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넷:코인위키 편집 이벤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해시넷 코인위키 편집 이벤트 세로형 배너.jpg|썸네일|150픽셀]]
+
'''해시넷 코인위키 편집 이벤트'''는 [[㈜해시넷]]<!--해시넷-->이 주최하는 첫 번째 이벤트입니다. 해시넷의 코인위키는 국내 최초의 코인 전문 위키백과 사이트입니다. 현재 2,000여개 이상의 글이 등재돼 있고, 기존 위키백과와 마찬가지로 누구나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번 이벤트는 일반인 모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위키백과의 본래 취지인 '함께 정리하고 함께 만드는 코인 위키백과'를 지향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코인위키를 편집하신 분 중 5명을 선정하여 [[키페어]]에서 만든 10만원 상당의 [[콜드월렛]]인 ‘[[키월렛]]’ 을 선물로 드립니다. 이벤트는 2019년 6월 30일까지 약 한 달에 걸쳐 진행되고, 이벤트 당첨자는 2019년 7월 01일 오후 2시 해시넷 사이트를 통해 발표합니다. 글도 쓰고 선물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많은 분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파일:해시넷 코인위키 편집 이벤트 가로형 배너.jpg|썸네일|600픽셀]]
 
  
[[㈜해시넷]]<!--해시넷-->이 '''해시넷 코인위키 편집 이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해시넷 코인위키는 한국 최초, 최대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위키백과 사이트입니다. 현재 해시넷 코인위키 사이트에는 총 [[특수기능:통계|'''{{NUMBEROFARTICLES}}''']]개의 글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해시넷 코인위키는 기존 [[위키백과]]나 [[나무위키]]와 마찬가지로 누구나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번 이벤트는 일반인 모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위키백과의 본래 취지인 "함께 만들고 함께 사용하는 코인 위키백과"를 지향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해시넷은 코인위키 문서를 편집한 사람들 중 5명을 선정하여 [[키페어]]가 만든 10만원 상당의 카드형 [[암호화폐 지갑]]인 '''[[키월렛]]'''을 선물로 드립니다. 이번 코인위키 편집 이벤트는 2019년 6월 30일까지 약 한 달에 걸쳐 진행되고, 이벤트 당첨자는 2019년 7월 01일 오후 2시 해시넷 사이트를 통해 발표합니다. 글도 쓰고 선물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이벤트 안내 ==
 +
* 일시 : ~ 2019년 6월 30일(일)
 +
* 대상 : 일반인 모두
 +
* 선정자 발표: 2019년 7월 01일(월) 14:00
 +
* 주최 : [[㈜해시넷]] (http://www.hash.kr )
 +
 
 +
==상품 소개==
  
== 이벤트 안내 ==
+
[[파일:키월렛 카드.png|가운데|썸네일|300픽셀|'''키월렛 카드''']]
* 일시 : 2019년 06월 30일(일)까지
 
* 대상 : 해시넷 코인위키 편집자 (단, ㈜해시넷 직원 제외)
 
* 선정자 발표 : 2019년 07월 01일(월) 14:00
 
* 주최 : [[㈜해시넷]] (http://www.hash.kr )
 
  
==이벤트 선정자 발표==
+
열심히 편집해 주신 5분을 선정하여 키페어에서 만든 10만원 상당의 콜드월렛인 [[키월렛]]을 선물로 드립니다!
저희 해시넷의 코인위키 편집 이벤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키페어]]에서 만든 10만원 상당의 콜드월렛인 '''[[키월렛]]'''(KeyWallet)을 선물로 받으실 분은 총 5분이십니다.
+
키월렛(KeyWallet)은 암호화폐를 저장·보관할 수 있는 하드웨어 지갑으로, 일반 카드처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배터리없이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키월렛을 분실 하더라도 복구 시트를 사용하여 [[개인키]]의 복구가 가능합니다.
선정자의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선정되신 분은 2019년 7월 14일(일요일)까지 성함/주소/전화번호를 biz@hash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이메일 제목은 [코인위키 편집 이벤트]라고 적어주시면 됩니다. 또는 해시넷 블록체인사업부 070-7510-3005로 직접 전화주셔도 됩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벤트를 진행할테니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class=wikitable width=10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big>'''이벤트 선정자'''</big>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번호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편집자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편집한 문서
 
|-
 
|align=center|1
 
|align=center|{{사용자|styner2584}}
 
|align=left|[[바이낸스]], [[바이낸스코인]], [[찰스 호스킨슨]], [[IOHK]], [[심버스]], [[최수혁]], [[스토리체인]], [[아피스]], [[더블유플러스]], [[게이트코리아]], [[네오]] 등
 
|-
 
|align=center|2
 
|align=center|{{사용자|125.129.124.126}}
 
|align=left|[[게이트아이오]], [[게이트코리아]], [[게이트체인]], [[게이트아이오연구소]], [[월렛아이오]], [[저스틴 강]], [[위즈블]]
 
|-
 
|align=center|3
 
|align=center|{{사용자|sirhc118}}
 
|align=left|[[스노우닥]], [[스노우메이커스]], [[박승훈]], [[이규창]]
 
|-
 
|align=center|4
 
|align=center|{{사용자|chowk17}}
 
|align=left|[[엑스피체인]]
 
|-
 
|align=center|5
 
|align=center|{{사용자|kimsimba}}<br>{{사용자|61.254.26.188}}
 
|align=left|[[메타코인]]
 
|-
 
|}
 
  
== 이벤트 경품 ==
+
==회원가입 방법==
 +
이벤트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http://www.hash.kr 에서 회원가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원가입 시. 선물 배송을 위해 '이름', '핸드폰 번호', '주소'는 꼭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키월렛 카드.png|썸네일|300픽셀|'''[[키월렛]]'''(KeyWallet) 카드형 암호화폐 지갑]]
+
[[파일:001.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회원가입 방법''']]
  
열심히 편집한 사람 5명을 선정하여 [[키페어]]에서 만든 10만원 상당의 콜드월렛인 '''[[키월렛]]'''(KeyWallet)을 선물로 드립니다!
+
==문서 작성 방법==
 +
===문서 작성 준비 단계===
 +
====로그인 하기====
 +
로그인을 한 후, 왼쪽 상단의 코인위키 카테고리를 클릭합니다.
 +
[[파일:006.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키월렛]]'''(KeyWallet)은 암호화폐를 저장·보관할 수 있는 카드형 [[암호화폐 지갑]]으로서, 2019년 초에 [[키페어]] 회사가 출시한 제품입니다. [[스마트폰]]에서 키월렛 앱으로 편리하게 코인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고, 보안 칩을 사용하여 고객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일반 카드처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배터리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키월렛을 분실 하더라도 복구 시트를 사용하여 [[개인키]]의 복구가 가능합니다.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던 키월렛 카드는 키월렛 리더를 통해 PC에서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PC와 모바일에서 둘 다 사용 가능합니다.
+
====키워드 선택====
 +
목차를 보고 마우스 스크롤하면서 편집하고 싶은 문서(키워드)를 선택합니다. 로고나 이미지, 키워드를 클릭하면 그 문서로 바로 이동합니다.
 +
[[파일:003.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참고로, 키월렛의 운영 체제는 키페어에서 개발 및 검증한 자체 칩 운영체제(COS; Chip Operationg System)를 갖추고 있습니다. 키페어 칩 운영체제는 CC EAL 5+ 등급을 받았는데, 이는 보안 기능이 체계적으로 설계되어 안전하고 명확하게 수행되고 있음을 증명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키페어가 자체 개발한 스마트 [[OTP]]를 제공하며 특허 기술을 통해 경쟁사 제품과 다르게 빠르고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
====편집 버튼 클릭====
 +
선택한 문서 옆의 [읽기] 옆 [편집]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이 오른쪽과 같이 바뀝니다. 아래 '문서 작성 단계'의 내용을 참고하셔서 자유롭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
[[파일:009.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 회원가입 방법 ==
+
===문서 작성 단계===
이벤트 참여를 원하는 사람은 http://www.hash.kr 에서 회원가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회원가입을 하지 않거나, 혹은 회원가입을 했더라도, 회원 [[로그인]]을 하지 않고 이벤트에 참여하게 되면 IP 주소만 확인되기 때문에 선물을 드리기 어렵게 됩니다.  
+
문서는 객관적인 정보를 알려주는 설명문 형식으로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부분 여타 웹사이트에서 읽은 자료를 바탕으로 글을 쓰기 때문에 참고자료, 각주, 링크 걸기 등을 기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문서 작성 순서는 "{{글자색|개요-등장 배경-역사-종류-특징-활용-평가-전망}}"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첫째, '''개요'''는 전체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알려주는 전체 숲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둘째, '''등장배경'''은 '특정 암호화폐'에 관한 문서라면 암호화폐가 등장하게 된 이유, 즉 암호화폐의 탄생 배경에 대한 내용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셋째, '''역사'''는  암호화폐가 어떤 경로로 지금의 자리에 이르게 되었는지에 대한 내용을, 넷째, '''특징'''은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부분으로, 특정 암호화폐에 적용된 기반 기술 및 제공 서비스, 생태계 등에 대한 내용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다섯째, '''활용'''은 암호화폐가 실제 어떤 분야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여섯째, '''평가'''는 현재 그 암호화폐가 시장에서 어떤 가치 판단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시면 되고 , 마지막으로 '''로드맵과 전망'''은 향후 계획이나 그 암호화폐가 앞으로 어떻게 될 지에 대해 조망하는 내용으로 채우시면 됩니다.  
{{다단2|
 
[[파일:0001.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회원가입 클릭하기</center>]]
 
|
 
[[파일:00088.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회원가입 신청서 작성하기</center>]]
 
}}
 
  
== 문서 작성 방법 ==
+
만약 [[블록체인]] 관련 인물에 대한 글쓰기를 하실 경우, 크게 '생애'와 '주요 활동'으로 나누어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생애'''는 인물의 약력과 전기(傳記), 그리고 블록체인 산업에 뛰어들게 된 계기에 대한 내용을, '''주요 활동'''은 그 인물이 블록체인 산업에서 이룬 성과를 중심으로 적으시면 됩니다.
==== 로그인 ====
 
회원 [[로그인]]을 한 후, 왼쪽 상단의 코인위키 카테고리를 클릭합니다.
 
{{다단2|
 
[[파일:0003.pn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로그인 클릭</center>]]
 
|
 
[[파일:0004.pn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코인위키 메뉴 클릭</center>]]
 
}}
 
  
==== 키워드 선택 ====
+
====문단 나누기====
목차를 보고 마우스를 스크롤하면서 편집하고 싶은 문서(키워드)를 선택합니다. 로고나 이미지, 키워드를 클릭하면 해당 문서로 바로 이동합니다.
+
문단은 문장이 모여 하나의 중심 생각을 나타내는 덩어리입니다. 첫 문단은 == ==, 그 아래 하위 문단은 === ===, 더 작은 하위 문단은 ==== ====로 표시합니다. 하위 문단으로 갈수록 제목의 크기가 작아집니다. 문단을 나누어 쓰는 목적은 하나의 생각을 효과적이고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있습니다. 많은 내용을 담고 있는 문단을 하위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정리하면 내용을 쉽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단2|
+
[[파일:010.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파일:0005.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코인위키 목차</center>]]
 
|
 
[[파일:0006.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클릭하여 해당 문서로 이동하기</center>]]
 
}}
 
  
==== 편집 버튼 클릭 ====
+
====목록 만들기====
선택한 문서의 [읽기] 옆 [편집]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이 편집 모드로 변경됩니다. 편집 모드 상태에서 문서의 내용을 자유롭게 수정, 추가, 작성하면 됩니다.
+
어떤 항목들을 아래로 나열하고 싶을때 별표 기호(*)를 사용합니다. 번호가 새겨진 목록을 만들고 싶을 때는 우물정 기호(#)를 사용합니다.
 +
[[파일:011.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위키 문서 편집을 위한 자세한 문서 편집 방법이나 위키문법은 [[도움말:목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움말:문서 구성]]''' 페이지를 읽어보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참고자료====
{{다단2|
+
코인 위키백과를 작성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사, 블로그, 프로젝트 홈페이지, 백서를 많이 참고합니다. 하나의 참고자료는 "{{글자색|글쓴이, 〈글 제목〉, 《책제목》, 출판사, 연월일}}"의 순서로 표시합니다. 참고자료에 대해 적을 때 유의해야 할 점은 해당 자료 url과 제목 사이에 반드시 한 칸을 띄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쉼표를 찍은 다음에도 한 칸을 꼭 띄어야 합니다.
[[파일:0007.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편집] 버튼 클릭하기</center>]]
+
[[파일:012.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
 
[[파일:0008.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문서 편집하기</center>]]
 
}}
 
  
==== 저장하기 ====
+
====각주 달기====
편집이 끝났으면 맨 아래 '미리 보기' 버튼을 눌러서 문서 내용이 잘 작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상이 없으면, 파란색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눌러서 편집된 내용을 저장합니다.
+
각주란 글을 쓸 때, 필요에 의해 다른 사람의 글을 차용한 후, 그 기술한 내용의 출처를 밝히는 데 사용됩니다. 각주를 달기 위해서는 매우 간단한 코딩 작업이 필요합니다. 영어 ref를 사용하여 만듭니다. 어떤 자료를 2번 이상 참고할 시에는 ref name="  " 를 사용합니다. "  " 안에는 자료의 이름을 넣어줍니다. 그리고 2번째 각주부터는 참고자료의 저자, url, 제목을 모두 생략합니다. 또, 각주를 달았다고 해서 자동으로 화면에 각주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반드시 ==참고자료== 바로 위에 "각주" 표시를 넣어줘야 합니다.
 +
[[파일:017.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페이지 맨 위에 '읽기', '편집' 옆에 '역사 보기' 버튼을 누르면 문서가 처음 생성된 이래로 지금까지의 모든 변경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역사 보기'의 최상단에서 본인이 몇 시 몇 분 몇 초에 몇 글자(바이트)를 편집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위키 사용을 위한 자세한 문서 편집 방법이나 문법은 [http://wiki.hash.kr/index.php/%EB%8F%84%EC%9B%80%EB%A7%90:%EB%AA%A9%EC%B0%A8 도움말]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단2|
 
[[파일:0009.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변경사항 저장하기</center>]]
 
|
 
[[파일:0010.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문서 편집 역사 보기</center>]]
 
}}
 
  
== 이벤트 참여 방법 ==
+
===문서작성 완료===
코인위키 문서 편집이 끝났으면 이벤트 참여를 알리기 위해 '사용자 문서'를 만들어야 합니다. '사용자 문서'는 본인의 작업 일지와 같은 것으로서,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른쪽 최상단의 본인 '아이디'(예: Honggildong)를 클릭한 후, '편집' 버튼을 누릅니다. 본인이 편집한 문서 제목을 {{글자색|* [[ ]]}} 형식으로 적어주세요. 문서 제목은 [[ ]] 사이에 넣은 후 저장하면 됩니다. IP로 편집한 경우에도 다시 로그인하여 자신의 사용자 문서에서 * [[ ]] 형식으로 문서 제목을 넣은 후 저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문서 제목이 '비트코인'이라면, {{글자색|<nowiki>* [[비트코인</nowiki>]]}}이라고 적으면 됩니다.
+
====저장하기====
{{다단2|
+
편집이 끝났으면 맨 아래 파란색 ‘변경사항 저장’을 누릅니다. '편집' 버튼 옆의 '역사 보기' 버튼을 누르면 문서가 처음 생성된 이래로 지금까지의 모든 수정 버전의 문서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편집한 직후, '역사 보기'의 최상단에서 본인이 몇 시에 몇 글자를 편집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0011.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자신의 아이디 클릭</center>]]
+
[[파일:020.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
 
[[파일:0012.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문서 제목을 추가하기</center>]]
 
}}
 
  
마지막으로 [[도움말:사용자]] 페이지에 본인의 아이디를 추가해 주세요. [편집] 버튼을 누른 후, 아이디를 오른쪽 이미지와 같은 형식으로 적으면 됩니다.
+
==이벤트 참여 방법==
 +
*코인 위키백과(http://wiki.hash.kr/index.php/%EB%8C%80%EB%AC%B8)에서 로그인을 합니다. 목차를 보고 마우스 스크롤하면서 편집하고 싶은 문서(키워드)를 선택합니다.
 +
[[파일:021.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
*선택한 문서 옆의 [읽기] [편집] 버튼을 클릭하여 키워드와 관계된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편집합니다. 편집이 끝났으면 맨 아래 파란색 ‘변경사항 저장’을 누릅니다.
 +
[[파일:026.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
*편집 완료를 알리기 위해 오른쪽 상단의 ‘본인 아이디’를  클릭하고, '편집' 클릭 후, '편집한 문서 제목(키워드)’를 *[[    ]] 형식으로 적은 후 저장합니다.
 +
[[파일:005.jpg|가운데|썸네일|1200픽셀|]]
  
예를 들어, 본인의 아이디가 honggildong이라면, {{글자색|<nowiki>* {{사용자:honggildong}}</nowiki>}}이라고 적으면 됩니다.
 
{{다단2|
 
[[파일:0014.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도움말:사용자]] 페이지 편집하기</center>]]
 
|
 
[[파일:0015.jpg|썸네일|600픽셀|왼쪽|<center>본인의 아이디를 추가하기</center>]]
 
}}
 
  
'''편집을 많이 할수록 선정될 가능성 UP! UP!'''
+
''''''편집을 많이 할수록 선정될 가능성 UP! UP!''''''
  
== 연락처 ==  
+
==도움 및 문의==  
* 해시넷 커뮤니티사업부 : 070-7510-3395 / biz@hash.kr
+
해시넷 커뮤니티 사업부 (070-7510-339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해시넷]]
 
* [[㈜해시넷]]
 
* [[키월렛]]
 
* [[키월렛]]
* [[도움말:문서 구성]]
 
 
{{해시넷|좋은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