있고, 재단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경우도 있으며, [[위임지분증명]] 방식을 사용하는 [[이오스]]처럼 대표자를 선출하는 선거를 치르기도 한다. 하지만 어느 경우에도 독재 혹은 과두제에 따른 의사결정 권한의 중앙집중 현상을 막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블록체인 업체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면서, 모두가 따를 수 있는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처럼 업계 표준을 만드려는 시도가 있으나, 다수의 지지자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 '''거버넌스 및 표준 취약'''(lack of government and standard) : 블록체인 커뮤니티에서 공동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거버넌스]] 체계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해당 암호화폐의 창시자 개인이 절대적 권위를 가진 경우도 있고, 재단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경우도 있으며, [[위임지분증명]] 방식을 사용하는 [[이오스]]처럼 대표자를 선출하는 선거를 치르기도 한다. 하지만 어느 경우에도 독재 혹은 과두제에 따른 의사결정 권한의 중앙집중 현상을 막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블록체인 업체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면서, 모두가 따를 수 있는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처럼 업계 표준을 만드려는 시도가 있으나, 다수의 지지자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 '''부적절한 툴'''(inadequate tooling) :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적절한 툴(tool)이 없는 문제가 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솔리디티]]를 제시했으나, 실제 개발 과정에서 상당한 기술적 제약이 있다. 블록체인 개발자들이 원하는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표준 [[프레임워크]]가 필요한데, 리눅스재단의 [[하이퍼레저]]나 [[비트퓨리]]의 [[엑소넘]] 플랫폼 등이 등장했으나,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불과하다.
+
* '''부적절한 툴'''(inadequable tooling) :
* '''양자컴퓨터의 위협'''(quantum computing threat) : 블록체인은 해시 암호화 기술에 기반하고 있는데, 이 [[해시]]는 "아주 큰 소수는 인수분해가 어렵다"는 점을 바탕으로 구축된 암호화 기술이다. 하지만 [[양자컴퓨터]]<!--양자 컴퓨터-->가 등장하여 아주 큰 소수의 인수분해를 빠른 시간 안에 처리할 수 있다면, 해시 기반의 암호화 체계는 붕괴될 우려가 있다. 양자컴퓨터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풀리지 않는 더욱 고도화된 암호화 기술이 필요하다.
+
* '''퀀텀 컴퓨팅 위협'''(quantum computing threat) :
  
 
{{각주}}
 
{{각주}}
28번째 줄: 26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방은주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21151549 네오 CEO "블록체인은 인터넷 이상 기술"]〉, 《지디넷코리아》, 2018-07-21
 
* 방은주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21151549 네오 CEO "블록체인은 인터넷 이상 기술"]〉, 《지디넷코리아》, 2018-07-21
* 머니넷스탭, 〈[https://www.moneynet.co.kr/board_lecture/112110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과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머니넷》, 2017-09-27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42 퍼블릭(Public) 블록체인과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을 알아보자]〉, 《블록센스》, 2018-07-0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35번째 줄: 31번째 줄:
 
* [[프라이빗 블록체인]]
 
* [[프라이빗 블록체인]]
  
{{블록체인 플랫폼|추가 필요}}
+
[[분류:블록체인]]
{{블록체인 기술}}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