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오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주로 불화칼슘으로 이루어진 형석이라고도 불리는 불소 광물의 결정.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주로 불화칼슘으로 이루어진 형석이라고도 불리는 불소 광물의 결정]]
 
[[파일:치약에 들어가는 플루오린.jpeg|썸네일|300픽셀|오른쪽|치약에 들어가는 플루오린]]
 
[[파일:플루오린 준위별 전자 수.png|썸네일|200픽셀|오른쪽|플루오린 준위별 전자 수(2, 7)]]
 
 
 
'''플루오린'''(Fluorine)은 할로젠(17족)에 속하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F''', 원자 번호는 9이다. 플루오린 분자는 상온에서 옅은 황록색 기체로, 다른 할로젠 원소와 마찬가지로 맹독물이다. 과거에는 '''[[불소]]'''(弗素)란 이름이 널리 쓰였는데, 독일어식 표현인 '''플루오르'''(Fluor)로 명명되었다가 최종적으로는 대한화학회에서 영어명칭인 '''플루오린'''으로 변경하였다. 이름이 바뀌었음에도 실생활에서는 '불소 치약'처럼 아직 불소라는 말을 사용하며, 화합물인 '불산' 등의 용어는 '플루오린화수소산'보다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플루오린'''(Fluorine)은 할로젠(17족)에 속하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F''', 원자 번호는 9이다. 플루오린 분자는 상온에서 옅은 황록색 기체로, 다른 할로젠 원소와 마찬가지로 맹독물이다. 과거에는 '''[[불소]]'''(弗素)란 이름이 널리 쓰였는데, 독일어식 표현인 '''플루오르'''(Fluor)로 명명되었다가 최종적으로는 대한화학회에서 영어명칭인 '''플루오린'''으로 변경하였다. 이름이 바뀌었음에도 실생활에서는 '불소 치약'처럼 아직 불소라는 말을 사용하며, 화합물인 '불산' 등의 용어는 '플루오린화수소산'보다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36번째 줄: 32번째 줄:
  
 
== 플루오린과 배터리 ==
 
== 플루오린과 배터리 ==
플루오린은 1970년대 부터 배터리에 사용되어 왔지만 현재 모바일 제품군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는 장치, 고체 상태라는 한계로 인해 일상에서는 쉽게 접할 수 없었다. 칼텍 연구진은 불소 베터리를 상온에서 액체 형태로 구동하기 위해 BTFE(2,2,2-trifluoroethyl)를 이용해 불소 이온을 안정화 하는데  성공,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8배의 에너지 밀도를 갖춘 불소 배터리의 상용화 가능성을 찾아냈다. 아직 불소의 반응성과 부식성, 최신 전자 기기에 알맞는 전압 유지, 상용화를 위한 경재성 등 해결해야 할 문제는 남았지만, 연구진은 이후 BTFE 솔루션의 안정성과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ref>이상호 기자, 〈[https://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51326 칼텍 연구진, 리튬 이온 8배 에너지 밀도의 불소 배터리 위한 새로운 방법 개발]〉, 《보드나라》, 2018-12-12</ref>
+
불소는 1970년대 부터 배터리에 사용되어 왔지만 현재 모바일 제품군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는 장치, 고체 상태라는 한계로 인해 일상에서는 쉽게 접할 수 없었다. 칼텍 연구진은 불소 베터리를 상온에서 액체 형태로 구동하기 위해 BTFE(2,2,2-trifluoroethyl)를 이용해 불소 이온을 안정화 하는데  성공,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8배의 에너지 밀도를 갖춘 불소 배터리의 상용화 가능성을 찾아냈다. 아직 불소의 반응성과 부식성, 최신 전자 기기에 알맞는 전압 유지, 상용화를 위한 경재성 등 해결해야 할 문제는 남았지만, 연구진은 이후 BTFE 솔루션의 안정성과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ref>이상호 기자, 〈[https://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51326 칼텍 연구진, 리튬 이온 8배 에너지 밀도의 불소 배터리 위한 새로운 방법 개발]〉, 《보드나라》, 2018-12-12</ref>
  
 
[[토요타]]는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단위 중량 당 약 7 배의 에너지를 제공하고 한번 충전으로 1,000Km를 주행할 수 있는 새로운 '''[[불소이온 배터리]]'''를 [[교토 대학]]의 과학자들과 협력하고 있다. 일본 경제 신문 Nikkei가 보도 한 것처럼, 연구팀은 [[불소]], [[구리]] 및 [[코발트]]로 만든 [[양극]]과 [[전해질]]이 있는 해당 충전식 배터리의 프로토 타입을 개발했다. 중량 측정 에너지 밀도가 7배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차량 배터리의 에너지 함량이 동일한 설치 공간에서 크게 증가 할 수 있다. 교토에서 테스트 한 프로토 타입이 시리즈 생산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지금까지 알려진 리튬 이온 배터리의 경우 프로토 타입 값을 실험실 규모에서 대량 생산으로 이전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불소이온 배터리는 [[리튬]]을 완전히 제거한다. FIB라고도 알려진 이러한 배터리는 불소이온을 전도하는 전해질을 통해 한 전극에서 다른 전극으로 불소이온을 전달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장점은 금속 원자 당 여러개의 전자가 전달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설명한다.<ref>천상천하, 〈[https://blog.naver.com/jkhan012/222064443230 Toyota, 전기차 1000km 주행범위의 불소 이온 고체 배터리 발표]〉, 《네이버블로그》, 2020-08-19</ref>
 
[[토요타]]는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단위 중량 당 약 7 배의 에너지를 제공하고 한번 충전으로 1,000Km를 주행할 수 있는 새로운 '''[[불소이온 배터리]]'''를 [[교토 대학]]의 과학자들과 협력하고 있다. 일본 경제 신문 Nikkei가 보도 한 것처럼, 연구팀은 [[불소]], [[구리]] 및 [[코발트]]로 만든 [[양극]]과 [[전해질]]이 있는 해당 충전식 배터리의 프로토 타입을 개발했다. 중량 측정 에너지 밀도가 7배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차량 배터리의 에너지 함량이 동일한 설치 공간에서 크게 증가 할 수 있다. 교토에서 테스트 한 프로토 타입이 시리즈 생산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지금까지 알려진 리튬 이온 배터리의 경우 프로토 타입 값을 실험실 규모에서 대량 생산으로 이전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불소이온 배터리는 [[리튬]]을 완전히 제거한다. FIB라고도 알려진 이러한 배터리는 불소이온을 전도하는 전해질을 통해 한 전극에서 다른 전극으로 불소이온을 전달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장점은 금속 원자 당 여러개의 전자가 전달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설명한다.<ref>천상천하, 〈[https://blog.naver.com/jkhan012/222064443230 Toyota, 전기차 1000km 주행범위의 불소 이온 고체 배터리 발표]〉, 《네이버블로그》, 2020-08-19</ref>
45번째 줄: 41번째 줄: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namu.wiki/w/%ED%94%8C%EB%A3%A8%EC%98%A4%EB%A6%B0 플루오린]〉,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D%94%8C%EB%A3%A8%EC%98%A4%EB%A6%B0 플루오린]〉, 《나무위키》
58번째 줄: 53번째 줄:
 
* [[불소이온 배터리]]
 
* [[불소이온 배터리]]
  
{{원소|검토 필요}}
+
{{배터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