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비에스디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프리비에스디 로고.png|썸네일|200픽셀|'''프리비에스디'''(FreeBSD) 로고]]
 
[[파일:프리비에스디 글자.png|썸네일|300픽셀|'''프리비에스디'''(FreeBSD) 로고와 글자]]
 
 
 
'''프리비에스디'''(FreeBSD; Free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개발한 [[유닉스]](UNIX) 계열의 [[오픈소스]] [[운영체제]](OS)이다. 기존의 [[비에스디]](BSD)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개발했다. 한국의 [[㈜티맥스소프트]]<!--티맥스소프트-->는 프리비에스디(FreeBSD)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티맥스오에스]](TmaxOS)를 개발 중이다.
 
'''프리비에스디'''(FreeBSD; Free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개발한 [[유닉스]](UNIX) 계열의 [[오픈소스]] [[운영체제]](OS)이다. 기존의 [[비에스디]](BSD)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개발했다. 한국의 [[㈜티맥스소프트]]<!--티맥스소프트-->는 프리비에스디(FreeBSD)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티맥스오에스]](TmaxOS)를 개발 중이다.
  
52번째 줄: 49번째 줄:
 
== 활용 ==
 
== 활용 ==
 
과거 핫메일 서버는 FreeBSD 를 썼지만, 현재는 윈도우로 이전한 상태다. 왜 상관도 없는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를 썼냐면, 핫메일이 마소에 인수되기 전부터 쓰고 있어서 다. 핫메일은 원래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게 아니라 기존에 있던 걸 인수한 거다. 현재, 윈도우 7 울티메이트 버전과 엔터프라이즈 버전에는 유닉스 하위호환 시스템이 들어있다. 이 유닉스 하위호환 시스템이 바로 핫메일 서버를 FreeBSD 에서 윈도우 서버로 옮기는 과도기에 사용하던 시스템이다. 윈도우 8 에서는 이 유닉스 서브 시스템은 사라졌지만, 윈도우 8 엔터프라이즈 한정으로 NFS client가 탑재된다.  
 
과거 핫메일 서버는 FreeBSD 를 썼지만, 현재는 윈도우로 이전한 상태다. 왜 상관도 없는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를 썼냐면, 핫메일이 마소에 인수되기 전부터 쓰고 있어서 다. 핫메일은 원래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게 아니라 기존에 있던 걸 인수한 거다. 현재, 윈도우 7 울티메이트 버전과 엔터프라이즈 버전에는 유닉스 하위호환 시스템이 들어있다. 이 유닉스 하위호환 시스템이 바로 핫메일 서버를 FreeBSD 에서 윈도우 서버로 옮기는 과도기에 사용하던 시스템이다. 윈도우 8 에서는 이 유닉스 서브 시스템은 사라졌지만, 윈도우 8 엔터프라이즈 한정으로 NFS client가 탑재된다.  
 
+
=== mac OS ===
* '''mac OS''' : FreeBSD는 위에서 말했듯이 완전히 자유로운 라이선스로 배포되는지라, 애플도 소스코드를 가져다가 OS X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
FreeBSD는 위에서 말했듯이 완전히 자유로운 라이선스로 배포되는지라, 애플도 소스코드를 가져다가 OS X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 '''True OS''' : 2006년 4월 iX시스템즈에서 개발된 FreeBSD 기반의 오픈소스 OS로, 기존의 상용 OS인 Windows 또는 Mac OS X의 사용성과 FreeBSD 의 안정성 및 보안성이라는 장점을 절충한 덕분에, 일반 가정용뿐만 아니라 기업용 및 서버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
=== True OS ===
* '''Debian GNU/kFreeBSD''' : FreeBSD 커널에 유저랜드는 [[데비안]]을 사용하는 프로젝트. 데비안 쓰는 감각으로 대부분을 사용 가능하다고 하니 관심 있는 사람은 도전해보자.
+
2006년 4월 iX시스템즈에서 개발된 FreeBSD 기반의 오픈소스 OS로, 기존의 상용 OS인 Windows 또는 Mac OS X의 사용성과 FreeBSD 의 안정성 및 보안성이라는 장점을 절충한 덕분에, 일반 가정용 뿐만 아니라 기업용 및 서버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 '''ubuntuBSD''' : FreeBSD 커널에 우분투 유저랜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소스포지 게시일 기준 2016년 3월 20일 베타2까지 공개되었다. 2018년 2월 기준 공식 사이트 및 패키지 저장소 서버가 닫혀있어 설치는 가능하나 보안 업데이트 등은 받을 수 없다.
+
=== Debian GNU/kFreeBSD ===
*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 : 플레이스테이션 3 및 PS Vita도 FreeBSD를 사용하였고, 플레이스테이션 4의 Orbis OS 역시 FreeBSD의 커스터마이징 버전이다.
+
FreeBSD 커널에 유저랜드는 데비안을 사용하는 프로젝트. 데비안 쓰는 감각으로 대부분을 사용 가능하다고 하니 관심 있는 사람은 도전해보자.
* '''Tmax OS''' : [[티맥스]]에서 개발한 국산 OS이다. 리눅스 커널 기반일 줄 알았지만, FreeBSD 기반이었다.
+
=== ubuntuBSD ===
* '''닌텐도 스위치''' : FreeBSD 기반의 운영체제를 사용한다는 것이 레딧의 유저에 의해 확인되었다.<ref name="나무위키"></ref>
+
FreeBSD 커널에 우분투 유저랜드를 사용하는 것으로[26] 소스포지 게시일 기준 2016년 3월 20일 베타2까지 공개되었다. 2018년 2월 기준 공식 사이트 및 패키지 저장소 서버가 닫혀있어 설치는 가능하나 보안 업데이트 등은 받을 수 없다.
 +
===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 ===
 +
플레이스테이션 3 및 PS Vita도 FreeBSD를 사용하였고, 플레이스테이션 4의 Orbis OS 역시 FreeBSD의 커스터마이징 버전이다.
 +
=== Tmax OS ===
 +
티맥스에서 개발한 국산 OS 이다. 리눅스 커널 기반일 줄 알았지만, FreeBSD 기반이었다.
 +
=== 닌텐도 스위치 ===
 +
FreeBSD 기반의 운영체제를 사용한다는 것이 레딧의 유저에 의해 확인되었다. <ref name="나무위키"></ref>
  
 
== 문제점과 대안 ==
 
== 문제점과 대안 ==
74번째 줄: 77번째 줄:
 
* 이영옥 , 〈[https://web.archive.org/web/20071112120256/http://www.kr.freebsd.org/doc/KoreanFreeBSDHandbook/ 한글 FreeBSD 핸드북]〉, 《FreeBSD 재단》, 2005-03-08
 
* 이영옥 , 〈[https://web.archive.org/web/20071112120256/http://www.kr.freebsd.org/doc/KoreanFreeBSDHandbook/ 한글 FreeBSD 핸드북]〉, 《FreeBSD 재단》, 2005-03-08
  
== 같이 보기 ==
+
== 같이보기 ==
 
* [[비에스디]](BSD)
 
* [[비에스디]](BSD)
 
* [[유닉스]]
 
* [[유닉스]]
 
* [[티맥스오에스]]
 
* [[티맥스오에스]]
  
{{운영체제|검토 필요}}
+
{{운영체제|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