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퓨얼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7번째 줄: 67번째 줄:
  
 
===25MW===
 
===25MW===
한국퓨얼셀㈜은 2.5MW 연료전지 제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다. 또한, 국내 20여 곳에 총 166.7MW의 연료전지를 운영하며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2.5MW 제품은 500m² 즉 150평의 면적에서 약 3,200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기와 870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열에너지를 생산한다. 또한 나무 약 45만 그루의 식재 효과와 1,500대 차량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 저감효과를 갖는다. 이 연료전지는 발전소, 대형건물, 쓰레기 매립지 등에서 활용되어 사용된다. 한국퓨얼셀㈜의 연료전지는 세계 최대 연료전지발전소인 경기그린에너지를 포함, 총 166.7MW의 연료전지를 국내 20여 개소에서 운영 중이다. 서울 상암에 위치한 도심형 분산 전원 [[노을그린에너지㈜]]의 2016년 12월에 설비용량은 20MW이고, 약 45,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한다. 서울시 최대 규모의 연료전지 활용 분산 전원 구축 사례로 서울시 전력자립도를 향상했다. 비오지 활용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강원도 삼척에 있는 [[한국가스공사]](KOGAS)는 2014년 12월에 0.3MW 설비용량을 가졌으며, 엘엔지 생산기지 내에 비오지를 활용히여 세계 최대 비오지를 활용한 연료전지이다. 구역형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경기그린에너지는 2013년 6월에 58.8MW 설비용량을 가졌으며, 화성시에 있는 가정 전력 소비량의 70%를 공급하고 열 소비량 10%를 공급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소도 있다. 마지막으로, 바오지 가스를 활용한 연료전지인 부산 하수처리장 [[벽산엔지니어링]]이 있다. 2010년 5월 기준 1.2MW 설비용량을 가졌으며, 국내 최초 비오지 가스를 이용한 연료전지 사례이다. 부산 사하구 부산환경공단 강변사업소 내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곳이기도 하다.
+
한국퓨얼셀㈜은 2.5MW 연료전지 제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다. 또한, 국내 20여 곳에 총 166.7MW의 연료전지를 운영하며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2.5MW 제품은 500m² 즉 150평의 면적에서 약 3,200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기와 870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열에너지를 생산한다. 또한 나무 약 45만 그루의 식재 효과와 1,500대 차량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 저감효과를 갖는다. 이 연료전지는 발전소, 대형건물, 쓰레기 매립지 등에서 활용되어 사용된다. 한국퓨얼셀㈜의 연료전지는 세계 최대 연료전지발전소인 경기그린에너지를 포함, 총 166.7MW의 연료전지를 국내 20여 개소에서 운영 중이다. 서울 상암에 위치한 도심형 분산 전원 [[노을 그린에너지]]의 2016년 12월에 설비용량은 20MW이고, 약 45,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한다. 서울시 최대 규모의 연료전지 활용 분산 전원 구축 사례로 서울시 전력자립도를 향상했다. 비오지 활용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강원도 삼척에 있는 [[한국가스공사]](KOGAS)는 2014년 12월에 0.3MW 설비용량을 가졌으며, 엘엔지 생산기지 내에 비오지를 활용히여 세계 최대 비오지를 활용한 연료전지이다. 구역형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경기그린에너지]]는 2013년 6월에 58.8MW 설비용량을 가졌으며, 화성시에 있는 가정 전력 소비량의 70%를 공급하고 열 소비량 10%를 공급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소도 있다. 마지막으로, 바오지 가스를 활용한 연료전지인 부산 하수처리장 [[벽산엔지니어링]]이 있다. 2010년 5월 기준 1.2MW 설비용량을 가졌으며, 국내 최초 비오지 가스를 이용한 연료전지 사례이다. 부산 사하구 부산환경공단 강변사업소 내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곳이기도 하다.
  
 
* '''맞춤형 서비스''' : 한국퓨얼셀㈜은 국내에서 실증 완료한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으로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운전, 정비,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다년간의 서비스 노하우를 쌓은 최고의 전문 인력들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최상의 신뢰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서비스는 장기 서비스 계약(LTSA, Long Term Service Agreement)으로 연료전지의 약정출력과 안정적 운용을 보장한다. 크게 네 가지의 세부 서비스가 존재한다. 첫 번째는 원격으로 24시간 모니터링 및 응급상황 시 신속 대응이 가능한 통신체계를 구축하였고, 설비의 신뢰도와 가동률 제고를 위해 플랜트의 일정 수준 발전량을 보증하여 플랜트 운전상태를 보증하고 원격 감시를 통해 이상 징후 감지 시 신속히 정상 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돌발 정비 서비스와 마지막으로 계획된 일정에 맞춰 기술적인 서비스, 부품, 소모품 등을 공급/교체 및 검사하는 예방 정비 서비스를 제공한다.<ref name="홈피"></ref>
 
* '''맞춤형 서비스''' : 한국퓨얼셀㈜은 국내에서 실증 완료한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으로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운전, 정비,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다년간의 서비스 노하우를 쌓은 최고의 전문 인력들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최상의 신뢰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서비스는 장기 서비스 계약(LTSA, Long Term Service Agreement)으로 연료전지의 약정출력과 안정적 운용을 보장한다. 크게 네 가지의 세부 서비스가 존재한다. 첫 번째는 원격으로 24시간 모니터링 및 응급상황 시 신속 대응이 가능한 통신체계를 구축하였고, 설비의 신뢰도와 가동률 제고를 위해 플랜트의 일정 수준 발전량을 보증하여 플랜트 운전상태를 보증하고 원격 감시를 통해 이상 징후 감지 시 신속히 정상 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돌발 정비 서비스와 마지막으로 계획된 일정에 맞춰 기술적인 서비스, 부품, 소모품 등을 공급/교체 및 검사하는 예방 정비 서비스를 제공한다.<ref name="홈피"></ref>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