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치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한치선.jpg|썸네일|300픽셀|'''한치선''' [[심버스]] 이사]]
 
[[파일:한치선.jpg|썸네일|300픽셀|'''한치선''' [[심버스]] 이사]]
[[파일:심버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심버스]]'''(SymVerse)]]
 
  
 
'''한치선'''은 한국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심버스]]'''(SymVerse)의 이사이다. 심버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분야 디렉터를 맡고 있다. 서예 작가로 활동 중이며 인문 서적 3권을 집필했고, 온오프라인에서 인문학 강의를 하고 있다. [[스팀잇]] 및 [[땡글]]과 [[블록체인허브]]의 코인붓툰 작가로도 활약하고 있으며, [[씨씨티브이뉴스]](CCTV NEWS)에 컬럼을 기고하고 있다.
 
'''한치선'''은 한국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심버스]]'''(SymVerse)의 이사이다. 심버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분야 디렉터를 맡고 있다. 서예 작가로 활동 중이며 인문 서적 3권을 집필했고, 온오프라인에서 인문학 강의를 하고 있다. [[스팀잇]] 및 [[땡글]]과 [[블록체인허브]]의 코인붓툰 작가로도 활약하고 있으며, [[씨씨티브이뉴스]](CCTV NEWS)에 컬럼을 기고하고 있다.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한치선 이사가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서 발표합니다.}}
 
 
<center>
 
<center>
 
{|border=0
 
{|border=0
14번째 줄: 11번째 줄:
 
*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졸업
 
*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졸업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도예과 졸업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도예과 졸업
유튜브 '타타오 캘리아트'  '타타오 서재'
+
* 한글명상원 [[예터]]에서 근무
 +
* [[심버스]](SymVerse)에서 근무
  
 
==주요 활동==
 
==주요 활동==
26번째 줄: 24번째 줄:
 
한치선은 [[씨씨티브이뉴스]]에서 칼럼을 기고한다. 현재까지 2개의 칼럼이 존재하는데 그 칼럼들의 제목들은 '암호화폐의 활로,토큰이코노미'와 '블록체인 암호화폐, 최적의 나라는 어디인가?'이다.첫번째 칼럼의 내용은 블록체인이라는 뛰어난 기술이 등장했지만 왜 이 블록체인이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지 못했는지의 내용과 블록체인을 성장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와 블록체인을 성장시키려면 많은 사람들이 거래를 해야하고 거래를 활발하게 하려면 보상-리워드가 확실히 존재 및 활성화가 되어야 한다는 내용이다.<ref>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955 암호화폐의 활로, 토큰이코노미]〉, 《씨씨티브이뉴스》, 2019-06-04</ref> 그 다음 두번째 칼럼의 내용은 블록체인 암호화폐 사업에 관련된 대한민국 사람들의 편견을 말하고 에스토니아와 스위스는 한국과 다르게 블록체인 사업이 많이 활성화가 되어 있고 국가에서 많은 지원을 해준다는 내용이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이 블록체인으로 사업을 하면 안되다는 내용은 아니다. 오히려 대한민국은 블록체인이 중국에 비해 거래소가 많이 적지만 많은 기관과 나라에서 블록체인을 받아들인다면 대한민국이야말로 블록체인 사업에 대한 최적의 나라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이다.<ref>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957 블록체인 암호화폐, 최적의 나라는 어디인가?]〉, 《씨씨티브이뉴스》, 2019.07.02</ref>
 
한치선은 [[씨씨티브이뉴스]]에서 칼럼을 기고한다. 현재까지 2개의 칼럼이 존재하는데 그 칼럼들의 제목들은 '암호화폐의 활로,토큰이코노미'와 '블록체인 암호화폐, 최적의 나라는 어디인가?'이다.첫번째 칼럼의 내용은 블록체인이라는 뛰어난 기술이 등장했지만 왜 이 블록체인이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지 못했는지의 내용과 블록체인을 성장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와 블록체인을 성장시키려면 많은 사람들이 거래를 해야하고 거래를 활발하게 하려면 보상-리워드가 확실히 존재 및 활성화가 되어야 한다는 내용이다.<ref>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955 암호화폐의 활로, 토큰이코노미]〉, 《씨씨티브이뉴스》, 2019-06-04</ref> 그 다음 두번째 칼럼의 내용은 블록체인 암호화폐 사업에 관련된 대한민국 사람들의 편견을 말하고 에스토니아와 스위스는 한국과 다르게 블록체인 사업이 많이 활성화가 되어 있고 국가에서 많은 지원을 해준다는 내용이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이 블록체인으로 사업을 하면 안되다는 내용은 아니다. 오히려 대한민국은 블록체인이 중국에 비해 거래소가 많이 적지만 많은 기관과 나라에서 블록체인을 받아들인다면 대한민국이야말로 블록체인 사업에 대한 최적의 나라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이다.<ref>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957 블록체인 암호화폐, 최적의 나라는 어디인가?]〉, 《씨씨티브이뉴스》, 2019.07.02</ref>
  
== 동영상 ==
+
{{각주}}  
<youtube>_5DTcEHSr8w</youtube>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39번째 줄: 33번째 줄:
 
*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957 블록체인 암호화폐, 최적의 나라는 어디인가?]〉, 《씨씨티브이뉴스》, 2019-07-02
 
*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957 블록체인 암호화폐, 최적의 나라는 어디인가?]〉, 《씨씨티브이뉴스》, 2019-07-02
 
* 한치선(tata의 코인붓툰), 〈[https://www.ddengle.com/tata/11256246 (코인붓툰) 흑우자가판별법]〉, 《땡글닷컴》, 2019-06-18
 
* 한치선(tata의 코인붓툰), 〈[https://www.ddengle.com/tata/11256246 (코인붓툰) 흑우자가판별법]〉, 《땡글닷컴》, 2019-06-18
* 최규현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6718 하반기 주목되는 프로젝트는?]〉, 《비아이뉴스》, 2019-07-22
 
* 한치선 심버스 칼럼니스트,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131 (컬럼) DID, 블록체인 확산의 기폭제가 될 것인가? ]〉, 《CCTV뉴스》, 2020-02-03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46번째 줄: 38번째 줄:
 
* [[최수혁]]
 
* [[최수혁]]
 
* [[흑우]]
 
* [[흑우]]
* [[제5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