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프리즘 로고.png|썸네일|200픽셀|'''프리즘'''(Prism)]]
+
[[파일:컬러플랫폼.jpg|썸네일|300픽셀|컬러플랫폼(colorplatform)]]
[[파일:프리즘 글자.png|썸네일|300픽셀|'''프리즘'''(Prism)]]
 
[[파일:컬러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컬러코인]]'''(Colorcoin)]]
 
 
[[파일:박창기.jpg|썸네일|200픽셀|'''[[박창기]]''' 회장]]
 
[[파일:박창기.jpg|썸네일|200픽셀|'''[[박창기]]''' 회장]]
  
'''프리즘'''(Prism)은 '''[[컬러코인]]'''(Colorcoin)이 사용하고 있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프리즘은 컬러플랫폼의 개발이사(CTO)인 [[니콜라이 파쿨린]](Nikolay Pakulin)과 [[박창기]] 컬러플랫폼 대표가 공동으로 개념을 설계하였으며, 코딩은 전적으로 니콜라이 파쿨린이 수행했다. 프리즘의 소스코드는 2019년 4월 말 시제품 형태로 [[깃허브]](GitHub)에 공개되었다.<ref name="브런치">박창기, 〈[https://brunch.co.kr/@ckfrpark/17 BFT 기술의 발자취와 컬러의 "프리즘" 컨센서스]〉, 《카카오 브런치》, 2019-05-06</ref>
+
'''프리즘'''(Prism) 컨센선스는 컬러플랫폼의 개발이사(CTO)인 니콜라이 파쿨린(Nikolay Pakulin)과 박창기 컬러플랫폼대표가 공동으로 개념을 설계하였으며 코딩은 전적으로 니콜라이 파쿨린이 수행했다. 프리즘의 소스코드는 2019년 4월 말 시제품 형태로 GitHub에 공개했다.<ref name="브런치">박창기, 〈[https://brunch.co.kr/@ckfrpark/17 BFT 기술의 발자취와 컬러의 "프리즘" 컨센서스]〉, 《카카오 브런치》, 2019-05-06</ref>
  
 
== 개요 ==
 
== 개요 ==
컬러플랫폼은 CBFT (Clustered Byzantine Fault tolerance)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인 프리즘(Prism)을 완성하여 [[깃허브]](Github)에 공개했다. 1초에 거래 확정이라는 무기를 이용한 앱으로 사용자를 빠르게 늘리는 것을 핵심전략으로 한다. 일상생활에 쓸 수 있는 암호화폐 "Decentralized for Daily Life"를 표방하는 컬러코인의 핵심 엔진인 프리즘은 코스모스의 텐더민트에 비하여 3배 이상 빠르게 거래를 확정한다 이를 통해 경제성이 높고 빠른 국제화폐로 다양한 앱들이 단일화폐 속에 통합되어 3면시장(3Sided Market)의 특성으로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s)를 극대화할 것이다.<ref> 박창기, 〈[https://brunch.co.kr/@ckfrpark/20 암호화폐 춘추전국시대]〉, 《카카오 브런치》, 2019-06-09</ref>
+
컬러플랫폼은 CBFT (Clustered Byzantine Fault tolerance) 방식의 컨센서스 알고리즘 프리즘(Prism)을 완성하여 깃허브(Github)에 공개했다. 1초에 거래 확정이라는 무기를 이용한 앱으로 사용자를 빠르게 늘리는 것을 핵심전략으로 한다 일상생활에 쓸 수 있는 암호화폐 “Decentralized for Daily Life”를 표방하는 컬러코인의 핵심 엔진인 프리즘은 코스모스의 텐더민트에 비하여 3배 이상 빠르게 거래를 확정한다 이를 통해 경제성이 높고 빠른 국제화폐로 다양한 앱들이 단일화폐 속에 통합되어 3면시장(3Sided Market)의 특성으로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s)를 극대화할 것이다.<ref> 박창기, 〈[https://brunch.co.kr/@ckfrpark/20 암호화폐 춘추전국시대]〉, 《카카오 브런치》, 2019-06-09</ref>
  
=== 컬러코인 ===
+
=== 컬러 코인 ===
'''[[컬러코인]]'''(Colorcoin)은 [[팍스데이터테크]](Pax Datatech)<ref>노진우 기자,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2233 ICTK 홀딩스, 팍스데이터테크과 하드웨어 기반 블록체인 공동 개발]〉, 《이뉴스투데이》, 2018-05-22</ref>가 [[PUF]](물리적 복제방지기술) 기반의 기술을 사용하여 개발한 [[암호화폐]]이다. 컬러코인의 기반이 되는 [[컬러플랫폼]](Color Platform)은 "1초 이내의 신속한 거래확정시간" 및 [[탈중앙화]]한 [[합의 알고리즘]]인 [[프리즘]](prism)을 특징으로 하여, 빠르고 값싸고 안전한 블록체인 기술을 구현한다.<ref>디지털타임스(imkt),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9&aid=0002521748 ‘컬러플랫폼’, “거래 확정시간 1초”로 무장한 차세대 암호화폐 컬러코인]〉, 《디지털타임스》, 2019-04-18</ref> 컬러코인의 창시자는 [[보스코인]]을 만들었던 [[박창기]] 회장이다. 컬러코인의 화폐 단위는 '''CLR'''이다.
+
'''컬러코인'''(Colorcoin)은 [[팍스데이터테크]](Pax Datatech)<ref>노진우 기자,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2233 ICTK 홀딩스, 팍스데이터테크과 하드웨어 기반 블록체인 공동 개발]〉, 《이뉴스투데이》, 2018-05-22</ref>가 [[PUF]](물리적 복제방지기술) 기반의 기술을 사용하여 개발한 [[암호화폐]]이다. 컬러코인의 기반이 되는 [[컬러플랫폼]](Color Platform)은 "1초 이내의 신속한 거래확정시간" 및 [[탈중앙화]]한 [[합의 알고리즘]]인 [[프리즘]](prism)을 특징으로 하여, 빠르고 값싸고 안전한 블록체인 기술을 구현한다.<ref>디지털타임스(imkt),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9&aid=0002521748 ‘컬러플랫폼’, “거래 확정시간 1초”로 무장한 차세대 암호화폐 컬러코인]〉, 《디지털타임스》, 2019-04-18</ref> 컬러코인의 창시자는 [[보스코인]]을 만들었던 [[박창기]] 회장이다. 컬러코인의 화폐 단위는 '''CLR'''이다.
  
{{자세히|컬러코인}}
+
{{자세히|컬러 코인}}
  
 
== 특징 ==
 
== 특징 ==
59번째 줄: 57번째 줄:
 
:각 리그의 리더들은 글로벌 합의를 만들고 정해진 합의에 대하여 리그 내에서 각자 합의의 결과에 대해 의사소통 및 공통적인 합의를 만들어 낸다.<ref> coin209,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rmy850&logNo=221515386378&categoryNo=3&parentCategoryNo=0 (컬러코인)프리즘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9-04-16</ref>
 
:각 리그의 리더들은 글로벌 합의를 만들고 정해진 합의에 대하여 리그 내에서 각자 합의의 결과에 대해 의사소통 및 공통적인 합의를 만들어 낸다.<ref> coin209,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rmy850&logNo=221515386378&categoryNo=3&parentCategoryNo=0 (컬러코인)프리즘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9-04-16</ref>
  
{{각주}}
+
 
 +
{{ 각주 }}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박창기, 〈[https://brunch.co.kr/@ckfrpark/17 BFT 기술의 발자취와 컬러의 "프리즘" 컨센서스]〉, 《카카오 브런치》, 2019-05-06
+
*박창기, 〈[https://brunch.co.kr/@ckfrpark/17 BFT 기술의 발자취와 컬러의 "프리즘" 컨센서스]〉, 《카카오 브런치》, 2019-05-06
* 박창기, 〈[https://brunch.co.kr/@ckfrpark/20 암호화폐 춘추전국시대]〉, 《카카오 브런치》, 2019-06-09
+
*박창기, 〈[https://brunch.co.kr/@ckfrpark/20 암호화폐 춘추전국시대]〉, 《카카오 브런치》, 2019-06-09
* 노진우 기자,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2233 ICTK 홀딩스, 팍스데이터테크과 하드웨어 기반 블록체인 공동 개발]〉, 《이뉴스투데이》, 2018-05-22
+
*노진우 기자,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2233 ICTK 홀딩스, 팍스데이터테크과 하드웨어 기반 블록체인 공동 개발]〉, 《이뉴스투데이》, 2018-05-22
* 디지털타임스(imkt),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9&aid=0002521748 ‘컬러플랫폼’, “거래 확정시간 1초”로 무장한 차세대 암호화폐 컬러코인]〉, 《디지털타임스》, 2019-04-18
+
*디지털타임스(imkt),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9&aid=0002521748 ‘컬러플랫폼’, “거래 확정시간 1초”로 무장한 차세대 암호화폐 컬러코인]〉, 《디지털타임스》, 2019-04-18
 
* 테리우스킴, 〈[https://cobak.co.kr/community/3/post/166872 컬러코인 ‘메이져 플랫폼’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코박》, 2019-04-26</ref>
 
* 테리우스킴, 〈[https://cobak.co.kr/community/3/post/166872 컬러코인 ‘메이져 플랫폼’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코박》, 2019-04-26</ref>
 
* coin209,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rmy850&logNo=221515386378&categoryNo=3&parentCategoryNo=0 (컬러코인)프리즘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9-04-16
 
* coin209,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rmy850&logNo=221515386378&categoryNo=3&parentCategoryNo=0 (컬러코인)프리즘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9-04-16
 
+
{{합의 알고리즘|토막글}}
== 같이 보기 ==
 
* [[컬러코인]]
 
* [[니콜라이 파쿨린]]
 
* [[박창기]]
 
 
 
{{합의 알고리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