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8번째 줄: 18번째 줄:
 
5.25 [[폼팩터]] [[디스크]]는 그 후 IBM의 10MB 용량이 출시되면서 [[PC]]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대중화가 이루어졌다.<ref name="하드 디스크의 역사"></ref>
 
5.25 [[폼팩터]] [[디스크]]는 그 후 IBM의 10MB 용량이 출시되면서 [[PC]]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대중화가 이루어졌다.<ref name="하드 디스크의 역사"></ref>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XT 호환이라면서 판 [[모델]]에 하드디스크가 있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 더 늦은 1980년대 말이나 90년대 초에 [[AT]]가 보급되면서 본격적으로 하드디스크가 보급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XT 호환이라면서 판 [[모델]]에 하드디스크가 있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 더 늦은 1980년대 말이나 90년대 초에 [[AT]]가 보급되면서 본격적으로 하드디스크가 보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하드디스크(HDD)를 자체 [[브랜드]]로 처음 만든 곳은 [[삼성]]이다.
+
우리나라에서 HDD를 자체 [[브랜드]]로 처음 만든 곳은 [[삼성]]이다.
하지만 2011년 [[삼성]]에서도 하드디스크(HDD) 사업부를 [[시게이트]]에 매각하고, 대주주가 되는 대신 HDD 제조 사업을 접었다.<ref name="나무위키"></ref>
+
하지만 2011년 [[삼성]]에서도 HDD 사업부를 [[시게이트]]에 매각하고, 대주주가 되는 대신 HDD 제조 사업을 접었다.<ref name="나무위키"></ref>
  
 
=== 현재 ===
 
=== 현재 ===
 
2014년에는 [[HGST]] 헬륨 단일[[하드]] 10TB를 발표하였고
 
2014년에는 [[HGST]] 헬륨 단일[[하드]] 10TB를 발표하였고
2018년 8월, 480MB/S의 속도를 보여주는 HDD가 개발되었다. 다만, 읽기/쓰기 속도만 그렇다는거지, HDD의 한계 특성상 실질적인 속도는 기존 HDD보다 약간 더 빨라졌다에 그칠 것이다.
 
 
2019년에는 [[시게이트]]에서 16TB 용량의 하드디스크 제품을 발표하였다.
 
2019년에는 [[시게이트]]에서 16TB 용량의 하드디스크 제품을 발표하였다.
 
가격은 헬륨 충전 방식에 SATA와 SAS 모두 지원하는 엑소스 X16이 629달러, SATA만 지원하는 아이언 울프 16TB와 아이언 울프 프로 16TB는 각각 609달러, 664달러이다.<ref name ="인 월드"> Jon L. Jacobi ,〈[http://www.itworld.co.kr/news/123788 씨게이트, 16TB 하드디스크 제품군 발표…자기 디스크 용량의 최고 수위 갱신]〉, 《In World》, 2019-06-05 </ref>
 
가격은 헬륨 충전 방식에 SATA와 SAS 모두 지원하는 엑소스 X16이 629달러, SATA만 지원하는 아이언 울프 16TB와 아이언 울프 프로 16TB는 각각 609달러, 664달러이다.<ref name ="인 월드"> Jon L. Jacobi ,〈[http://www.itworld.co.kr/news/123788 씨게이트, 16TB 하드디스크 제품군 발표…자기 디스크 용량의 최고 수위 갱신]〉, 《In World》, 2019-06-05 </ref>
  
 
== 특징 ==
 
== 특징 ==
*먼저 하드디스크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SSD]]와 비교했을 때 가격에 비해 큰 용량의 저장 공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SSD]] 120GB의 가격으로 1TB정도의 하드디스크를 구매할 수 있다.
+
*먼저 하드디스크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에스에스디]](SSD)와 비교했을 때 가격에 비해 큰 용량의 저장 공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에스에스디]](SSD) 120GB의 가격으로 1TB의 하드디스크를 구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는 용량이 큰 미디어 파일이나 사진 등을 보관할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는 용량이 큰 미디어 파일이나 사진 등을 보관할 때 사용한다.
*[[SSD]]는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연 방전에 의해 [[데이터]]를 손실할 수 있는데, 하드디스크(HDD)는 [[자기 디스크]]에 기록된 상태에서 방치해도 자연 방전 때문에 [[데이터]]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라서 장기 보존에 적합하다.<ref name="티스토리2"> 프로그래머 삶-자동차, 〈[https://coderlife.tistory.com/317 Solid State Drive SSD HDD 장단점과 차이점 비교 ]〉, 《티스토리》, 2018-07-11 </ref>
+
하지만 하드디스크와 [[에스에스디]](SSD)의 속도를 비교했을 때 SSD가 부팅 및 프로그램 로딩과 실행 속도가 3~5배 정도 빠르기 때문에  
*하드디스크와 [[SSD]]의 속도를 비교했을 때 SSD가 부팅 및 프로그램 로딩과 실행 속도가 3~5배 정도 빠르기 때문에 용량이 작은 단일 파일 등을 처리할 때는 SSD와의 속도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파일의 크기가 크거나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용량이 클 수록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
용량이 작은 단일 파일 등을 처리할 때는 SSD와의 속도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파일의 크기가 크거나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용량이 클 수록
 +
[[에스에스디]](SSD)에 비교했을 때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하드디스크는 [[플래터]] 위에 [[헤드]]가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한 물리적인 장치가 필요하고, 충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교체나 이동할 때 주의를 해야 한다.
 
*하드디스크는 [[플래터]] 위에 [[헤드]]가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한 물리적인 장치가 필요하고, 충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교체나 이동할 때 주의를 해야 한다.
 
*하드디스크의 [[사이즈]]는 주로 3.5인치 규격을 사용하는데, 휴대가 가능한 외장형 [[케이스]]를 구매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보통 외장형 [[케이스는]] [[USB]] [[포트]]를 지원하여 보조 [[디스크]]로서 휴대성과 부족한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의 [[사이즈]]는 주로 3.5인치 규격을 사용하는데, 휴대가 가능한 외장형 [[케이스]]를 구매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보통 외장형 [[케이스는]] [[USB]] [[포트]]를 지원하여 보조 [[디스크]]로서 휴대성과 부족한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는 [[데이터]]를 읽고 쓰면서 [[플래터]], [[헤드]], [[스핀]]들이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소음과 발열이 심하고 소비 전력이 높다.  
+
*하드디스크는 [[데이터]]를 읽고 쓰면서 [[플래터]], [[헤드]], [[스핀]]들이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하다. 출시가 오래된 하드디스크는 장시간 사용 시 [[데이터]]를 쓰고 읽지 않아도 특유의 잡음이 들리는 문제가 있다.<ref name="티스토리"> 택이짱, 〈[https://texit.tistory.com/15 SSD와 HDD 차이 및 장단점 구분하기]〉, 《티스토리》, 2016-10-05 </ref>
*출시가 오래된 하드디스크는 장시간 사용 시 [[데이터]]를 쓰고 읽지 않아도 특유의 잡음이 들리는 문제가 있다.<ref name="티스토리"> 택이짱, 〈[https://texit.tistory.com/15 SSD와 HDD 차이 및 장단점 구분하기]〉, 《티스토리》, 2016-10-05 </ref>
 
  
 
== 종류 ==
 
== 종류 ==
41번째 줄: 40번째 줄: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 40핀으로 구성된 저장 장치 연결 방식이다. PATA라는 명칭도 사용된다.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 40핀으로 구성된 저장 장치 연결 방식이다. PATA라는 명칭도 사용된다.
 
*SATA(Serial advance technology attachment) : IDE를 대체하기 위해 생겨난 저장 장치 연결 방식으로, IDE의 40핀을 소형화한 연결 방식이다.
 
*SATA(Serial advance technology attachment) : IDE를 대체하기 위해 생겨난 저장 장치 연결 방식으로, IDE의 40핀을 소형화한 연결 방식이다.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 서버에 사용되는 하드디스크(HDD) 연결용으로, IDE 연결 방식에 비해 성능이 뛰어나다. 가격대가 높아 일반 개인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가 최근 개인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평균 전송속도 640MB/sec를 지원한다.
+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 서버에 사용되는 하드디스크(HDD) 연결용으로, IDE 연결 방식에 비해 성능이 뛰어나다. 가격대가 높아 일반 개인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가 최근  
*SAS(Serial Attached SCSI) : SCSI의 규격의 일종이며,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패러럴(병렬) 방식의 전송 규격을 시리얼화 시킨 것을 말한다. [[서버]]용 하드디스크(HDD) 접속에 많이 사용되며, 개인 [[컴퓨터]]용으로는 SAS보다 SATA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SAS 3.0버전의 평균 전송속도는 12GB/sec를 지원한다.<ref name="하드디스크의 종류">  강자,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wshop88&logNo=220667530818 HDD의 종류 및 HDD와 SSD의 차이점]〉, 《네이버 블로그》, 2016-03-28 </ref>
+
개인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평균 전송속도 640MB/sec를 지원한다.
 +
*AS(Serial Attached SCSI) : SCSI의 규격의 일종이며,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패러럴(병렬) 방식의 전송 규격을 시리얼화 시킨 것을 말한다.
 +
[[서버]]용 하드디스크(HDD) 접속에 많이 사용되며, 개인 [[컴퓨터용]]으로는 SAS보다 SATA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
SAS 3.0버전의 평균 전송속도는 12GB/sec를 지원한다.<ref name="하드디스크의 종류">  강자,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wshop88&logNo=220667530818 HDD의 종류 및 HDD와 SSD의 차이점]〉, 《네이버 블로그》, 2016-03-28 </ref>
  
== 문제점과 대안 ==
+
== 문제점 ==
=== 문제점 ===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PC]] 장치들의 전반적인 처리 속도가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 하지만 그중에서 유독 발전이 늦는 것이 있는데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PC]] 장치들의 전반적인 처리 속도가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 하지만 그중에서 유독 발전이 늦는 것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하드디스크이다.
 
그것이 바로 하드디스크이다.
하드디스크는 [[반도체]] 기반의 장치인 [[CPU]], [[메모리]], [[그래픽카드]] 등과 달리, 하드디스크(HDD)는 [[자기디스크]] 기반의 장치이기 때문이다. [[반도체]]의 경우, 제조 공정을 세밀화하거나 입력 전압을 높이는 등의 작업으로 비교적 쉽게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지만, [[자기디스크]]는 회전속도를 높이는 등의 물리적인 방법으로 성능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그 한계가 명확하다. 또한 다른 장치들에 비해 유난히 느린 하드디스크(HDD) 때문에 [[PC]]의 전반적인 성능이 저하된다는 점이다..<ref name="IT동아"> 김영우 기자, 〈[https://it.donga.com/2981/ HDD + SSD = 하이브리드 HDD?]〉, 《IT동아》,2010-09-09</ref>
+
하드디스크는 [[반도체]] 기반의 장치인 [[CPU]], [[메모리]], [[그래픽카드]] 등과 달리, 하드디스크(HDD)는 [[자기디스크]] 기반의 장치이기 때문이다. [[반도체]]의 경우, 제조 공정을 세밀화하거나 입력 전압을 높이는 등의 작업으로 비교적 쉽게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지만, [[자기디스크]]는 회전속도를 높이는 등의 물리적인 방법으로 성능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그 한계가 명확하다.또한 다른 장치들에 비해 유난히 느린 하드디스크(HDD) 때문에 [[PC]]의 전반적인 성능이 저하된다는 점이다.
 
+
== 대안 ==
=== 대안 ===
 
 
이러한 문제점을 [[PC]] 업계에서 진작에 인식하고 대책을 연구해왔고, 그 결과로 [[SSD]]가 나오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PC]] 업계에서 진작에 인식하고 대책을 연구해왔고, 그 결과로 [[SSD]]가 나오게 되었다.
[[SSD]]는 [[자기디스크]]가 아닌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메모리)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HDD)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다. 그리고 [[디스크]]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 소모가 적으며 소음도 전혀 없다.
+
[[SSD]]는 [[자기디스크]]가 아닌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메모리)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HDD)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다. 그리고 [[디스크]]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 소모가 적으며 소음도 전혀 없지만 [[SSD]]의 문제는 가격 대비 용량이다.
하지만[[SSD]]의 문제는 가격 대비 용량이다.
 
 
같은 용량의 하드디스크(HDD)와 [[SSD]]를 비교한다면 약 5배 정도 [[SSD]]가 비싸다.
 
같은 용량의 하드디스크(HDD)와 [[SSD]]를 비교한다면 약 5배 정도 [[SSD]]가 비싸다.
아무리 좋더라도 이 정도로 큰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면 선뜻 구매를 결정하기 어렵다.
+
아무리 좋더라도 이 정도로 큰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면 선뜻 구매를 결정하기 어렵다.  
+
차츰 [[SSD]]의 생산 기술이 개선되고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니 언젠가 [[SSD]]도 하드디스크(HDD) 못지않게 저렴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시대가 오긴 하겠지만, 그것이 언제가 될지는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게 사실이다.<ref name="IT동아"> 김영우 기자, 〈[https://it.donga.com/2981/ HDD + SSD = 하이브리드 HDD?]〉,《IT동아》,2010-09-09</ref>
차츰 [[SSD]]의 생산 기술이 개선되고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니 언젠가 [[SSD]]도 하드디스크(HDD) 못지않게 저렴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시대가 오긴 하겠지만, 그것이 언제가 될지는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게 사실이다.<ref name="IT동아"></ref>
 
  
이러한 하드디스크(HDD)의 문제점과 [[SSD]]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 중 하나가 하이브리드 하드디스크(Hybrid Hard Disk Drive)이다
+
하드디스크(HDD)의 문제점과 [[SSD]]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 중 하나가 하이브리드 하드디스크(Hybrid Hard Disk Drive)이다
 
[[하이브리드]](Hybrid)는 혼합, 복합이라는 의미로 이것은 하드디스크(HDD)와 [[SSD]]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하이브리드]](Hybrid)는 혼합, 복합이라는 의미로 이것은 하드디스크(HDD)와 [[SSD]]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가격은 일반 HDD보다는 약간 비싸지만 SSD보다는 훨씬 싸다.
 
가격은 일반 HDD보다는 약간 비싸지만 SSD보다는 훨씬 싸다.
65번째 줄: 63번째 줄:
  
 
== 평가 및 전망 ==
 
== 평가 및 전망 ==
하드 디스크는 출하량이 날로 줄어들고 있다. 하드디스크 스핀들 모터를 생산하는 일본의 모터 제조회사, NIDEC은 2018년 실적 발표 자료에서 2010년 6억 5,000만 대에 달했던 HDD 출하량이 2018년 3억 7,600만 대로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8년 사이 판매량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
하드 디스크는 출하량이 날로 줄어들고 있다. 특히 올해는 PC용 HDD의 몰락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하드디스크 스핀들 모터를 생산하는 일본의 모터 제조회사, NIDEC은 2018년 실적 발표 자료에서 2010년 6억 5,000만 대에 달했던 HDD 출하량이 2018년 3억 7,600만 대로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8년 사이 판매량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
반면, 기업용/데이터센터용 HDD와 외장하드는 상대적으로 충격이 덜할 것으로 보인다.
 
PC용 HDD가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는 가장 큰 이유는 SSD 때문이다. SSD는 HDD보다 가격 대비 용량은 적지만 훨씬 작교 가벼우며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빠른 부팅과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HDD를 SSD로 대체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
 
PC용 HDD가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는 가장 큰 이유는 SSD 때문이다. SSD는 HDD보다 가격 대비 용량은 적지만 훨씬 작교 가벼우며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빠른 부팅과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HDD를 SSD로 대체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
 
+
상황이 이렇게 되자 HDD 제조사들은 대용량 기업용/데이터서버용 HDD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ref name="Smart PC사랑"> 이철호 기자, 〈[http://www.ilovep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397#09Si 점점 빨라지는 하드디스크의 ‘몰락’]〉,《Smart PC사랑》,2010-05-08 </ref>
결과적으로 고성능이 필요한 사용자는 SSD로, 그렇지 않은 사용자는 HDD로 수요가 갈리고 있지만 SSD의 보급이 진행될수록 가격도 점점 내려갈 것이고,
 
결국 특수 목적이 아닌 일반 소비자용 시장에서는 일부 대용량 수요를 제외하고는 수십 년 안에 SSD에 밀려 사장될 것으로 보인다.<ref name="나무위키"></ref>
 
 
 
반면, 기업용/데이터센터용 HDD와 외장하드는 상대적으로 충격이 덜할 것으로 보인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HDD 제조사들은 대용량 기업용/데이터서버용 HDD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ref name="Smart PC사랑"> 이철호 기자, 〈[http://www.ilovep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397#09Si 점점 빨라지는 하드디스크의 ‘몰락’]〉, 《Smart PC사랑》,2010-05-08 </ref>
 
  
 
{{각주}}
 
{{각주}}
79번째 줄: 74번째 줄:
 
*〈[https://namu.wiki/w/%ED%95%98%EB%93%9C%20%EB%94%94%EC%8A%A4%ED%81%AC%20%EB%93%9C%EB%9D%BC%EC%9D%B4%EB%B8%8C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나무위키》
 
*〈[https://namu.wiki/w/%ED%95%98%EB%93%9C%20%EB%94%94%EC%8A%A4%ED%81%AC%20%EB%93%9C%EB%9D%BC%EC%9D%B4%EB%B8%8C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나무위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6033&cid=40942&categoryId=32832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6033&cid=40942&categoryId=32832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두산백과》
*복구박사 복구박사, 〈[https://imsosimin.com/7 하드 디스크의 역사]〉,《The data recovery blog》, 2019-05-30
 
*Jon L. Jacobi ,〈[http://www.itworld.co.kr/news/123788 씨게이트, 16TB 하드디스크 제품군 발표…자기 디스크 용량의 최고 수위 갱신]〉, 《In World》, 2019-06-05
 
*택이짱, 〈[https://texit.tistory.com/15 SSD와 HDD 차이 및 장단점 구분하기]〉, 《티스토리》, 2016-10-05
 
*강자,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wshop88&logNo=220667530818 HDD의 종류 및 HDD와 SSD의 차이점]〉, 《네이버 블로그》, 2016-03-28
 
*김영우 기자, 〈[https://it.donga.com/2981/ HDD + SSD = 하이브리드 HDD?]〉, 《IT동아》,2010-09-0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645&cid=59277&categoryId=59278 하이브리드 하드디스크]〉《네이버 지식백과》
 
*이철호 기자, 〈[http://www.ilovep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397#09Si 점점 빨라지는 하드디스크의 ‘몰락’]〉, 《Smart PC사랑》,2010-05-08
 
*프로그래머 삶-자동차, 〈[https://coderlife.tistory.com/317 Solid State Drive SSD HDD 장단점과 차이점 비교 ]〉, 《티스토리》, 2018-07-1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96번째 줄: 83번째 줄:
 
* [[스토리지]]
 
* [[스토리지]]
 
* [[SSD]]
 
* [[SSD]]
* [[플래시 메모리]]
+
{{컴퓨터|토막글}}
* [[디스크]]
 
 
 
{{컴퓨터|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