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셜 캡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페이셜 캡처'''(Facial capture)란 [[3D]] [[애니메이션]] 등에서 얼굴의 움직임을 신호로 얻은 후에 디지털 [[캐릭터]]의 얼굴에 반영하는 과정이다. [[모션 캡처]]의 종류 중 하나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1314&cid=50338&categoryId=50338 페이설 캡처]〉, 《네이버 지식백과》</ref>
 
'''페이셜 캡처'''(Facial capture)란 [[3D]] [[애니메이션]] 등에서 얼굴의 움직임을 신호로 얻은 후에 디지털 [[캐릭터]]의 얼굴에 반영하는 과정이다. [[모션 캡처]]의 종류 중 하나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1314&cid=50338&categoryId=50338 페이설 캡처]〉, 《네이버 지식백과》</ref>
  
==개요==
+
==상세==
 
페이셜 캡처는 카메라나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사람의 얼굴 움직임을 전자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변환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컴퓨터 그래픽]](CG), [[영화]], [[게임]] 또는 실시간 [[아바타]]를 위한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컴퓨터 그래픽 캐릭터의 동작은 실제 사람들의 움직임에서 반영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이 수동으로 만들어졌을 때보다 훨씬 더 사실적이고 세밀하게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페이셜 캡처 데이터베이스는 배우 얼굴의 기준점에 대한 좌표 또는 상대 위치를 설명한다. 캡처는 2차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캡처 과정을 "표현 추적"이라고 부른다. 단일 카메라와 캡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2차원 캡처를 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추적이 덜 섬세하고, 머리 회전과 같은 3차원 움직임을 완벽하게 캡처할 수 없다. 3차원 캡처는 다중 카메라 장비 또는 레이저 마커 시스템을 사용하여 진행된다. 이런 시스템은 보통 훨씬 더 가격이 비싸고 복잡하며 많은 시간이 걸린다. 페이셜 캡처는 눈과 입술의 작은 움직임으로부터 가능한 미세한 표정을 감지하고 추적해야 하는 고해상도 조건 때문에 더 까다롭다. 이러한 움직임은 보통 몇 밀리미터도 안 되므로 해상도와 정확도가 훨씬 더 높아야 하며 바디 캡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다른 필터링 기술이 필요하다.<ref>〈[https://en.wikipedia.org/wiki/Facial_motion_capture#cite_note-LW1990-1 Facial motion capture]〉, 《위키피디아》</ref>  
 
페이셜 캡처는 카메라나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사람의 얼굴 움직임을 전자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변환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컴퓨터 그래픽]](CG), [[영화]], [[게임]] 또는 실시간 [[아바타]]를 위한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컴퓨터 그래픽 캐릭터의 동작은 실제 사람들의 움직임에서 반영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이 수동으로 만들어졌을 때보다 훨씬 더 사실적이고 세밀하게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다. 페이셜 캡처 데이터베이스는 배우 얼굴의 기준점에 대한 좌표 또는 상대 위치를 설명한다. 캡처는 2차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캡처 과정을 "표현 추적"이라고 부른다. 단일 카메라와 캡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2차원 캡처를 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추적이 덜 섬세하고, 머리 회전과 같은 3차원 움직임을 완벽하게 캡처할 수 없다. 3차원 캡처는 다중 카메라 장비 또는 레이저 마커 시스템을 사용하여 진행된다. 이런 시스템은 보통 훨씬 더 가격이 비싸고 복잡하며 많은 시간이 걸린다. 페이셜 캡처는 눈과 입술의 작은 움직임으로부터 가능한 미세한 표정을 감지하고 추적해야 하는 고해상도 조건 때문에 더 까다롭다. 이러한 움직임은 보통 몇 밀리미터도 안 되므로 해상도와 정확도가 훨씬 더 높아야 하며 바디 캡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다른 필터링 기술이 필요하다.<ref>〈[https://en.wikipedia.org/wiki/Facial_motion_capture#cite_note-LW1990-1 Facial motion capture]〉, 《위키피디아》</ref>  
  
18번째 줄: 18번째 줄:
  
 
===게임===
 
===게임===
* '''[[오딘: 발할라 라이징]]'''(ODIN: VALHALLA RISING) : [[㈜카카오게임즈]]가 배급하는 오딘은 북유럽 신화의 세계관, 거대한 대륙을 구현한 오픈 월드 등 많은 콘텐츠를 갖춘 고퀄리티 그래픽 [[MMORPG]] 게임이다. 2021년 3월에 공개된 게임 전체 세계관의 배경이 되는 내용을 담은 프리퀄 형태의 인게임 트레일러 '로키의 분노'에는 신들의 세계에서 추방 당한 이후 복수를 꿈꾸는 로키가 영상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테마기행-북유럽 신화 속으로' 영상은 실제 인 게임 환경을 플레이하며 촬영 및 제작한 영상이다. 로키의 분노 영상은 실제 게임에 쓰이는 리소스를 활용하여 [[언리얼 엔진]] 4의 시퀀스를 바탕으로 직접 촬영 및 제작된 영상이다. 트레일러 영상을 실제 엔진으로 직접 제작하였다. 영상 제작을 담당한 오딘의 개발사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의 연출 영상팀은 "실제 게임의 모든 리소스를 활용해, 영상과 출시 이후 이용자들이 경험할 인 게임 화면의 차이가 없도록 제작했다"며 "애니메이션 같은 경우, 모션 캡처와 페이셜 캡처 기술을 통해 실제 인물의 리얼한 움직임을 표현하고자 노력했다"고 밝혔다.<ref>이시영 기자, 〈[https://www.gamechosun.co.kr/webzine/article/view.php?no=173375 카카오게임즈, 신작 ‘오딘: 발할라 라이징’ 인게임 트레일러 이렇게 만들었다]〉, 《게임조선》, 2021-03-26</ref>
+
* '''[[오딘: 발할라 라이징]]'''(ODIN: VALHALLA RISING) : [[㈜카카오게임즈]]가 배급하는 오딘은 북유럽 신화의 세계관, 거대한 대륙을 구현한 오픈 월드 등 많은 콘텐츠를 갖춘 고퀄리티 그래픽 [[MMORPG]] 게임이다. 2021년 3월에 공개된 게임 전체 세계관의 배경이 되는 내용을 담은 프리퀄 형태의 인게임 트레일러 '로키의 분노'에는 신들의 세계에서 추방 당한 이후 복수를 꿈꾸는 로키가 영상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테마기행-북유럽 신화 속으로' 영상은 실제 인 게임 환경을 플레이하며 촬영 및 제작한 영상이다. 로키의 분노 영상은 실제 게임에 쓰이는 리소스를 활용하여 [[언리얼 엔진]] 4의 시퀀스를 바탕으로 직접 촬영 및 제작된 영상이다. 트레일러 영상을 실제 엔진으로 직접 제작하였다. 영상 제작을 담당한 오딘의 개발사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의 연출 영상팀 [[강희민]] 팀장과 [[이상원]] 사원은 "실제 게임의 모든 리소스를 활용해, 영상과 출시 이후 이용자들이 경험할 인 게임 화면의 차이가 없도록 제작했다"며 "애니메이션 같은 경우, 모션 캡처와 페이셜 캡처 기술을 통해 실제 인물의 리얼한 움직임을 표현하고자 노력했다"고 밝혔다.<ref>이시영 기자, 〈[https://www.gamechosun.co.kr/webzine/article/view.php?no=173375 카카오게임즈, 신작 ‘오딘: 발할라 라이징’ 인게임 트레일러 이렇게 만들었다]〉, 《게임조선》, 2021-03-26</ref>
  
 
* '''[[미르4]]'''(MIR4) : [[㈜위메이드]]가 배급하는 MMORPG 게임으로, 인기 배우들을 게임 캐릭터로 출연시켰다. 실제 배우들의 페이셜 캡처를 하여 주요 캐릭터에 자연스러운 표정을 통한 감정 표현과 모션 캡처 배우들과 함께 생생하고 사실감 넘치는 액션을 게임에 담아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었다.<ref>이원희 기자, 〈[http://game.dailyesports.com/view.php?ud=202011121729132501da2c546b3a_26 '야인시대' 명품배우 안재모, '미르4' 캐릭터로 전격 변신]〉, 《데일리게임》, 2020-11-12</ref>  
 
* '''[[미르4]]'''(MIR4) : [[㈜위메이드]]가 배급하는 MMORPG 게임으로, 인기 배우들을 게임 캐릭터로 출연시켰다. 실제 배우들의 페이셜 캡처를 하여 주요 캐릭터에 자연스러운 표정을 통한 감정 표현과 모션 캡처 배우들과 함께 생생하고 사실감 넘치는 액션을 게임에 담아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었다.<ref>이원희 기자, 〈[http://game.dailyesports.com/view.php?ud=202011121729132501da2c546b3a_26 '야인시대' 명품배우 안재모, '미르4' 캐릭터로 전격 변신]〉, 《데일리게임》, 2020-11-12</ref>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