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정해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 한국의 평정해산 ==
 
== 한국의 평정해산 ==
 
[[파일:태평양 해저의 보름달평정해산.jpg|썸네일|300픽셀||태평양 해저의 보름달평정해산]]
 
[[파일:태평양 해저의 보름달평정해산.jpg|썸네일|300픽셀||태평양 해저의 보름달평정해산]]
[[파일:동태평양 지역 연 평정해산과 보름달 평정해산.jpg|썸네일|300픽셀|동태평양 지역 - 3번 연 평정해산.  6번 보름달 평정해산]]
+
[[파일:동태평양 지역 연 평정해산과 보름달 평정해산.jpg|썸네일|300픽셀|3번 연 평정해산.  6번 보름달 평정해산]]
 
[[파일:독도 평정해산.jpg|썸네일|300픽셀|독도 평정해산]]
 
[[파일:독도 평정해산.jpg|썸네일|300픽셀|독도 평정해산]]
 
=== 보름달 평정해산 ===
 
=== 보름달 평정해산 ===
38번째 줄: 38번째 줄:
 
현재 우리가 보는 독도는 동도와 서도로 나뉘어 있다. 동도와 서도는 울릉도만큼이나 거대했던 독도가 부단한 풍화와 침식에 견디다 못해 마지막으로 남겨 놓은 분화구의 흔적이다.<ref>김태현 기자,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906 스트레이트 기획 - 독도의 신비 ② 세계적인 대양섬 ‘독도 평정해산’ 탄생]〉, 《스트레이트뉴스》, 2021-07-11</ref>
 
현재 우리가 보는 독도는 동도와 서도로 나뉘어 있다. 동도와 서도는 울릉도만큼이나 거대했던 독도가 부단한 풍화와 침식에 견디다 못해 마지막으로 남겨 놓은 분화구의 흔적이다.<ref>김태현 기자,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906 스트레이트 기획 - 독도의 신비 ② 세계적인 대양섬 ‘독도 평정해산’ 탄생]〉, 《스트레이트뉴스》, 2021-07-11</ref>
 
=== 온누리 평정해산, 백두평정해산, 아리랑평정 ===
 
=== 온누리 평정해산, 백두평정해산, 아리랑평정 ===
[[파일:태평양 평정해산.png|썸네일|300픽셀|서태평양해역 해저지형]]
+
[[파일:태평양 평정해산.png|썸네일|300픽셀|태평양해역 해저지형]]
 
온누리 평정해산(Onnuri Guyot)은 서태평양에 있는 평정해산이다. 제22차 국제해저지명소위원회에서 등재되었다. '온누리'는 이 해역을 탐사한 한국해양연구원의 조사선인 온누리호의 이름에서 따왔다. 온누리호 조사선은 1992년부터 태평양에서 조사활동을 해오고 있는 종합해양관측선으로 국제해저지명 명명 원칙(조사선)에 부합된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8%A8%EB%88%84%EB%A6%AC_%ED%8F%89%EC%A0%95%ED%95%B4%EC%82%B0 온누리 평정해산]〉, 《위키백과》, </ref>  
 
온누리 평정해산(Onnuri Guyot)은 서태평양에 있는 평정해산이다. 제22차 국제해저지명소위원회에서 등재되었다. '온누리'는 이 해역을 탐사한 한국해양연구원의 조사선인 온누리호의 이름에서 따왔다. 온누리호 조사선은 1992년부터 태평양에서 조사활동을 해오고 있는 종합해양관측선으로 국제해저지명 명명 원칙(조사선)에 부합된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8%A8%EB%88%84%EB%A6%AC_%ED%8F%89%EC%A0%95%ED%95%B4%EC%82%B0 온누리 평정해산]〉, 《위키백과》, </ref>  
  
49번째 줄: 49번째 줄:
 
국립해양조사원은 한국해양연구원이 탐사한 자료를 모아 국제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는지 확인했고, 발견된 해산과 평정해산의 자료를 국제기구에 등재심의 요청한 결과 4개의 지형에 한글지명을 붙이게 됐다.
 
국립해양조사원은 한국해양연구원이 탐사한 자료를 모아 국제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는지 확인했고, 발견된 해산과 평정해산의 자료를 국제기구에 등재심의 요청한 결과 4개의 지형에 한글지명을 붙이게 됐다.
  
해저지명은 해양과학이나 항해하는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명칭이다. 사람을 이름으로 쉽게 기억하듯 해저지명도 이름을 통해 해저의 입체적 영상을 쉽게 떠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우리식 해저지명을 등록하면 우리 영토라는 느낌이 강해져 영토 확보와도 관계된다.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이 동해를 일본해라고 표기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ref>KISTI의 과학향기, 〈[https://www.hani.co.kr/arti/PRINT/391931.html 태평양 한가운데 한글지명이]〉, 《한겨레》, 2009-12-07</ref>
+
해저지명은 해양과학이나 항해하는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명칭이다. 사람을 이름으로 쉽게 기억하듯 해저지명도 이름을 통해 해저의 입체적 영상을 쉽게 떠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우리식 해저지명을 등록하면 우리 영토라는 느낌이 강해져 영토 확보와도 관계된다.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이 동해를 일본해라고 표기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ref>KISTI의 과학향기, 〈[https://www.hani.co.kr/arti/PRINT/391931.html 태평양 한가운데 한글지명이]〉, 《한겨레》, 2009-12-07</ref>  
  
 
== 동영상 ==
 
== 동영상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