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엘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피엘원 로고.png|썸네일|200픽셀|'''피엘원'''(PL/I)]]
 
[[파일:피엘원 글자.png|썸네일|300픽셀|'''피엘원'''(PL/I)]]
 
 
 
'''피엘원'''<!--피엘 원-->(PL/I)은 Programming Language One의 약자로서, 미국 [[IBM]]이 [[메인프레임]](Mainframe)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1964년 개발한 명령형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PL 뒤에 일(1)이라고 쓰지 않고 아이(I)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간략히 '''PL1'''이라고도 쓴다.
 
'''피엘원'''<!--피엘 원-->(PL/I)은 Programming Language One의 약자로서, 미국 [[IBM]]이 [[메인프레임]](Mainframe)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1964년 개발한 명령형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PL 뒤에 일(1)이라고 쓰지 않고 아이(I)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간략히 '''PL1'''이라고도 쓴다.
  
 
== 개요 ==
 
== 개요 ==
피엘원은 컴퓨터의 이용이 고도화됨에 따라 기술적 계산은 [[포트란]](FORTRAN), 사무적 계산은 [[코볼]](COBOL)이라는 영역구별이 점점 사라지면서 양분야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단일 언어의 초판이라는 뜻으로 PL/1이라는 이름이 개발사인 IBM에 의해 1996년에 붙여졌다. 피엘원은 컴퓨터 포트란의 계산 개념과 코볼의 파일 처리 개념을 도입하여 과학 기술 계산과 사무 처리 계산에 적합하도록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PL/1'''으로 표기한다.
+
피엘원은 컴퓨터의 이용이 고도화됨에 따라 기술적 계산은 포트란(FORTRAN), 사무적 계산은 코볼(COBOL)이라는 영역구별이 점점 사라지면서 양분야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단일 언어의 초판이라는 뜻으로 PL/1이라는 이름이 개발사인 IBM에 의해 1996년에 붙여졌다. 피엘원은 컴퓨터 포트란의 계산 개념과 코볼의 파일 처리 개념을 도입하여 과학 기술 계산과 사무 처리 계산에 적합하도록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PL/1으로 표기한다.
  
 
== 역사 ==
 
== 역사 ==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비즈니스 및 과학 분야의 사용자들은 각기 다른 프로그래밍언어를 사용하여 다른 컴퓨터 하드웨어를 위해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비즈니스 분야의 사용자들은 COMTRAN을 경유하는 [[오토코더]]에서 코볼로 옮겨가고 있었지만, 과학 분야의 사용자들은 [[GIP]](General Interpretive Programme), 포트란(FORTRAN), [[알골]](ALGOrithmic Language), [[조지]](GEORGE)로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비즈니스 및 과학 분야의 사용자들은 각기 다른 프로그래밍언어를 사용하여 다른 컴퓨터 하드웨어를 위해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비즈니스 분야의 사용자들은 COMTRAN을 경유하는 [[오토코더]]에서 [[코볼]]로 옮겨가고 있었지만, 과학 분야의 사용자들은 GIP(General Interpretive Programme), [[포트란]](FORTRAN), [[알골]](ALGOrithmic Language), [[조지]](GEORGE)로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IBM 시스템/360 (1964년에 발표하였으나 1966년까지 보급되지 않았음) 이 두 그룹의 사용자들을 위한 공통의 머신 아키텍처로 설계되면서 기존의 모든 IBM [[아키텍처]]들을 대체하였다. 1963년 10월, IBM 과학 사용자 그룹의 세 명의 뉴욕IBM 출신과 명의 SHARE 출신에 의해 한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포트란에 대한 이러한 확장들을 제안하였다. 포트란의 제약으로 인해 이를 수행할 수 없었고 알골에 어느 정도 기반한 NPL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의 설계에 착수하였다. NPL이라는 이름은 영국의 National Physical Laboratory와 충돌되어 MPPL(MultiPurpose Programming Language)로 바뀌었고, 1965년 PL/I으로 바뀌었다. 최초의 정의는 1964년 4월에 등장하였다.
 
+
최초의 [[컴파일러]]는 1966년에 보급되었으며, PL/I 표준은 1976년에 승인되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PL/I PL/I의 역사]〉,《위키백과》 , 2019-07-01</ref>
IBM 시스템/360 (1964년에 발표하였으나 1966년까지 보급되지 않았음) 이 두 그룹의 사용자들을 위한 공통의 머신 아키텍처로 설계되면서 기존의 모든 IBM [[아키텍처]]들을 대체하였다.
 
 
 
1963년 10월, IBM 과학 사용자 그룹의 뉴욕IBM 출신 명과 SHARE 출신 세 명에 의해 한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포트란에 대한 이러한 확장들을 제안하였다. 포트란의 제약으로 인해 이를 수행할 수 없었고 알골에 어느 정도 기반한 NPL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의 설계에 착수하였다. NPL이라는 이름은 영국의 National Physical Laboratory와 충돌되어 MPPL(MultiPurpose Programming Language)로 바뀌었고, 1965년 PL/I으로 바뀌었다. 최초의 정의는 1964년 4월에 등장하였다.
 
 
 
최초의 [[컴파일러]]는 1966년에 보급되었으며, PL/I 표준은 1976년에 승인되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PL/I PL/I의 역사]〉, 《위키백과》 , 2019-05-11</ref>
 
 
 
==특징==
 
===언어적 특징===
 
* [[포트란]](FORTRAN) 기술 형식
 
* [[코볼]](COBOL) 레코드 구조와 입출력 기능
 
* [[알골]](ALGOL) 알고리즘 기술 능력
 
피엘원은 위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ref name="특징"> 〈[https://ja.wikipedia.org/wiki/PL/I PL/I의 특징]〉, 《위키백과》 , 2019-03-13</ref>
 
 
 
===장점===
 
* 상용 계산과 과학 기술 계산을 1개의 언어로 기술할 수 있다.
 
* 처음부터 구조화되고 있다.
 
* 간단하게 입문하여 점차 고도의 기능을 배울 수 있다.
 
* IBM [[메인프레임]]에서 널리 쓰인다.<ref name="특징"></ref>
 
 
 
===단점===
 
* 언어가 복잡하고 대규모라 소형기에서는 성능적으로 어렵고 대형기이외에는 퍼지지 않았다 <ref name="특징"></ref>
 
  
==활용==
+
== 시스템 환경 ==
PL/1 구현은 1960년대 후반부터 [[메인프레임]], 1970년대의 [[미니컴퓨터]], 1980년과 1990년대의 [[개인용 컴퓨터]](PC)를 위해 개발되었다. 메인프레임에서 주로 사용되었지만 [[도스]](DOS), [[AIX]] 등의 버전이 있다.
+
컴파일러와 그것의 오브젝트 프로그램은 멀티믹스 운영체제 내에서 작동한다. 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환경은 많은 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가상 2차원 주소 공간을 포함한다. 각 세그먼트는 주소 범위가 0~64K인 선형 주소 공간이다. 전체 가상 저장소는 프로그램에 보이지 않는 페이징 메커니즘에 의해 지원된다. 이 환경에서 작동하는 각 프로그램은 두 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ref> 즉, 순수한 재진입 절차가 포함된 텍스트 세그먼트와 [[아웃 레퍼런스]](링크), 정의(엔트리 이름) 및 프로그램에 로컬인 정적 저장소가 포함된 링크 세그먼트로 구성된다.</ref> 각 프로그램의 텍스트 세그먼트는 시스템의 다른 모든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다. 호출된 프로그램에 대한 연결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실행 중에 동적으로 수행된다.<ref> 〈[https://www.multicians.org/pl1-raf.html PL/I Compiler]〉,《멀틱스》 , 2019-07-01</ref>
  
PL/1은 IBM의 [[SystemNetworkArchitecture]]해석을 위한 실행 가능한 형식 정의를 작성하는데 사용되었다.
 
  
PL/1은 [[포트란]](FORTRAN)과 [[코볼]](COBOL)을 대체하여 [[메인프레임]]의 주요 플레이어가 될 것이라는 지지자들의 희망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이에 대해서 명확한 설명은 없지만,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일부 경향은 PL/1이 경쟁적 우위를 누렸던 영역을 점차적으로 축소함으로 성공에 역행했다.<ref>"[https://en.wikipedia.org/wiki/PL/I PL/I]", ''Wikipedia''</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 참고 자료 ==
* 〈[https://ko.wikipedia.org/wiki/PL/I PL/I]〉, 《위키백과》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PL/I PL/I의 역사]〉, 《위키백과》 , 2019-07-01
* 〈[https://ja.wikipedia.org/wiki/PL/I PL/I]〉, 《ウィキペディア》
+
*R. A. FREIBURGHOUSE,〈[https://www.multicians.org/pl1-raf.html PL/I Compiler]〉,《멀틱스》 , 2019-07-01
* "[https://en.wikipedia.org/wiki/PL/I PL/I]", ''Wikipedia''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IBM]]
 
* [[IBM]]
 
* [[메인프레임]]
 
* [[메인프레임]]
  
{{프로그래밍 언어|검토 필요}}
+
{{프로그래밍 언어|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