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캐피탈㈜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하나캐피탈㈜ 로고.png|썸네일|200픽셀|'''하나캐피탈㈜'''(Hana Capital)]]
 
[[파일:하나캐피탈㈜ 로고.png|썸네일|200픽셀|'''하나캐피탈㈜'''(Hana Capital)]]
 
[[파일:하나캐피탈㈜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하나캐피탈㈜'''(Hana Capital)]]
 
[[파일:하나캐피탈㈜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하나캐피탈㈜'''(Hana Capital)]]
[[파일:하나금융그룹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하나금융그룹]]'''(Hana Financial Group Inc.)]]
 
  
'''하나캐피탈㈜'''<!--하나캐피탈, 하나 캐피탈-->(Hana Capital)은 [[하나금융그룹]](Hana Financial Group Inc.) 계열의 할부금융을 위한 캐피탈 업체이다. 하나캐피탈은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전속 금융사로 매출의 80%를 의존하고 있다. [[정태영]]이 [[현대카드]], [[현대커머셜]]과 함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
'''하나캐피탈㈜'''(Hana Capital)<!--하나캐피탈, 하나 캐피탈-->은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의 할부금융을 위한 캐피탈 업체이다. 하나캐피탈은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전속 금융사로 매출의 80%를 의존하고 있다. [[정태영]]이 [[현대카드]], [[현대커머셜]]과 함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개요==
 
==개요==
하나캐피탈은 1987년 설립된 [[하나금융그룹]]의 자회사로서, 내구재 및 자동차를 비롯한 할부금융, 리스 금융, 스탁론, 부동상 담보대출 및 개인신용대출과 렌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신 전문 금융회사이다. 하나캐피탈은 다양한 상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사업영역을 다변화하고 향후 보다 지속가능한 금융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안정적으로 제공한다. 하나캐피탈은 하나금융그룹의 일원으로, 2005년 하나은행 자회사로 편입된 이후 2007년 하나금융지주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하나캐피탈은 현대사뢰가 직면한 기후변화와 환경 보전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인식하여 [[친환경 차량]] 판매에 대한 금융서비스 제공 및 친환경 기술 분야 지원을 통해 정부의 친환경 자동차 정책에 부응하고 있다.<ref>〈[https://www.hanacapital.co.kr/company/csm/detail.hnc 하나캐피탈_ESG채권 인증보고서.pdf]〉《하나캐피탈 홈페이지》</ref>
+
하나캐피탈은 1987년 설립된 [[하나금융그룹]]의 자회사로서, 내구재 및 자동차를 비롯한 할부금융, 리스 금융, 스탁론, 부동상 담보대출 및 개인신용대출과 렌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신 전문 금융회사이다. 하나캐피탈은 다양한 상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사업영역을 다변화하고 향후보다 지속가능한 금융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안정적으로 제공한다. 하나캐피탈은 하나금융그룹의 일원으로, 2005년 하나은행 자회사로 편입된 이후 2007년 하나금융지주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하나캐피탈은 현대사뢰가 직면한 기후변화와 환경 보전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인식하여 [[친환경 차량]] 판매에 대한 금융서비스 제공 및 친환경 기술 분야 지원을 통해 정부의 친환경 자동차 정책에 부응하고 있다.<ref>〈[https://www.hanacapital.co.kr/company/csm/detail.hnc 하나캐피탈_ESG채권 인증보고서.pdf]〉《하나캐피탈 홈페이지》</ref>
  
 
==연혁==
 
==연혁==
*2004년 09월 : [[하나은행]]에서 [[코오롱캐피탈㈜]] 인수
+
*2004년 09월 : 하나은행에서 코오롱캐피탈㈜ 인수
*2004년 12월 : [[㈜하나금융지주]] 손자회사 편입 (하나은행의 자회사)
+
*2004년 12월 : ㈜하나금융지주 손자회사 편입 (하나은행의 자회사)
*2005년 04월 : 하나캐피탈㈜로 상호변경
+
*2005년 04월 : 하나캐피탈㈜로 상호변경
*2005년 06월 : 신용등급 상향 (회사채 BBB0, CP A30)
+
*2005년 06월 : 신용등급 상향 (회사채 BBB0, CP A30)
*2006년 03월 : 신용등급 상향  (회사채 BBB+, CP A3+)
+
*2006년 03월 : 신용등급 상향  (회사채 BBB+, CP A3+)
*2006년 11월 : 신용등급 상향 (회사채 A-, CP A2-), 유상증자 (납입자본금 432억)
+
*2006년 11월 : 신용등급 상향 (회사채 A-, CP A2-), 유상증자 (납입자본금 432억)
*2007년 04월 : ㈜하나금융지주 자회사 편입, 유상증자 (납입자본금 611억), 신용등급 상향 (회사채 A0, CP A20)
+
*2007년 04월 : ㈜하나금융지주 자회사 편입, 유상증자 (납입자본금 611억), 신용등급 상향 (회사채 A0, CP A20)
*2008년 04월 : 유상증자 (납입자본금 724억)
+
*2008년 04월 : 유상증자 (납입자본금 724억)
*2008년 05월 : 대구지점 오픈
+
*2008년 05월 : 대구지점 오픈
*2008년 06월 : 부산지점 오픈
+
*2008년 06월 : 부산지점 오픈
*2010년 01월 : 인천사무소 오픈
+
*2010년 01월 : 인천사무소 오픈
*2010년 09월 : 대전사무소 오픈
+
*2010년 09월 : 대전사무소 오픈
*2010년 11월 : 광주사무소 오픈
+
*2010년 11월 : 광주사무소 오픈
*2012년 04월 : 수원사무소 오픈
+
*2012년 04월 : 수원사무소 오픈
*2012년 07월 : 인천/대전/광주/수원 지점 승격
+
*2012년 07월 : 인천/대전/광주/수원 지점 승격
*2013년 01월 : 강남/강서/강북지점 오픈
+
*2013년 01월 : 강남/강서/강북지점 오픈
*2014년 02월 : 창원출장소 오픈
+
*2014년 02월 : 창원출장소 오픈
*2015년 03월 : 서초지점 안산출장소 오픈  
+
*2015년 03월 : 서초지점 안산출장소 오픈  
*2015년 04월 : 분당지점 오픈
+
*2015년 04월 : 분당지점 오픈
*2015년 05월 : 전주출장소 청주출장소 오픈
+
*2015년 05월 : 전주출장소 청주출장소 오픈
*2015년 06월 : 울산출장소 오픈
+
*2015년 06월 : 울산출장소 오픈
*2015년 07월 : 강원출장소 오픈
+
*2015년 07월 : 강원출장소 오픈
*2016년 02월 : 창원지점 승격
+
*2016년 02월 : 창원지점 승격
*2016년 08월 : 안산지점 승격
+
*2016년 08월 : 안산지점 승격
*2016년 06월 : 전산본부 청라 이전
+
*2016년 06월 : 전산본부 청라 이전
*2018년 02월 : ㈜하나금융지주 완전 자회사 편입 (지분율 100%)
+
*2018년 02월 : (주)하나금융지주 완전 자회사 편입 (지분율 100%)
*2019년 03월 : 유상증자 (납입자본금 1,174억)
+
*2019년 03월 : 유상증자 (납입자본금 1,174억)
*2019년 11월 : 중고차 온라인 쇼핑 플랫폼 [[하나원큐드림카]] 오픈
+
*2019년 11월 : 중고차 온라인 쇼핑 플랫폼 하나원큐드림카 오픈
*2020년 01월 : [[미얀마]] 진출 (KEB Hana Microfinance Limited 신주 인수, 지분 55%)
+
*2020년 01월 : 미얀마 진출 (KEB Hana Microfinance Limited 신주 인수, 지분 55%)
*2020년 07월 : 업권 최초 내구재 할부 영업지원 플랫폼 원큐하나로 오픈
+
*2020년 07월 : 업권 최초 내구재 할부 영업지원 플랫폼 원큐하나로 오픈
*2020년 11월 : 하나원큐드림카 VER.2 오픈 <ref>〈[https://www.hanacapital.co.kr/company/info/history.hnc 회사연혁]〉, 《하나캐피탈 홈페이지》</ref>
+
*2020년 11월 : 하나원큐드림카 VER.2 오픈 <ref>〈[https://www.hanacapital.co.kr/company/info/history.hnc 회사연혁]〉, 《하나캐피탈 홈페이지》</ref>
  
 
==사업분야==
 
==사업분야==
 
===개인금융===
 
===개인금융===
====신용대출====
+
전문직 종사자, 직장인, 공무원, 교사 등 개인고객을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 스탁론, 내구재할부, 전세자금대출, 주택담보대출 등 고객형 개인대출을 신속하게 제공해주는 서비스이다.
 +
 
 +
===자동차금융===
 +
하나캐피탈은 수입 국산차 [[오토리스]], 오토 할부 및 오토론을 고객이 원하는 차종으로 제공한다.
 +
 
 +
===기업금융===
 +
의료기, 건설기계금융, 선박&산업재, IT정보통신리스를 이용하시고자 하는 고객에게 하나캐피탈의 금융전문가가 상담하여 저렴한 가격에 최적의 물건을 리스/할부로 이용하실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ref name='사업분야'>〈[https://www.hanacapital.co.kr/company/info/territory.hnc 사업분야]〉, 《하나캐피탈 홈페이지》</ref>
 +
 
 +
==상품==
 +
===신용대출===
 
*'''e하나신용대출''' : 빠르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전용 신용대출 상품이다. 대상은 현 직장 6개월 이상 재직 및 국민건강보험 가입 고객 그 외 당사 기준에 의해 대출한도가 산정되는 고객이다. 한도는 최저 200만 원에서 최대 5,000만 원으로 금리는 연 5.9%에서 19.9%이다. 연체 금리는 약정이율+최대 3%(법정 최고금리 24% 이내)이며 상환 방법은 원리금균등분할상환 방법을 사용한다. 소득 및 재직 확인은 건강보험 스크래핑으로 진행하며 스크래핑 정보 확인 불가 시 건강보험 자격 득실확인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제출로 확인한다. 상환 기간은 12개월에서 60개월이다.
 
*'''e하나신용대출''' : 빠르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전용 신용대출 상품이다. 대상은 현 직장 6개월 이상 재직 및 국민건강보험 가입 고객 그 외 당사 기준에 의해 대출한도가 산정되는 고객이다. 한도는 최저 200만 원에서 최대 5,000만 원으로 금리는 연 5.9%에서 19.9%이다. 연체 금리는 약정이율+최대 3%(법정 최고금리 24% 이내)이며 상환 방법은 원리금균등분할상환 방법을 사용한다. 소득 및 재직 확인은 건강보험 스크래핑으로 진행하며 스크래핑 정보 확인 불가 시 건강보험 자격 득실확인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제출로 확인한다. 상환 기간은 12개월에서 60개월이다.
  
52번째 줄: 60번째 줄:
 
*'''우수고객추가대출''' : 하나캐피탈을 이용 중인 우수고객을 대상으로 추가 대출을 해주는 금융서비스이다. 대상은 하나캐피탈 대출 우수고객 및 하나캐피탈 멤버십 가입 회원으로 한도는 300만 원에서 4000만 원이다. 금리는 연 5.9%에서 16.9%로 연체 금리는 약정이율+최대 3%(법정 최고금리 24% 이내)이다. 상환 방법은 원리금균등분할상환으로 중도상환 수수료는 없다. 상환 기간은 12, 24, 36, 48, 60개월로 신청금액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우수고객추가대출''' : 하나캐피탈을 이용 중인 우수고객을 대상으로 추가 대출을 해주는 금융서비스이다. 대상은 하나캐피탈 대출 우수고객 및 하나캐피탈 멤버십 가입 회원으로 한도는 300만 원에서 4000만 원이다. 금리는 연 5.9%에서 16.9%로 연체 금리는 약정이율+최대 3%(법정 최고금리 24% 이내)이다. 상환 방법은 원리금균등분할상환으로 중도상환 수수료는 없다. 상환 기간은 12, 24, 36, 48, 60개월로 신청금액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개인금융상품====
+
 
 +
===개인금융상품===
 
*'''스탁론''' : 본인 명의 증권위탁계좌를 질권설정하고 주식매입자금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서비스이다. 대상은 만 20세 이상 개인 고객이다. 한도는 고개계좌를 담보로 계좌평가금액의 최대 250%, 최대 6억 원(계좌당 3억 원)까지 가능하다. 금리는 연 3.89%~4.70%로 연체 금리는 약정이율+최대 3%(법정 최고금리 24% 이내)이다. 중도상환 수수료와 취급 수수료는 없다. 기간/상황 방식은 12개월에서 최대 5년이고 만기일시 상환이다. 대출 시간은 오전 8:10에서 16:00이고 상환 시간은 08:30부터 16:00까지이고 주말 공휴일은 불가하다.
 
*'''스탁론''' : 본인 명의 증권위탁계좌를 질권설정하고 주식매입자금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서비스이다. 대상은 만 20세 이상 개인 고객이다. 한도는 고개계좌를 담보로 계좌평가금액의 최대 250%, 최대 6억 원(계좌당 3억 원)까지 가능하다. 금리는 연 3.89%~4.70%로 연체 금리는 약정이율+최대 3%(법정 최고금리 24% 이내)이다. 중도상환 수수료와 취급 수수료는 없다. 기간/상황 방식은 12개월에서 최대 5년이고 만기일시 상환이다. 대출 시간은 오전 8:10에서 16:00이고 상환 시간은 08:30부터 16:00까지이고 주말 공휴일은 불가하다.
  
 
*'''내구소비재할부''': 일반 내구소비재를 구입하는 고객에게 물건 대금을 지원하는 금융서비스이다. 대상은 개인, 개인사업자 및 법인이고 금리는 연 최저 0%~ 최고 19%이다. 연체이자율은 유이자는 약정금리+최대 3%, 법정 최고금리 이내, 무이자는 상사법정이율+최대 3%, 법정 최고금리 이내이고 연체 발생 시점에 약정금리가 없는 경우에는 약정금리는 상법상 상사법정이율과 상호금융 가계 자금 대출금리 중 높은 금리를 적용한다. 상환 기간은 3개월에서 36개월로 일부 품목에 한하여 60개월까지 가능하다.
 
*'''내구소비재할부''': 일반 내구소비재를 구입하는 고객에게 물건 대금을 지원하는 금융서비스이다. 대상은 개인, 개인사업자 및 법인이고 금리는 연 최저 0%~ 최고 19%이다. 연체이자율은 유이자는 약정금리+최대 3%, 법정 최고금리 이내, 무이자는 상사법정이율+최대 3%, 법정 최고금리 이내이고 연체 발생 시점에 약정금리가 없는 경우에는 약정금리는 상법상 상사법정이율과 상호금융 가계 자금 대출금리 중 높은 금리를 적용한다. 상환 기간은 3개월에서 36개월로 일부 품목에 한하여 60개월까지 가능하다.
 +
  
 
===자동차금융===
 
===자동차금융===
67번째 줄: 77번째 줄:
  
 
*'''중고차오토론''' :  고객이 중고차를 구입할 때 차량 구입 대금을 캐피탈에서 지급하고 일정 기간 해당 금액을 분할 납부하는 금융상품이다. 대상은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로 한도는 차량 가격 이내이다. 금리는 연 4.9%에서 19.9%로 연체이자율은 약정금리+최대 3% 법정 최고금리 이내이다. 상황 방법은 원리 균등분할 상환 방식이다. 저당설정은 대출금액의 50%이고 상환 기간은 최소 3개월에서 최대 60개월이다.
 
*'''중고차오토론''' :  고객이 중고차를 구입할 때 차량 구입 대금을 캐피탈에서 지급하고 일정 기간 해당 금액을 분할 납부하는 금융상품이다. 대상은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로 한도는 차량 가격 이내이다. 금리는 연 4.9%에서 19.9%로 연체이자율은 약정금리+최대 3% 법정 최고금리 이내이다. 상황 방법은 원리 균등분할 상환 방식이다. 저당설정은 대출금액의 50%이고 상환 기간은 최소 3개월에서 최대 60개월이다.
::{|class=wikitable width=1000
 
!align=center|
 
!align=center|원큐다이렉트 오토론
 
!align=center|신차오토론
 
!align=center|오토리스
 
!align=center|렌터카
 
!align=center|중고차 오토론
 
|-
 
|align=center|대상
 
|align=center|개인손님 수입차,<br>국산차 전 브랜드
 
|align=center|개인(사업자) 및<br>법인사업자
 
|align=center|개인(사업자) 및<br>법인사업자
 
|align=center|개인(사업자) 및<br>법인사업자
 
|align=center|개인, 개인사업자,<br>법인
 
|-
 
|align=center|한도
 
|align=center|차량가격 이내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차량가격 이내<br>(신용도 및 차량가격에<br>따라 차등 적용)
 
|align=center|
 
|-
 
|align=center|금리
 
|align=center|연 3.5%
 
|align=center|연 0.0%~9.0%<br>연체이자율 : 약정금리+3%<br>(단, 무이자상품의 경우<br>상시약정금리+3%)<br>법정 최고금리 이내
 
|align=center|금융리스 연 3.9%~9.2%<br>연체이자율: 금융리스 약정금리+3%<br>법정 최고금리 이내, 운용리스 연 24%
 
|align=center|연 4.9%~19.9%<br>연체이자율: 약정금리+최대 3%<br>법정 최고금리 이내
 
|align=center|
 
|-
 
|align=center|기간
 
|align=center|12~72개월
 
|align=center|12~60개월
 
|align=center|12~60개월
 
|align=center|최소 3개월~<br>최대 60개월까지
 
|align=center|12~60개월
 
|}
 
  
 
===기업금융===
 
===기업금융===
*'''의료기 리스''' : 의료장비 또는 설비의 구입자금의 융자 대신, 의료장비 또는 설비 자체를 대여해주는 형태의 금융숭팜으로 리스 이용자가 선정한 의료장비, 설비를 하나캐피탈이 대신 구입하여 장기간 대여해주는 방식이다. 금리는 연 최저 4.7%~최고 6.9%로 심사 결과에 따라 차등으로 적용한다. 연체이자율은 적용금리+3%, 법정 최고금리 이내이다. 리스 가능 범위는 장비 가격의 100% 이내이고 계약종료 후에는 무상양도된다. 상황 방법은 원리금 균등분할상환이며 중도해지 수수료는 2%이다.
+
*'''의료기리스''' : 의료장비 또는 설비의 구입자금의 융자 대신, 의료장비 또는 설비 자체를 대여해주는 형태의 금융숭팜으로 리스 이용자가 선정한 의료장비, 설비를 하나캐피탈이 대신 구입하여 장기간 대여해주는 방식이다. 금리는 연 최저 4.7%~최고 6.9%로 심사 결과에 따라 차등으로 적용한다. 연체이자율은 적용금리+3%, 법정 최고금리 이내이다. 리스 가능 범위는 장비 가격의 100% 이내이고 계약종료 후에는 무상양도된다. 상황 방법은 원리금 균등분할상환이며 중도해지 수수료는 2%이다.
  
*'''의료기 할부''' : 의료기, 의료소모품을 구입하는 병/의원 및 의료법인에게 물건 대금을 지원하는 금융서비스이다. 대상은 병원, 의원 중 할부금융을 통해 물건을 구입하고자 하는 개인사업자, 의료법인이다. 할부금은 물건구매금액으로 금리는 연 최저 0.00%~최대 8.50%이다. 대출 기간은 3개월에서 60개월이고 취급 수수료는 없다.
+
*'''의료기할부''' : 의료기, 의료소모품을 구입하는 병/의원 및 의료법인에게 물건 대금을 지원하는 금융서비스이다. 대상은 병원, 의원 중 할부금융을 통해 물건을 구입하고자 하는 개인사업자, 의료법인이다. 할부금은 물건구매금액으로 금리는 연 최저 0.00%~최대 8.50%이다. 대출 기간은 3개월에서 60개월이고 취급 수수료는 없다.
  
*'''산업재 리스''' :  고가의 산업 장비를 리스가 대신 구입하여 관리해 드리고 고객은 일정 기간 산업 장비의 일부 금액만 납입하면서 이용하다가 리스 기간이 종료되면 산업 장비를 반환하는 금융상품이다. 취급 품목은 산업시설, 기계, 기구 등 모든 제조업종 및 광업, 농수산업에 사용되는 시설, 기계 기구 등이다. 리스 가능 범위는 물건의 구입금액 및 부대비용 내에서 가능하다. 금리는 연 최저 7.0%~최고 13.0%로 심가 결과에 따라 차등 적용한다. 연체이자율은 적용금리+3%, 법정 최고금리 이내이다. 상환 방법은 원리금균등분활상환을 사용하고 중도상환 수수료는 2%, 승계 수수료는 잔여기간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취급 수수료는 없다. 계약 기간은 물건 법정 내용 연수의 20% 이상이며 종료 후 무상으로 매입된다.<ref name='사업분야'>〈[https://www.hanacapital.co.kr/company/info/territory.hnc 사업분야]〉, 《하나캐피탈 홈페이지》</ref>
+
*'''산업재리스''' :  고가의 산업 장비를 리스가 대신 구입하여 관리해 드리고 고객은 일정 기간 산업 장비의 일부 금액만 납입하면서 이용하다가 리스 기간이 종료되면 산업 장비를 반환하는 금융상품이다. 취급 품목은 산업시설, 기계, 기구 등 모든 제조업종 및 광업, 농수산업에 사용되는 시설, 기계 기구 등이다. 리스 가능 범위는 물건의 구입금액 및 부대비용 내에서 가능하다. 금리는 연 최저 7.0%~최고 13.0%로 심가 결과에 따라 차등 적용한다. 연체이자율은 적용금리+3%, 법정 최고금리 이내이다. 상환 방법은 원리금균등분활상환을 사용하고 중도상환 수수료는 2%, 승계 수수료는 잔여기간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취급 수수료는 없다. 계약 기간은 물건 법정 내용 연수의 20% 이상이며 종료 후 무상으로 매입된다.<ref name='사업분야'></ref>
  
 
==구비서류==
 
==구비서류==
;내구소비재 할부
+
;내구소비재할부
 
*개인 : 신분증사본
 
*개인 : 신분증사본
 
*개인사업자 : 신분증사본, 사업자등록증   
 
*개인사업자 : 신분증사본, 사업자등록증   
157번째 줄: 131번째 줄:
 
*공통서류 : 리스 물건 견적서, 의료보험 청구 내역, (리스/할부/대출) 신청서, 개인신용정보 제공 활용 동의서, 사업자 등록증 사본, 대표이사 인감 증명서, 대표이사 주민등록 등본, 대표이사 신분증 사본
 
*공통서류 : 리스 물건 견적서, 의료보험 청구 내역, (리스/할부/대출) 신청서, 개인신용정보 제공 활용 동의서, 사업자 등록증 사본, 대표이사 인감 증명서, 대표이사 주민등록 등본, 대표이사 신분증 사본
 
*법인추가서류 : (법인사업자 경우 대표이사 및 공동사업자 또는 사업자등록증 상 공동사업자는 연대보증 필수)법인 등기부 등본, 법인 인감 증명서, 정관 사본, 이사회 결의서, 사업계획서, 회사 안내서
 
*법인추가서류 : (법인사업자 경우 대표이사 및 공동사업자 또는 사업자등록증 상 공동사업자는 연대보증 필수)법인 등기부 등본, 법인 인감 증명서, 정관 사본, 이사회 결의서, 사업계획서, 회사 안내서
*연대보증 추가서류 (연대보증인이 있는 경우만 제출) : (리스/할부/대출) 신청서, 개인신용정보 제공 활용 동의서, 인감 증명서, 주민등록 등본, 신분증 사본<ref name='사업분야'></ref>
+
*연대보증 추가서류 (연대보증인이 있는 경우만 제출) : (리스/할부/대출) 신청서, 개인신용정보 제공 활용 동의서, 인감 증명서, 주민등록 등본, 신분증 사본 <ref name='사업분야'></ref>
  
 
==제휴==
 
==제휴==
178번째 줄: 152번째 줄:
 
==전망==
 
==전망==
 
하나캐피탈은 경쟁력 강화 일환으로 전사적 디지털화를 추진하며 오토금융과 내구재 할부렌탈사업, 투자금융, 글로벌사업 등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전자약정을 통한 비대면 계약률이 전체 계약 건수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중고차 플랫폼인 ‘하나 드림카’를 지난 2019년에 오픈했으며,‘하나 드림카 Ver.2’로 고도화했다. 또한, 하나은행의 하나원큐앱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디지털과 언택트 기반의 영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하나캐피탈은 중소 제조·유통사가 렌탈·구독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하나원큐렌탈’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를 오픈해 ESG 경영을 실천할 계획이다. 하나원큐렌탈 서비스는 렌탈코어시스템과 모바일 전자 계약 서비스로 구성돼, 다양한 판매 채널에서 유입되는 상담을 접수부터 이용료에 대한 청구수납·수납관리까지 상담의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온라인 가상 채널 ‘모바일 브랜치’ 서비스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원하는 상품을 신청해 계약까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렌탈·구독사업에 지출하는 중소 제조·유통사는 필요한 인프라 구축·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자금 유동서도 적시에 제공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하나캐피탈은 모바일 전용 신용대출상품인 e하나신용대출상품 등을 출시하고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통해 이용 편리성을 증대했다. 하나은행, 하나카드 등캡티브 연계와 외부 제휴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영업을 확대했고, 자체 멤버십을 재정비해 중금리 위주의 소비자 신용대출 자산이 안정적으로 신장되고 있다. 2019년 이후에는 국내외 대체투자와 강소벤처기업의 자본 투자 등을 통해 자산을 확대했으며, 하나금융그룹 관계사간 콜라보 추진 사업에 적극 참여해 [[기술금융]]과 신성장산업 등 펀드 투자를 늘렸다. 2020년 하반기부터는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 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유망 스타트업 발굴·육성하는 ‘디지털 기술혁신 및 인재 양성’ 투자 등과 관련한 자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하나캐피탈은 지난 2015년 인도네시아 시나르마스 하나파이낸스 경영권 인수에 이어 미얀마 마이크로파이낸스 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사업 영역을 확대했다. 기존에 진출한 지역의 추가 인수·합병을 통해 대형화와 신규 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제3의 동남아 진출국을 모색해 확대 전략에 발맞춰나갈 계획이다. 하나캐피탈은 리스크관리에 있어서도 경기 변동에 민감한 고위험자산을 감축하고 우량 자산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했다. 현장 중심의 선제적 리스크관리를 통해 업무 권역 최고수준의 자산건전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2019년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그룹에서 자체 개발한 머신러닝 모형을 기반으로 고도화해 정교화와 효율성을 확보했다. 또한 오토금융 중심의 자산 구성에서 비오토 금융 자산의 비중이 50% 이상 차지하며 균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하나캐피탈은 우량 자산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했으며,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해 업계 최고 수준의 건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했다.<ref>김대성 기자, 〈[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2103132056098120dd55077bc2_18 [캐피탈사 2021 경영전략] 하나캐피탈, 사업 다각화로 ‘리딩캐피탈’ 수성]〉, 《한국금융》,  2021-03-15</ref>
 
하나캐피탈은 경쟁력 강화 일환으로 전사적 디지털화를 추진하며 오토금융과 내구재 할부렌탈사업, 투자금융, 글로벌사업 등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전자약정을 통한 비대면 계약률이 전체 계약 건수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중고차 플랫폼인 ‘하나 드림카’를 지난 2019년에 오픈했으며,‘하나 드림카 Ver.2’로 고도화했다. 또한, 하나은행의 하나원큐앱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디지털과 언택트 기반의 영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하나캐피탈은 중소 제조·유통사가 렌탈·구독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하나원큐렌탈’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를 오픈해 ESG 경영을 실천할 계획이다. 하나원큐렌탈 서비스는 렌탈코어시스템과 모바일 전자 계약 서비스로 구성돼, 다양한 판매 채널에서 유입되는 상담을 접수부터 이용료에 대한 청구수납·수납관리까지 상담의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온라인 가상 채널 ‘모바일 브랜치’ 서비스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원하는 상품을 신청해 계약까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렌탈·구독사업에 지출하는 중소 제조·유통사는 필요한 인프라 구축·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자금 유동서도 적시에 제공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하나캐피탈은 모바일 전용 신용대출상품인 e하나신용대출상품 등을 출시하고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통해 이용 편리성을 증대했다. 하나은행, 하나카드 등캡티브 연계와 외부 제휴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영업을 확대했고, 자체 멤버십을 재정비해 중금리 위주의 소비자 신용대출 자산이 안정적으로 신장되고 있다. 2019년 이후에는 국내외 대체투자와 강소벤처기업의 자본 투자 등을 통해 자산을 확대했으며, 하나금융그룹 관계사간 콜라보 추진 사업에 적극 참여해 [[기술금융]]과 신성장산업 등 펀드 투자를 늘렸다. 2020년 하반기부터는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 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유망 스타트업 발굴·육성하는 ‘디지털 기술혁신 및 인재 양성’ 투자 등과 관련한 자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하나캐피탈은 지난 2015년 인도네시아 시나르마스 하나파이낸스 경영권 인수에 이어 미얀마 마이크로파이낸스 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사업 영역을 확대했다. 기존에 진출한 지역의 추가 인수·합병을 통해 대형화와 신규 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제3의 동남아 진출국을 모색해 확대 전략에 발맞춰나갈 계획이다. 하나캐피탈은 리스크관리에 있어서도 경기 변동에 민감한 고위험자산을 감축하고 우량 자산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했다. 현장 중심의 선제적 리스크관리를 통해 업무 권역 최고수준의 자산건전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2019년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그룹에서 자체 개발한 머신러닝 모형을 기반으로 고도화해 정교화와 효율성을 확보했다. 또한 오토금융 중심의 자산 구성에서 비오토 금융 자산의 비중이 50% 이상 차지하며 균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하나캐피탈은 우량 자산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했으며,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해 업계 최고 수준의 건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했다.<ref>김대성 기자, 〈[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2103132056098120dd55077bc2_18 [캐피탈사 2021 경영전략] 하나캐피탈, 사업 다각화로 ‘리딩캐피탈’ 수성]〉, 《한국금융》,  2021-03-15</ref>
 +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하나캐피탈 홈페이지 - https://www.hanacapital.co.kr/
+
*《하나캐피탈 홈페이지》 - https://www.hanacapital.co.kr/index.hnc
* 정성화 기자, 〈[https://www.f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840 하나캐피탈, '몰던카'와 전략적 업무제휴 ... 오토금융 강화]〉, 《금융경제》,  2020-02-27
+
*정성화 기자, 〈[https://www.f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840 하나캐피탈, '몰던카'와 전략적 업무제휴 ... 오토금융 강화]〉, 《금융경제》,  2020-02-27
* 김태영 기자,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7453 하나캐피탈·벤처스·생명, 보맵에 85억 투자... "디지털보험 시장 선도"]〉, 《시장경제》,  2021-01-22
+
*김태영 기자,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7453 하나캐피탈·벤처스·생명, 보맵에 85억 투자... "디지털보험 시장 선도"]〉, 《시장경제》,  2021-01-22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26/2021012600879.html '플렉스페이' 하나캐피탈과 새로운 후불결제 플랫폼 MOU 체결]〉, 《조선비즈》,  2021-01-22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26/2021012600879.html '플렉스페이' 하나캐피탈과 새로운 후불결제 플랫폼 MOU 체결]〉, 《조선비즈》,  2021-01-22
* 황찬교 기자, 〈[http://www.kdf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3458 하나캐피탈, 'Global Happy Sharing' 기부 캠페인 실시]〉, 《조세일보》,  2020-12-16
+
*황찬교 기자, 〈[http://www.kdf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3458 하나캐피탈, 'Global Happy Sharing' 기부 캠페인 실시]〉, 《조세일보》,  2020-12-16
* 김대성 기자,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0/11/20201110409993.html 하나캐피탈, ESG 채권 3000억원 규모 발행]〉, 《조세일보》,  2020-11-10
+
*김대성 기자,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0/11/20201110409993.html 하나캐피탈, ESG 채권 3000억원 규모 발행]〉, 《조세일보》,  2020-11-10
* 김대성 기자, 〈[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2103132056098120dd55077bc2_18 [캐피탈사 2021 경영전략] 하나캐피탈, 사업 다각화로 ‘리딩캐피탈’ 수성]〉, 《한국금융》,  2021-03-15
+
*김대성 기자, 〈[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2103132056098120dd55077bc2_18 [캐피탈사 2021 경영전략] 하나캐피탈, 사업 다각화로 ‘리딩캐피탈’ 수성]〉, 《한국금융》,  2021-03-1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하나금융그룹]]
+
* [[현대자동차그룹]]
* [[하나은행]]
 
 
* [[현대자동차]]
 
* [[현대자동차]]
 
* [[기아자동차]]
 
* [[기아자동차]]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