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분류==
 
==분류==
 
===페러미터형 프레임===
 
===페러미터형 프레임===
페러미터형 프레임(Perimeter frame)은 주위형 프레임이라고도 하며, 객실 바닥의 주위에 센터 프레임 레일을 설치하여 바디의 로커패널의 바로 안쪽을 통하는 모양으로 설계된 프레임이다. 객실의 바닥을 낮게 해 무게 중심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이드레일이 전차축의 뒤 및 뒤차축의 앞에서 크랭크 상으로 굽어 있기 때문에 앞면 및 후면의 충격 때 이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객실부의 충격에 대한 영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의 충돌 때에는 객실의 변형을 억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이드레일이 자동차 실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 프레임은 차축 간의 굽힘 강성, 비틀림 강성이 낮으므로 바디와 일체가 되어 강성을 도와주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또 그 외의 프레임에 비교하면 경량으로 제조 공수도 적다.<ref name="검토블로그"> 우숙,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anpack&logNo=140015917986 자동차의 FRAME]〉, 《네이버 블로그》, 2005-08-09 </ref><ref name="한국 오토뉴스"></ref>
+
페러미터형 프레임(Perimeter frame)은 주위형 프레임이라고도 하며, 객실 바닥의 주위에 센터 프레임 레일을 설치하여 바디의 로커패널의 바로 안쪽을 통하는 모양으로 설계된 프레임이다. 객실의 바닥을 낮게 해 무게 중심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이드레일이 전차축의 뒤 및 뒤차축의 앞에서 크랭크 상으로 굽어 있기 때문에 앞면 및 후면의 충격 때 이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ㄴ를 흡수함으로써 객실부의 충격에 대한 영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의 충돌 때에는 객실의 변형을 억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이드레일이 자동차 실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 프레임은 차축 간의 굽힘 강성, 비틀림 강성이 낮으므로 바디와 일체가 되어 강성을 도와주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또 그 외의 프레임에 비교하면 경량으로 제조 공수도 적다.<ref name="검토블로그"> 우숙,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anpack&logNo=140015917986 자동차의 FRAME]〉, 《네이버 블로그》, 2005-08-09 </ref><ref name="한국 오토뉴스"></ref>
  
 
===H형 프레임===
 
===H형 프레임===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